The Effect of Mathematics-Based Yungbokhap Instruction: An Analysis of Participation Structure in Small Group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학생 소집단 활동 참여구조를 기반으로

  • Received : 2015.05.11
  • Accepted : 2015.06.21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spect the effect of the yungbokhap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etence by analyzing students' mathematical discourse in math-based yungbokhap instruction designed by Moon(2014).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analysis of students' participation structure. The reuslts shows that the students' competence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inquiry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instruction. In particular, the students were increasingly engaged with consensual talk. Also, in the beginning stage, the students tended to unconditionally criticize for others' mathematical opinion. Through the class participation, they gradually developed the competence to express their mathematical ideas to their peers with reasonable mathematical base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mathematics-based yungbokhap instruction ha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presented implications for mathematics-based yungbokhap instrcution.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융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탐구하기 위해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의 모둠 활동 맥락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참여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중심 융복합수업을 통해 학생 사이의 참여구조가 보다 협력적 지식 구성 활동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초기수업에서는 특정 학생에 의해 모둠 활동과 토론이 주도되거나 타인의 의견을 무조건적 비판하는 경향을 보여서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참여구조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후기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수학적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근거를 바탕으로 타인의 의견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는 말하기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모둠 내에 학생들의 능동적 탐구와 협력적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참여구조가 등장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이 학생 사이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소통 역량을 개발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였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교육부.
  2. 문종은(2014). 융복합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변화율 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박모라(2015). 수학 중심 융복합 수업의 효과 분석: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난 참여구조를 기반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박영석, 구하라, 문종은, 안성호, 유병규, 이경윤,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함승환, 황세영(2013).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31(1), 159-186.
  5. 박주호, 이종호(2013). 융복합 교육 실증연구의 체계적 메타 문헌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4(1), 97-135.
  6.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백윤수(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7. 이경진, 김경자(2013). 통합교육과정 접근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계획안 분석. 교육학연구, 19(2), 281-306.
  8. 이선경,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신혜원,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승희, 이은연, 주미경, 차윤경, 함승환, 황세영(2013).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현장 사례 분석을 통한 구성틀 적용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483-513.
  9. 임유나(2012).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초등교육연구, 25(4), 53-80.
  10. 이혜숙, 민주영, 한혜숙(2013).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6(2), 337-362.
  11. 조영달(1999). 한국 중학교 경제수업의 참여구조 변화에 대한 이해 - 미시기술적 연구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9, 193-225.
  12. 주미경, 문종은, 송륜진(2012).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담론과 과제. 학교수학, 14(1), 165-190.
  13. 차윤경,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송륜진,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이삼형, 이선경, 이은연, 주미경, 함승환, 황세영(2014).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pp. 17-29). 서울: 학지사.
  14. 한혜숙(2013).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육, 27(4), 523-545.
  15. 함승환,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황세영(2013).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 16(1), 107-136.
  16. Cazdan, C. B. (1986). Classroom discourse. In M. E. Wittrock (ed.), Handbook of the research on teaching (3rd ed. pp. 432-463). New York: Macmillan.
  17. Goffman, E. (1981). Forms of talk.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8. Mercer, N. (1996). The Quality of Talk in Children's Collaborative Activity in the Classroom. Learning and Instruction, 6(4), 359-377. https://doi.org/10.1016/S0959-4752(96)00021-7
  19. O'Connor, M. C., & Michaels, S. (1993). Aligning academic task and participation status through revoicing analysis of a classroom discourse strategy.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24(4), 318-335. https://doi.org/10.1525/aeq.1993.24.4.04x0063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