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about the Realities and Formations of Partnership between the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of Parents and Teachers: Foundation of Warm Educational Communities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실태와 형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바람: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토대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견주연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Received : 2015.04.15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criticism against life contempt tendenc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about the realities and formations of partnership between the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of parents and teachers. The ultimate aim is to build a foundation which transforms educational settings into warm educational commun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4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the setting and 4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8 participants in total).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the realities about partnership of parents and teachers was sub-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1)"partnership": essential aspect in children's positive development, 2) practicing with vague concepts, 3) lacking the awareness of companion or partnership, 4) disturbing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from external issues and problems. The expect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formation of partnership between hom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was sub-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1) building of community consciousness for better partnership, 2) develop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for mutual understanding, 3) considering various strategies to promote partnership with different styles of parents, 4) activating teacher training and parent education in link with local universities and on-line, 5) providing support from the national level to establish new relationships between home and educational settings. Consequently, it will lea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to be transformed into warm educational communities which orientate respect for life.

본 연구는 전반적인 우리 사회 교육기관의 비생명적인 문제에 대한 비판에 터하여 부모와 교사의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실태와 형성에 대한 인식과 바람을 살펴봄으로써 종국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을 따뜻한 교육공동체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4명과 현직 교사 4명, 총 8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와 교사가 생각하는 파트너십 실태에 대한 인식은 4가지로 범주화 되었다: 1) '파트너십': 아이의 긍정적 성장과 발달에 필수불가결한 요소, 2) 모호함을 안은 채 수행하고 있는 서툰 파트너십, 3) 진정한 협력자 동반자로서의 자각 부족, 4) 부모-교사 간 협력을 방해하는 외적 문제가 그것이다. 둘째,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바람은 5가지로 범주화 되었다: 1) 더 나은 파트너십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 2) 부모-교사 간 상호 이해를 돕는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기술개발, 3) 다양한 부모 유형에 따른 파트너십 증진 방안 고려, 4) 지역사회의 대학과 온라인을 통한 부모교육과 교사교육의 활성화, 5) 가정-교육기관 간 새로운 관계문화 형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그것이다. 이를 토대한 다양한 방안 모색 및 현장 적용의 노력으로 구축되는 부모(가정)-교사(교육기관) 간 탄탄한 파트너십은 유아교육기관을 생명성이 보지(保持)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로 구현해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현정, 전영옥 (2005). 의사소통의 기법. 서울: 박이정.
  2. 김윤숙, 조희숙 (2011). 영아 초기적응 과정에서의 교사-영아, 교사-부모와의 관계에서 드러난 교사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1(6), 121-146.
  3. 김인회 (2002). 한국교육의 위기와 진로. 서울: 문음사.
  4. 김현진, 송하나 (2012). 예비 영․유아교사의 학부모-교사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교육연구, 32(4), 93-113.
  5. 김희연, 정선아, 오문자 (2005). 기록작업을 매개로 한 부모참여에 관한 실행연구: 학습공동체를 지향하며. 유아교육연구, 25(6), 221-254.
  6. 김희진 (201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과 지원(개정판). 서울: 파란마음.
  7. 나석희, 이현진 (2012). 어린이집 교사들이 보육경험과정에서 겪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1), 69-94.
  8. 노상경 (2012). 유아교사-어머니 간 의사소통 저해 요인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73, 211-232.
  9. 류경희, 김순옥 (2001). 공동육아 협동조합에의 참여를 통한 이웃과 가족관계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39(11), 193-208.
  10. 박향아, 제경숙 (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한일비교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2(3), 67-80.
  11. 박화윤 (2002). 유치원에서의 부모 자원봉사활동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1), 163-184.
  12. 배율미, 조유진 (2014). 유아교사의 교사-부모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연구: 의사소통 어려움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8(1), 323-340.
  13. 배인자, 위수경 (2004). 유치원에서 어머니-교사 의사소통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영유아교육연구, 7, 25-47.
  14. 배지희, 조미영, 봉진영, 김은혜 (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및 참여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기대. 유아교육연구, 31(3), 279-304.
  15. 서경혜 (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16. 서영희, 권미량, 김은주 (2006).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참여 인식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6), 33-57.
  17. 손인숙, 송진숙 (2004). 부모와 교사 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9, 111-128.
  18. 손환희 (2009).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손환희, 정계숙 (2011).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13-232.
  20. 안경식 (2007). 우리나라 학교공동체의 역사적 고찰. 교사교육연구, 46(1), 1-14.
  21. 안지혜 (2012). 교사-부모 의사소통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2), 21-46.
  22. 양병찬 (2008). 농촌 학교와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교육공동체 형성: 충남 홍동 지역 '풀무교육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4(3), 129-151.
  23. 우소연 (2003). 대안학교의 학부모 참여와 교육 주체의 형성 과정: 부천 <산어린이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윤기영 (199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학부모 탐구. 서울: 양서원.
  25. 윤철경 외 (1999). 학교붕괴 실태 및 대책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6. 이부미 (2010). 공동육아교사들의 협력적 실행연구 경험에 대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3), 123-171.
  27. 이부미 (2011). 공동육아의 하루 일과에 대한 실천적 개념과 교육적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1), 5-39.
  28. 이수정, 심현기 (2009).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대학의 기능별 유형화 탐색 및 현황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7(4), 327-351.
  29. 이원영, 배소연 (200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2), 18-30.
  30. 이지훈 (2013). 유아교사와 부모의 동반자적 협력관계와 의사소통.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진애 (2012). 어머니-교사의 의사소통 빈도와 의사소통 태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찬승, 허경철, 조난심, 이연선, 이승엽, 김태균 (2013). 한국 공교육 미래방향 제안.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부설 21세기 교육연구소.
  33. 이효영,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소통 능력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4), 41-57.
  34. 장회익 (2014).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경기: 한울아카데미.
  35. 정계숙 (2011). 유아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지각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143-164.
  36. 정계숙, 견주연, 최은아, 김지연 (2015).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29-15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129
  37. 정성수, 홍창남, 박상완, 이쌍철 (2010). 학교경영과 신뢰. 서울: 원미사.
  38. 정숙녀 (1998). 간디학교 방문기- 숲속의 작은 학교. 홀리스틱교육연구, 2(2), 177-182.
  39. 조난심 외 (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40. 조동섭 (2005). 교원양성대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교육행정학연구, 23(2), 399-419.
  41. 조용환, 서근원 (2004).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7(1), 211-244.
  42. 조윤경 (2011).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자녀 돌봄 재구성. 가족과 문화, 23(1), 169-205.
  43. 주삼환 (2009). 위기의 한국교육. 한국학술정보.
  44. 최강미 (2002). 유아교사의 부모관과 부모참여 활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최미숙, 박영미 (2004).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대한 상호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9(2), 137-160.
  46. 최상진 (1997). 한국인의 심리 특성. 서울: 학문사.
  47. 최상진 (2011). 한국인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48. 최서영 (2014). 사립유치원 교직원과 학부모간 신뢰형성의 어려움과 협력증진과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9. 최인섭 (2014). 마을평생 교육공동체에서의 구성원들의 인문생태경험 연구: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전공과의 사례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0. 하영윤 (2008). 공동육아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공동육아를 시작하는 한 가족을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23, 77-101.
  51. 한대동, 오경희 (2013).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3(4), 207-235.
  52. 한숭희 (2006). 평생학습사회의 학습체제 연구를 위한 생태체제적 개념모형탐색. 평생교육학연구, 12(4), 179-202.
  53. 허학도 (2005). 학교공동체 구성원의 역할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2), 281-302.
  54. 홍정연 (2011). 보육시설에서 취업부모와 보육교사가 상호 지각하는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Baum, A. C., & Swick, K. J. (2008). Dispositions toward families and family involvement:Supporting preservice teacher develop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6), 579-584. https://doi.org/10.1007/s10643-007-0229-9
  56. Berns, R. M. (2010).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 (8th ed.).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57. Berns, R. M. (2013).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 (9th ed.).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58. Bryan, J., & Henry, L. (2012). A model for building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Principles and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90(4), 408-420. https://doi.org/10.1002/j.1556-6676.2012.00052.x
  59. Carol, R. K. (2002). A way of thinking about parent/teacher partnerships for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10(3), 177-191. https://doi.org/10.1080/0966976022000044726
  60. Cox, D. D. (2005). Evidence-based interventions using home-school collaboratio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0(4), 473-497. https://doi.org/10.1521/scpq.2005.20.4.473
  61. Delgado-Gaitan, C. (2007). Fostering Latino parent involvement in the schools: Practices and partnerships. In S. J. Paik & H. J. Walberg (Eds.), Narrowing the achievement gap:Strategies for educating Latino, Black, and Asian students (pp. 17-32). New York:Springer.
  62. Delpit, L. (2006). Other peoples' children: Cultural conflict in the classroom (2nd ed.). New York: The New Press.
  63. Epstein, J. L. (1995). School, family, community partnerships: Caring for the children we share. Phi Delta Kappan, 76(9), 701-712.
  64. Epstein, J. L. (2001).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Preparing educators and improving schools. Boulder, CO: Westview Press.
  65. Epstein, J. L. (2002).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Your handbook for action.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66. Epstein, J. L. (2009).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3rd ed.). Washington, DC:Corwin Press.
  67. Epstein, J. L., & Sanders, M. G. (2006). Prospects for change: Preparing educators for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81(2), 81-120. https://doi.org/10.1207/S15327930pje8102_5
  68. Epstein, J. L., & Sanders, M. G. (2012). Family, school, and community partnerships. In M. C.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Vol. 5).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New York: Psychology Press.
  69. Epstein, J. L., Sanders, M. G., Simon, B., Salina, C., Jansorn, N., & Van Voorhis, F. (2009).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Your handbook for action (3rd ed.).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70. Epstein, J. L., & Sheldon, S. B. (2006). Moving forward: Ideas for research on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In C. F. Conrad & R. Serlin (Eds.), SAGE handbook for research in education: Engaging ideas and enriching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71. Fitzgerald, D. (2004). Parent partnership in the early years. London: Routledge.
  72. Griffin, D., & Steen, S. (2010).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s: Applying Epstein's theory of the six types of involvement to school counselor practice.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3(4), 218-226. https://doi.org/10.5330/PSC.n.2010-13.218
  73. Hedges, H., & Lee, D. (2010). 'I understood the complexity within diversity': Preparation for partnership with famil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8(4), 257-272. https://doi.org/10.1080/1359866X.2010.515939
  74. Johnson, M. (2012). The 21 century parent: Multicultural parent engagement leadership strategies handbook. Charlotte, NC: IAP.
  75. Keyser, J. (2006). From parents to partners: Building a family-centered early childhood program. St. Paul, MN: Redleaf Press.
  76. Lopez, G. R., Scribner, J. D., & Mahitivanichcha, K. (2001). Redefining parental involvement:Lessons from high-performing migrant-impacted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2), 253-288. https://doi.org/10.3102/00028312038002253
  77. Margaret, M. F., & Peter, J. F. (2005). Parents as partner: Raising awareness as a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he Clearing House, 79(2), 77-82. https://doi.org/10.3200/TCHS.79.2.77-82
  78.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79. Michael, M. P. (2011). Examining pre-service teacher knowledge and competencies in establishing family-school partnerships. The School Community Journal, 21(2), 143-160.
  80.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81. Souto-Manning, M., & Swick, K. (2006). Teachers' beliefs about parent and family involvement: Rethinking our family involvement paradigm.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4(2), 187-193. https://doi.org/10.1007/s10643-006-0063-5
  82. Susan, R. W., James, T. N., DeLacy, D. G., & Anita, P. Q. (2011). Preparing urban teachers to partner with families and communities. The School Community Journal, 21(1), 95-112.

Cited by

  1.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Negative Emotionality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Moderating Roles of Husbands' Cooperation, Mother-Teacher Partnership, and Other Social Support vol.34, pp.6, 2016, https://doi.org/10.7466/JKHMA.2016.34.6.55
  2. Exploring the Components of Community Members’ Core Competence for Establishing a ‘Warm’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vol.55, pp.2, 2016, https://doi.org/10.15812/ter.55.2.201606.253
  3. Needs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onstructing ‘a warm education community’ vol.18, pp.2, 2016, https://doi.org/10.21075/kacsn.2016.18.2.121
  4. 원장역량, 기관 내 자원, 학부모의 기대 및 참여가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의 코칭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2,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5.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