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f History in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Related Photographic Portraits Focusing on the Premordial Associations

'5·18민중항쟁' 관련 초상사진과 역사적 의미 근원연상을 중심으로

  • 김금녀 (이미지 감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5.04.01
  • Accepted : 2015.05.27
  • Published : 2015.06.15

Abstract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meaning of associations at $5{\cdot}18$-related photographic portrait phenomenologically. Referent in the photography arouses different and unique type of associations. Moreover, it appears differently emotional experience by the associ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ypes of associations and emotional experience about referents gained through $5{\cdot}18$ photography and to construct the meaning. It is based on concepts of primordial associations discussing in the phenomenology but this study was described the meaning of $5{\cdot}18$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focusing on types of associations and meanings derived by direct experience from photography.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viewpoint of $5{\cdot}18$ Democracy Movement approaches from objective academic system or cannot be withdrew as dynamics of the political ideology. It is that the fundamental and impulsive emotions from each individual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re affected. The fundament of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is based on their basis of life and the will to primitive power of a love & affective community.

이 글은 $5{\cdot}18$ 관련 초상사진을 보면서 떠오른 연상들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사진의 지시 대상은 각각 다르면서도 특이한 유형의 연상들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그 연상들에 따른 감정 체험도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5{\cdot}18$ 초상사진들을 통해서 마주친 지시 대상에 대한 연상의 유형과 그 감정 체험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구성한 것이다. 현상학에서 말하는 연상 개념들에 근거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연구자가 사진을 통해 직접 체험한 연상의 의미에 중점을 두어 $5{\cdot}18$민중항쟁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기술했다. 연구결과로 $5{\cdot}18$민중항쟁의 관점은 객관적인 학문 체계나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의 역학관계로 단순히 환수시켜 버릴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항쟁에 참여한 개별자들마다의 근원적이고 충동적인 연민이 작용했고, $5{\cdot}18$민중항쟁의 근원은 이미 그들의 삶의 토대와 사랑의 공동체로서 힘의 의지에 있었다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