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계열 학생을 위한 SW교육에서의 초보 학습자 특성 분석

Analysis of Art and Humanity Major Learners' Features in Programming Class

  • 성정숙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수환 (총신대학교 교양교직과) ;
  • 김현철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투고 : 2015.02.01
  • 심사 : 2015.04.19
  • 발행 : 2015.05.29

초록

새로운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고 학문과 산업에서 컴퓨팅(computing) 기반의 융복합적 성격을 띠는 분야가 많아지면서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중요한데, 지금까지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보편적 교육으로서의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양 수업에서 프로그래밍을 처음으로 접하는 학습자들이 프로그래밍 초보 학습단계에서 보이는 흥미도, 도구 용이성, 자신감, 숙련도 등의 변화에 대해 설문, 관찰 및 인터뷰 방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프로그래밍 교육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In digital era, as various fields of knowledge and industry are fused by computing, foster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learning computer programming are strongly emphasized. It means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to educate computer programming for all, This study is about analysis of non computer science major learners' behavior gathered from computer programming class by means of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hope to suggest the way how to design and to perform the new computer programming curriculum for al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원,박강민,강송희(2014). 과학연구에서 SW활용 사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슈리포트 2014-008.
  2. 한국컴퓨터교육학회(2014). 문이과 통합형 개정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 교육반영을 위한 공개토론회. 2014.07.03. 전경련회관.
  3.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4. College Board (2014). The AP Computer Science Principles Curriculum Framework 2016-2017.
  5. Andrea diSessa. (2000). Changing Minds: Computers, Learning, and Literacy. MIT Press.
  6. 김수환, 한선관, 김현철(2010).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2). 15-23
  7. 이영준 외(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8. 김현철, 성정숙, 김민자(2014).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를 위한 연구.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
  9. 최현종(2011). 대학 프로그래밍 강좌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레임워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1), 69-79.
  10. Dehnadi, Bornat(2006). The camel has two humps. PPIG 2006.
  11. Douglas Rushkoff (2010). Program or be programmed: Ten Commands for a digital age. OR Books, New York.
  12. Piteira, M., & Costa, C. (2013, 7). Learning computer programming: study of difficulties in learning programming. In Proceedings of the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and Design of Communication, Lisboa. ACM.
  13. 신수범(201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전략.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기타자료 PM2013-4
  14. Scratch Community statistics at a glance http://scratch.mit.edu/statistics/ (2014. 11. 12 검색)
  15. 성정숙, 김현철(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 변화 분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1).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Report of a Workshop on The Scope and Nature of Computational Thinking.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0). Report of a Workshop on The Scope and Nature of Computational Thinking.
  18. 김수환, 이원규, 김현철(2009).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에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적 적용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2), 23-31.
  19. 김영천(2012). 질적연구방법론1: Bricoleur 제2판. 아카데미프레스.
  20. 김미량(2002).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 교수 방법의 탐색적 제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5(3), 1-9.
  21. 김병욱 외(2010). PBL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 동기 차이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5), 15-27.
  22. Rist, R.S. (1995). Program structure and design. Cognitive Science, 19, 507-562.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1904_3
  23. 최정원, 이영준(2014).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의 어려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5). 89-98.
  24. D. Storeya, F. D. Fracchiaa and H. A. Mullerb (1999). Cognitive design elements to support the construction of a mental model during software exploration, Journal of Systems and Software, 44(3), 171-185. https://doi.org/10.1016/S0164-1212(98)100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