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 및 소실된 수업시간 분석

The Analysis of ALT and Unuse of Learning Time in UCR Based Instruction

  • 투고 : 2015.01.20
  • 심사 : 2015.04.28
  • 발행 : 2015.05.29

초록

수업시간의 적절한 분배와 활용은 효과적인 수업의 필수 조건이며 기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UCR(User Created Robot)활용수업 관련 연구 중에서는 수업시간에 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UCR활용수업 수행을 위하여 UCR활용수업의 실제학습시간과 소실된 수업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통합학급 학생 3인을 대상으로 집중 관찰을 실시하였고 UCR활용수업 전 후에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UCR활용 수업은 일반수업에 비해 실제학습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또한 UCR활용수업에서 소실된 수업시간의 대부분은 로봇매체를 준비하거나 정리하는 시간으로 활용되었고, 일부는 학생들의 수업무관 행동 및 비집중 하거나 외부의 영향으로 수업시간이 소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Appropriat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learning time in class are regarded as essential and basic conditions for successful education. Nonetheless, among studies about UCR(User Created Robot) based instruction so far is difficult to find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lass. For these reasons, we attempt to analyze the ALT(Actual Learning Time) and unuse of learning time in UCR based instruction. For these purpose, we observed three students who were with third and fourth grade integrated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interviewed the teachers at pre-post clas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UCR based instruction present lower ALT than traditional classes. (2) Most of the unnecessary time used in their classes tend to be used in preparing and arranging the robot module, a little is used unnecessarily because of the students' unrelated behaviors for their learning, decentralized behaviors and other external influ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현 (2009). 증강현실 콘텐츠 활용수업의 효과성 분석 : 초등학교 영어과목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3(3), 359-370.
  2. 김정주.정구인 (2014). 0교시 체육활동에 따른 수업시간대별 집중력의 차이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9(4), 153-163.
  3. 성기선 (2006). 우리나라 중학교의 학교효과에 관한 연구: Creemers의 학교효과 이론모델의 검증. 교육사회학연구, 16(4), 94-114.
  4. Carroll, J. (1963). A model of school learning. The Teachers College Record 64(8), 723-723.
  5. Harnischfeger, A. and D. E. Wiley (1976).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elementary schools: A synoptic view. Curriculum inquiry, 6(1), 5-43.
  6. 곽형기.박기호 (2006). 협동학습에서의 체육실제학습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2(2), 15-27.
  7. 장은식 (1996). 학습 소집단의 규모에 따른 실제학습시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2), 51-62.
  8. 정성무, 김영애, 김소연, 임가람, 정광훈(2010). 디지털교과서에 미니말리즘기반의 UCR 적용 방안(1차년도)(연구보고 CR-2010-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 김경현 (2011). 로봇활용수업이 학생의 학습 몰입 향상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2), 1-12.
  10. 박영숙.서혜전 (2012). 블렌디드 로봇교육 활동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3(4), 121-140.
  11. 송정범.백성혜.이태욱 (2009).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여중학생의 몰입수준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1), 45-55.
  12. 김덕관.류영선.한정혜 (2010). 초등 방과후 학교 교구로봇 시범사업 현황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1), 79-87.
  13. 남동수.이태욱 (2010). 컴퓨터활용교육 2, 4: 피코크리켓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동료지도학습이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2), 117-121.
  14. 박정호.김철 (2010). 로봇 활용 수학학습이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5), 71-80.
  15. 유평준 (2010). 로봇 활용 수업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4), 631-653.
  16.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McGraw-Hill.
  17. Harnischfeger, A. (1985). Active Learning Time.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1, 42-46.
  18. Smyth, W. J. (1981). Research on classroom management: studies of pupil engaged learning time as a special but instructive case. British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7(2), 127-148.
  19. Berliner, D. C. (1979). Tempus educare. Research on teaching: Concepts, findings, and implications, 120-135.
  20. 이용숙 (2007). 수업구조분석법과 실제학습시간분석법 재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15(2), 21-49.
  21. 이용숙.이재분.소경희.전경미 (1990). 국민학교 교육현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