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Daily Life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Welfare Recipients: Focused on Time and Space on Daily lives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간과 공간적 맥락을 중심으로

  • 주경희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희주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세원 (가톨릭관동대 사회복지학과) ;
  • 오혜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Received : 2015.01.15
  • Accepted : 2015.03.23
  • Published : 2015.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daily lives of elderly welfare recipients and their experiences with social welfare services.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1 elderly welfare recipients. A major theme in the time context was "Daily lives enduring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s alone and mismatches of social welfare services": 'Starting same tedious days: trading diligent work for basic living assistance', 'Forced ritual of having meals', 'Struggle with depressing night: not attentive welfare services at closing hours', 'Welfare services suspended in holidays', 'Mind and body withered by economic hardship in winter', 'Social support for enduring weary lives'. In the space context, a major themes was "Inadequate welfare services and social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social isolation": 'Unhygienic and unsafe living environment', 'Hiding places: spending tedious days in vacant lots', 'Community welfare centers useful only for healthy elderl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Receiving restricted medical services at hospitals', 'Hard-to-reach public institutions', 'ambivalence about living as welfare recipi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propos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elderly welfare recipients' quality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시간과 공간의 맥락으로 재구성하여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수급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수급노인을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홀로 견뎌내는 시간 속에서 엇갈리는 복지 서비스"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고, 세부주제로 '반복된 하루의 시작: 공적 서비스 혜택 뒤의 무료한 생활', '식사시간: 억지로 치루는 일상 의식', '운영 종료되는 복지 서비스와 잠 못 이루는 정신적 고통의 밤', '복지서비스 중단과 혼자 보내는 휴일', '수급비 감소와 생활비 부족으로 움츠러드는 추운 겨울', '힘든 삶을 버틸 수 있게 하는 일상의 자원들'이 나타났다. 공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단절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한된 복지 서비스와 상호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주제로 '나를 더 아프게 하는 집', '무료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피난처', '건강한 노인들에게만 유익한 복지기관',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차이 속 공통된 복지서비스와 사회 관계망의 빈약함', '아픈 몸, 제한적 치료만 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 '높은 문턱의 행정기관', '수급서비스 제도 안에서의 양가감정의 생활'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 Waehrer and S. Crystal, "The impact of coresidence on economic well-being of elderly Widow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50, No.4, pp.250-258, 1995.
  2. T. A. Knight and L. Ricciardelli, "Successful Aging: Perceptions of adults aged between 70 and 101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6, No.3, pp.223-245, 2003. https://doi.org/10.2190/CG1A-4Y73-WEW8-44QY
  3. S. Choudhury, "Life-Cycle Aspects of poverty among older Women," Social Security Bulletin, Vol.60, No.2, pp.17-36, 1997.
  4. K. Holden and H. D. Kuo, "Complex Marital Histories and Economic Well-being, The Continuing Legacy of Divorce and Widowhood as the HRS Cohort Approaches Retirement," The Gerontologist, Vol.36, pp.383-401, 1996. https://doi.org/10.1093/geront/36.3.383
  5. 강유진, 한경혜,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한국가족관계학지, 제7권, 제3호, pp.99-126, 2006.
  6. 한경혜, "생애사 연구를 통한 노년기의 삶의 이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4호, pp.87-105, 2004.
  7. 이효선, "질적 연구에 의한 한국 노인들의 삶의 이해", 노인복지연구, 제31권 pp.73-93, 2006.
  8. 보건복지부, 2013년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 2013.
  9. 정선영, 정익중,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부가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어려움 감소에 미치는 영향: 경향점수 가중치 방법을 통한 고찰", 한국사회정책, Vol.18, No.3, pp.165-190, 2011.
  10. 오영희, 석재은, 권중돈, 김정석, 박영란, 임정기,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연구: 여성, 농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1. 한경혜, 손정연,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공간/대인맥락과 정서 경험에서의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1159-1182, 2009.
  12. 김선미, "일상 생활, 일상성, 생활 과학: "일상성 연구"의 가정학적 함의",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4, No.8, pp.161-169, 2006.
  13. 권오정, 이용민, 하해화, 신혜인, 김형우, "노인단독가구 유형별 주거공간사용 특성-생활시간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제22권, 제4호, pp.33-41, 2011. https://doi.org/10.6107/JKHA.2011.22.4.033
  14. 김진욱, "한국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5권, pp.133-158, 2006.
  15. 이신숙,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제20권, 제2호, pp.311-325, 2011. https://doi.org/10.5934/KJHE.2011.20.2.311
  16. 김주현,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제27권, 제4호, pp.739-754, 2007.
  17. 박민자, 손문금, "고령 여성과 남성의 일상생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11권, pp.121-145, 2005.
  18. 이윤정, 정순희, "노인의 여가생활시간 소비패턴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8권, 제1호, pp.101-116, 2004.
  19. 송민경, 쪽방노인 생활실태에 따른 정책 제안 연구:서울시 종로구 돈의동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0. 권지성,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4호, pp.131-156, 2008.
  21. 박미정,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일상생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1호, pp.62-91, 2010.
  22. N. F. Woods and M. Catanzaro, Nurs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St. Louis, MO: Mosby, 1998.
  2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24. R. Stak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