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일부 전문대학 여대생을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Mental Heal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소미현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So, Mi-H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5.02.03
  • 심사 : 2015.04.24
  • 발행 : 2015.04.30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of stress and mental health of woman college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self recording type questionnaire to 336 woman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placed in Gyeonggi-do, who agreed attending to the research, and then were re-collect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appeared that social support differed depending on the grade the one is in(F=10.643, p<0.05), and mental health(F=3.446, p<0.05) and social support(F=2.444, p<0.05) differed depending on the family's economical level. 2.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relationship of objects' mental health, stress, and social support, it appeared that mental health and stress(r=-0.605, p<0.01),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r=0.276, p<0.01) have relationship to each other. 3. As the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ship of research objects' stress and mental health, it show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 in relationship of stress and mental health. Conclusion: The program which can intensify woman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and decrease stress needs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in order to arrange solution of promoting woman students' mental health.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식. 원예치료가 여대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안성: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2. 김창덕, 오경옥, 김태숙. 한국과 중국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 스트레스 및 대응방법 비교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08;17(1):75-84.
  3. 김나미, 김신섭.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013;14(2):1125-1144.
  4. 김경욱, 조윤희.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11;18(4):197-218.
  5. 김광일, 김재환.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의 한국판 표준화연구 III.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정신건강연구 1984;2:297-311.
  6. 김혜경외 11명. 보건교육학, 제2판. 서울: 한미의학, 2012. pp, 84-89.
  7. 김현정, 손정락.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불안 및 우울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반복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07;26(2):183-205.
  8. 공마리아, 강윤주.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012;19(1):1-22.
  9. 금명자, 남향자. 전국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서강대학교 학교생활상담연구소 2010;31(1):105-127.
  10. 문태영, 박승환.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요인과 대처행동에 관한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2007;30:913-925.
  11. 박효정, 김미영, 정덕유.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에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08;15(4):513-521.
  12. 박영주 외 9명. 한국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건강행위. 대한간호학회지 2002;32(6):792-802.
  13.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4. 보건복지부.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
  15. 서미, 최보영, 조한익.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2006;7(2):271-288.
  16. 신윤정.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 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4;21(8):243-263.
  17. 이현진.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8. 이상민, 남숙경, 이미경. 정신건강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대학상담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2009;28(2):363-384.
  19. 이강이, 송남호. 여대생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대전대) 1996;5:57-71.
  20. 이윤정, 손정락.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폭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2010;15(3):409-425.
  21. 이경희 외 23명.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퍼시픽북스, 2013. pp, 17-24.
  22. 조희. 일반인들의 정신건강과 자기노출에 관한 연구. 적십자 논문집 1991;13:115-150.
  23. 최은영, 김혜숙, 박영미.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건강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7;20(1):103-111.
  24. 최미례, 이인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03;22(2):363-383.
  25.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6. Burt K, Stein K. Epidemiology of depression throughout the female lifestyle.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2;63:9-15. https://doi.org/10.4088/JCP.v63n0103
  27. Cohen S, hoberman H.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nd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13: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8. Cohen S, Wills TA.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y Bulletin 1985;98: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29. Kerasek RA. Job demands, Job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79;24:285-308. https://doi.org/10.2307/2392498
  30. Kristensen TS. Sickness absence and work strain among Danish saughterhouse workers: An analysis of absence from work regarded as coping behavior.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1;32:15-27.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122-S
  31. Segrin C, Hanzal A, Donnerstein C, Taylor M, Domschke TJ. Social skil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tress. Anxiety Stress Coping 2007;20:321-329. https://doi.org/10.1080/10615800701282252
  32. Sobel, M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Jossey-Bass, 1982. pp. 290-312.
  33. Visani D, Albieri E, Offidani E, Ottolini F, Tomba E, Ruini C. Gende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during adolescence. In I. Bardar(Eds.), The human persuit of well-being: A cultural approach, 2011. pp, 6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