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Major Satisfaction of Som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on Campus Life Adaptation

  • 윤현경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 최미숙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 조우순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Yun, Hyun-Kyu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ong Science College) ;
  • Choi, Mi-So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ong Science College) ;
  • Cho, Woo-S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ong Science College)
  • 투고 : 2015.01.05
  • 심사 : 2015.04.14
  • 발행 : 2015.04.30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that the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ould have on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Methods: The total 396 students were surveyed who majored in dental hygiene in universities located at Gyeongbuk and Gyeongnam from October 15, 2013 to October 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7.0 program, along with th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ptitude and interest' were found to be greatest factor among the motive for application among the factors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elasticity had a correlation of 0.741 and the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of 0.420 in the self-efficacy, while th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daptation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as high as over 0.4 in the self-elasticity(p<0.0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p<0.05). Conclusions: To increase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plore the measures that can improve the self-elasticity and overall major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원. 학업에 대한 성패귀인, 자기효능 및 내적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998;12(2):85-107.
  2. 김계현, 하혜숙. 대학생의 학과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2000;1(1):7-20.
  3. 김애숙.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및 자아 탄력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4. 김용래, 유효현. 자기효능감과 수업동기 및 학교 생활적응간의 관계 탐색. 인문과학 2012 ;10:93-115.
  5. 김정. 관광관련학과 교육서비스품질이 경제적 가치,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6.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12(4):327-337.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27
  7. 박진아, 이은경.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11;17(3):267-276.
  8. 박현주, 장인순.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0;16(1):14-23.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14
  9. 박현진.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석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6.
  10. 성순옥, 박미단, 김영희.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3;20(8):49-70.
  11. 신민희.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차이. 한국공학교육학회 2009;12(4):30-37.
  12. 신은주. 일 대학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기본간호수기술과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2008;15(3);380-386.
  13. 신현균, 장재윤.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2003;22(4):815-827.
  14. 신회덕.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7.
  15. 이민순. 항공운항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직업존중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6):370-378. https://doi.org/10.5392/JKCA.2009.9.6.370
  16. 이수진.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유대감과 자율성이 학교생활적응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문제를 매개로. 한국심리학회지 2009;6(2):229-248.
  17.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학회지, 2011;25(2):235-253.
  18. 이윤정. 지방출신 서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계획[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9. 임은미, 박승민, 임영숙.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수준과 전공만족도, 전공 및 직장선택 기준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009;16(10):33-50
  20. 장경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2005;6(1):185-196.
  21. 장대운, 박진현, 나동진, 이영식. 전공-적성 불일치 대학생의 전공학과 적응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논집 1986;14:1109-1154.
  22. 정은옥. 심리적 탄력척도의 타당화[석사학위논문]. 전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23. 최혜정, 이명선.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연관성.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13;39(2):129-138.
  24.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 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5.
  25.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77.
  26. Baker RW, Siryk B.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1984;31(2):179-1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27. Barron D, West E, Reeves R.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2007;12(1):46-51. https://doi.org/10.1258/135581907780318419
  28. Block J, Block JH.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980;13:39-101.
  29. Kenny ME, Rice KG. Attachment to parents and adjustment in late adolescent college students current status, applications, and future considera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s 1995;23(3):433-456. https://doi.org/10.1177/0011000095233003
  30. Klohnen E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