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목재와 도자 소재의 융합적 접근에 의한 오브제 기능의 가구 연구

A study on Furniture Design as Object by Fusion Approaching with Wood and Ceramics

  • 정용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
  • 최경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 투고 : 2015.02.17
  • 발행 : 2015.03.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 기능의 오브제로서의 공예와 공간에서 실용적 기능으로서의 소재를 융합한 가구디자인으로 공간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가구디자인은 목재와 도자 소재의 융합적 시도로서 그것이 가진 가치와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도자인 예술 분야와 목공이라는 디자인 분야의 다른 재료 및 소재의 혼합과 연결되어 있다. 도자로 제작된 다리와 월넛 나무로 제작된 상판의 전혀 다른 소재가 어우러지도록 융합되어 제작한다. 직접 가구를 제작함에 있어 도자기가 쌓아진 형식을 차용한 도자 다리를 제작하여 시각적으로 제한된 기존 가구디자인과 차별된 디자인을 창출하고, 흙과 유약에서 보이는 색감과 질감으로 나무에서 얻을 수 없었던 색다른 느낌을 보여주어 가구와 그것이 놓인 공간의 신선한 어울림을 기대한다. 포스트모던 이후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가구 상판에 기능과 형상을 자유롭게 조화시킬 수 있는 개념의 현대의 다양성 그리고 가구와 오브제와의 역할에 대한 경향을 고려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Postmodernism has blurred the line between design and art. We would like to suggest a design case that took diversity in the modern era that harmonizes functionality and shape of the top board of a furniture and trend of the role of furniture and objet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aims to project a new role into space via convergence of objet that has aesthetic function and furniture design that plays practical role in space. Thus, furniture design attempts to combine ceramic and carpentry and demonstrate the value and potential the combination possesses. By creating a distinct design from previous furniture that had visual limitations with ceramic bridge that adopted existing piling method in ceramic design, we expect a fresh blend of furniture and space that encompasses a different sensation from color and texture of soil and glaze, unable to attain from simple wo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