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BACK Program for Cognition, Visual-Perception, Depression, Anxiety,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N-BACK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 시지각, 우울, 불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김소영 (영남외국어대학교 작업치료과) ;
  • 권상남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
  • 김지훈 (영남외국어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15.06.25
  • Accepted : 2015.08.19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clinical effects on cognition, visual perception, depression, anxie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applying the N-BACK program, a brain stimulated training program, which is used for the clinical purpose. To prove this, subjects suspected of cognitive impairment with 18-23 points in a Korean version of 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K) were recruited among the populatio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troke duration and suffered from it for six months of duration, and 10 of the subjects were select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 total of 20 sessions were carried out for 30 minutes per day 5 times for 4 week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been applied the N-BACK program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visual perception, depression, anxiety, and daily living skil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expect us that applying the N-BACK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visual perception, depression, and anxiety to stroke pati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and will lead them to improve daily living activities more independe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뇌 자극 훈련인 N-BACK 프로그램을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하여 인지, 시지각, 우울, 불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인자로 한국판 정신상태판별검사(MMSE-K)에서 18~23점으로 인지기능 손상이 의심되는 자로써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10명씩 선정하였다. 연구자 1인의 진행 하에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숙련된 치료사 8명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4주간 주 5회 1일 30분, 총 20회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뇌졸중 환자에게 뇌 자극 훈련인 N-BACK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인지, 시지각, 우울, 불안과 일상생활활동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들은 뇌졸중 환자의 인지, 시지각, 우울 및 불안의 향상을 위해 N-BACK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환자의 재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기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이 보다 독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2001
  2. 통계청, 2013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2014.
  3. M. Urton, M. Kohia, J. Dav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reatment interventions for upper extremity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vol. 14, no. 1, pp. 11-27, 2007. https://doi.org/10.1002/oti.220
  4. 강윤주, 뇌졸중 환자에서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프로그램 개발 및 유용성 검토,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 신연정,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 요인, 우울감 요인 및 상호관련성,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 B. Wilson, Model of brain injury rehabilitation.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9.
  7. M. F. Green, "Cognitive remedia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updata issu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 74, pp. 204-213, 1993.
  8. 조영남, 전산화 인지재활이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9. B. Zoltan, Vision, Perception and Cognition. 3rd ed. New Jersey, Slack, 1996.
  10. 김소영, 이근민, 전산화 인지프로그램(코트라스)이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효과,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 105-113, 2015.
  11. B. Schuster, "Rehabilitation of TBI Using RehaCom" Europen J. of Physical and Rehabilitaton Medicine, vol. 38. pp. 39-44, 2002.
  12. B. Lynch, "Historical review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training" J.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 17, pp. 446-457, 2002. https://doi.org/10.1097/00001199-200210000-00006
  13. 김창걸, "정신지체 학생의 직업교육을 위한 e-러닝 시스템 개발",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6권, 제2호, pp. 49-54, 2012.
  14. 김영근, 한국형 컴퓨터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상적 효과 검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5. 김소영, 컴퓨터 기반 한국형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과 일반화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6. L. Lilienthal, E. Tamez, J. Shelton, J. Myerson, S. Hale, Dual n-back training Increases the capacity of the focus of atten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012.
  17. 박종환,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대한신경정신의학, 제28권, 제3호, pp. 508-513, 1989.
  18. M. J. Bouska, E. Kwatny, Manual for application of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to the adult population. Philadelphi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1983.
  19. 김지훈, "효율적인 시간사용 중재가 척수손상 환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 연구" 대한인지재활학회, 제3권, 제1호, pp. 59-74, 2014.
  20. 한흥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현, 윤도준, 정근재,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정상 집단을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회지, 제25권, 제3호, pp. 487-500, 1986.
  21. 육성필, 김중술,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1호, pp. 185-197, 1997.
  22. 서정일, 김강, 박정배, 사공정규, 이관, 이재동, 고순영, 서연석, 김병석, 김영석, 이헌주, 김인희, 이병석, 김석현, 김동준, 손주현, 김태엽, 안병민, "독성 간손상 환자의 불안과 우울 성향에 관한 다기관 연구", 대한간학회지, 제17권, 제5호, pp. 38-43, 2011.
  23. 정지원, 문연성, "한국인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조사 및 그 영향에 대한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제53권, 제6호, 2012.
  24. I. P. Hsueh, J. H. Lin, C. L. Hsieh, "Comparison of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5 item barthel index, and 10 item barthel index in patients with stroke" J of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 73, no. 2, pp. 188-190, 2002. https://doi.org/10.1136/jnnp.73.2.188
  25. 공명자,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하부 항목별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6. 손석일,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GPACK) 적용이 뇌손상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7. 조아영,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8. 김형선, 황영옥, 유재호, 정진화, 우희순, 정희승, 2009,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일상 생활동작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41-53, 2009.
  29. 심민규, 뇌졸중 후 우울,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0. 박소원, 박인혜, 유수전,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시지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7권, 제2호, pp. 47-57, 2013.
  31. 윤소원, 뇌졸중 환자에서 컴퓨터 인지재활 프로그램(COMCOG)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2. G. M. Nys, M. J. van Zandvoort, P. L. de Kort, H. B. van der Woorp,. B. P. Jansen, A. Algra, E. H. de Haan, L. J. Kappelle, "The prognostic value of domain-specific cognitive abilities in acute first-ever stroke" Neurology, vol. 64, no. 5, pp. 821-837, 2005. https://doi.org/10.1212/01.WNL.0000152984.28420.5A
  33. 권상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작업 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를 위한 Kwon's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성 평가,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4. A.Baddeley, R. Logie, S. Bressi, S. Della Sala, & H. Spinnler, "Dementia and working memory". J.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 38A, pp. 603-618, 1986.
  35. Darke, S. Anxiety and working memory capacity. Cognition and Emotion, vol. 2, pp. 145-154. 1988 https://doi.org/10.1080/02699938808408071
  36. Denkova, E.,Wong,G.,Dolcos, S., Sung, K., Wang, L., Coupland, N., et al. The impact of anxiety-inducing distraction on cognitive performance: A combined brain imaging and personality investigation. PLoS One, 5, e14150. 201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1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