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ies among Gif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의 IT 역량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15.04.06
  • Accepted : 2015.05.01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p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IT) competencies among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i.e., informati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Of the 370 high school students surveyed from 3 high schools(i.e., gifted academy, information science high school, and technical high school) in three metropolitan cities, Korea, 351 students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s yielding a total response rate of 94.86%.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IT professional competence as being most important when recruiting IT employees. And they considered that practice-oriented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ly needed to improve their IT skills.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sub-factors of IT core competencies among gifted academy students and informati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ere basic software skills. Also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main network and security capabilities were the most importantly needed to do so. Finally, the most appropriate training courses for enhancing IT competencies were recognized differently among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Gifted academy students responded that the 'algorithm' was the mostly needed for enhancing IT competencies, whereas informati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data structures' and 'computer architecture' were mostly needed to do. Fo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y responded that a 'programming language' course was the most needed to do so.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s to IT corporate and school settings.

본 연구에서는 영재와 평재 고등학생들이 IT 역량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학교 2개교와 IT 특성화 고등학교 1개교 그리고 공업고등학교 1개교, 총 370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IT 기업 인재 채용 시에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인, IT 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과목과 이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 IT 핵심역량에 대한 생각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 중 351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들은 IT 기업의 신규채용 시 중요한 요인이 IT 전문역량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IT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무중심 교육과 실습위주의 교육 등 '실습 위주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IT 핵심역량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하위 요인으로 영재학교와 정보과학고등학교는 '소프트웨어 기본역량'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공업고등학교는 '네트워크 및 보안 기본역량'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T 역량 함양을 위해 가장 필요한 교육과정으로는 학교 유형별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는데, 영재학교 학생들은 '알고리즘'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정보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자료구조' 및 '컴퓨터 구조'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에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가장 필요한 교과목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IT 기업 채용시 중요한 요인(IT 전문역량, 학력, 기초직업능력, IT공통역량), IT 핵심역량 함양 교육방법(학교교육), IT 핵심역량 중요도(소프트웨어 기본역량, 데이터베이스 기본역량, 네트워크 및 보안 기본 역량, 통합적인 역량), IT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운영체제, 하드웨어)에서 영재학생이 평재학생보다 더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교육을 받고 있는 영재학생, 정보과학고등학생 및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IT 핵심역량을 비교분석한 본 연구결과가 향후 IT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을 개선하고 보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남훈, 이인찬, 강순희, 김성현, 전병유, 금재호, 김종일, 최강식, 이상오, 오정숙, 김기헌, 정윤형. (2001).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 권문주, 이병묵, 신영석, 김제호, 배도연 (2008). 패키지 SW분야 SW직무수행능력 표준. 서울: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3. 김종훈, 변선희. (2006). 제주지역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8), 144-156.
  4. 김창봉, 김성근. (2012). 물류기업의 IT 역량의 효과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15(3), 25-36.
  5. 박주연, 김준석, 임건신. (2006). 정보기술 인적 역량이 지식 이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상황을 중심으로.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6(2), 85-110.
  6. 서예원. (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서우종, 강대석, 강용원, 홍진원. (2008). IT 인적자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역량분석 방법론. 생산성논집, 22(1), 69-91.
  8. 심재륜. (2010). 맞춤형 IT 인력양성을 위한 '대학-중소기업' 공동 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산학협력 방안 연구.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14(9), 2113-2119.
  9. 양해봉. (2012). IT 역량평가제도 모델 설계 및 향후 추진계획 수립 보고서. 서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0. 이자희. (2012). IT전문가들이 인식하는 IT전공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1. 이재호, 배기택. (2010).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리더십 교육내용의 설계 및 검증. 영재교육연구, 20(1), 79-106.
  12. 이재호, 최승희. (2014). 초등정보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발달 및 직업관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4(4), 613-628. https://doi.org/10.9722/JGTE.2014.24.4.613
  13. 이정배, 박석천, 신승중, 박태홍. (2010). 정보산업동향: 국내 자본시장에서 IT 시스템의 기여 효과 및 IT 역량강화 방안. 정보처리학회지, 17(4), 91-96.
  14. 이정우, 박준기, 이혜정. (2011). 정보기술 (IT) 역량의 유형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22, 73-92.
  15. 이중만, 양해봉, 신준우, 설정선. (2010). CIPP 모형을 활용한 IT 분야 산학협업 인턴쉽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 457-467. https://doi.org/10.5392/JKCA.2010.10.1.457
  16. 임승호. (2014). IT 역량지수 모델 개발 및 시범운영 보고서. 서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7. 임양섭, 김윤배. (2013). 친융합형 IT 전문인력 양성 교육시스템 효과성 검증분석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6(3). 694-723.
  18. 임은모. (2010). GO GLOBAL GREEN GROWTH(글로벌 그린마켓 승자의 길). 서울: 이담 Books.
  19. 전우천. (2010). 초등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347-368.
  20. 전우천. (2012).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정보과학회지, 30(3), 17-23.
  21. 조영화. (2011). IT - 응용. 융복합 기술로 진정한 IT 강국 등극. 과학과 기술, 501, 16-20
  22. 주지영, 홍성용. (2010). 정보과학기술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 참여도 분석시스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7(1B), 260-264.
  23. 주인중, 권장우, 신준우, 임경범. (2010). IT 분야 공학교육인증 이수자의 실무역량에 대한 기업과 졸업생 인식 비교. 직업교육연구, 29(1), 121-137.
  24.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 신산업정책관 소프트웨어정책과. (2010). 범정부 차원의 SW산업 종합대책 마련.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5. Bassellier, G., Reich, B. H., & Benbasat, I. (2001). IT competence of business managers: A definition and research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7(4), 159-182. https://doi.org/10.1080/07421222.2001.11045660
  26. BCS (2015). Mainframe technology professional qualification. http://www.mtpexams.com/. 2014년 4월 20일 검색.
  27. Bharadwaj, A. S. (2000). A resource-based perspective o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MIS Quarterly, 24(1), 169-196. https://doi.org/10.2307/3250983
  28. Byrd, T. A., & Tuner, D. E. (2000). Measuring the flexibi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Exploratory analysis of a construct.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7(1), 167-208. https://doi.org/10.1080/07421222.2000.11045632
  29. CEN (2010). European e-Competence Framework 3.0. http://www.ecompetences.eu/e-cf-overview/, 2015년 4월 20일 검색.
  30. Dhillon, G., & Lee, J. (2000). Value assessment of IS/IT service provision within organizations. In Proceedings of the twenty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647-651.
  31. Farrell, D. (2003). The real new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81(10), 104-112.
  32. Feeny, D. F., & Willcocks, L. P. (1998). Core IS capabilities for exploiting information technology. Sloan Management Review, 39(3), 9-21.
  33. IBM (2011). Framework Competencies IBMS. https://anoukvdberg.files.wordpress.com/2012/03/brochure-framework-ibms-04-11-20102.pdf. 2015년 4월 20일 검색.
  34. Mathis, R. L., & Jackson, J. H. (2000). Human Resource Management (9th Ed.). OH: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35.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36. Pfeffer, J. (1994).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Unleashing the power of the work forc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37. Ross, J. W., Beath, C. M., & Goodhue, D. L. (1996). Developing long-term competitiveness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assets. Sloan Management Review, 38(1), 31-42.
  38. SFIA Foundation (2011). Moving to SFIA version 4 and 4G. http://sfia.org.uk, 2015년 4월 20일 검색.
  39.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