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WP 조직문화가 성취욕구,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조, 서비스, 금융업 종사자 간 비교 분석 -

The Effects of GWP Organization Culture on Need for Achieve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Comparison Analysis of Workers in Manufacturing, Service, and Finance Industries -

  • 신효진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 ;
  • 고영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과)
  • 투고 : 2015.03.17
  • 심사 : 2015.05.18
  • 발행 : 2015.06.30

초록

본 연구는 GWP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들의 성취욕구(Need for Achievement)와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직무성과(Job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국내에서 일하기 좋은 기업(GWP)으로 선정된 대기업 중, 제조/서비스/금융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GWP 조직문화가 산업별 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변수 간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제조업에서는 GWP 조직문화가 성취욕구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성취욕구는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도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서비스업에서는 GWP 조직문화가 성취욕구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성취욕구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직무만족도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금융업에서는 GWP 조직문화가 성취욕구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욕구는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도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GWP 조직문화가 산업별 종사자들에게 미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GWP organization culture on need for achieve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r this analysis, among the major companies that have been selected as good corporates to work (GWP),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argeting the employees in manufacturing/service/finance industries and the comparison analysis 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and variables of the GWP organization culture are effected the professionals in the industries.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ies, firstly, in manufacturing industry, GWP organization culture has significant impacts on need for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Also, need for achieve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Secondly, GWP organization culture in service industry has significant effects on need for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bu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Need for achieve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Lastly, GWP organization culture in finance industry has significant effects on need for achieve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need for achieve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how GWP organization culture affects employees in different industr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