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hythm of Sijo Using Prosodie Analysis - Centering on < Ouga > by Seon-do Yun -

프로조디(prosodie) 분석을 통한 시조의 가락 고찰 시론(試論) - 윤선도(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를 대상으로 -

  • 김성문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 기술연구원)
  • Received : 2015.07.08
  • Accepted : 2015.07.14
  • Published : 2015.07.31

Abstract

A study on rhythm of a sijo was mostly conducted based on rhythm theory. As it is considered to define the rhythm of a formal sijo based on three verses, its significance has been recognized. However, if rhythm is understood to be superior to cadence or versification, it seems necessary to examine the rhythm of a sijo as a verse with a fixed form as well as a highly individual rhythm of each and every lyric poet, which is informal rhythm,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m. In this case, prosodie analysis by H. Meschonnic (1932~ 2009) can be a significant methodology. As this study gropes for a possibility to examine the rhythm of a sijo from a new perspective instead of existing rhythm theory through the application of H. Meschonnic's prosodie analysis, it can be regarded as an essay. Prosodie newly suggested by Meschonnic is referred to as linguistic organiz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and indication of their paradigm, and it conflicts the perspective that traditionally separates linguistic sound from meaning for dichotomous understanding.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organiz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is a unit that constitutes a complicated layer of significant sound and meaning. Accordingly, prosodie analysis that is irregularly and aperiodically distributed within poetic text can be considered as methodology aimed at explaining how a poem is integrated in terms of sound and semantics. The core of prosodie analysis is to examine how the phonologic system stands against the theme of a poem. It ultimately has the same way of establishing literary style of a poet as it is to explain a unique aesthetic structure that individual poems have and show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use by a poet. Prior to application of the prosodie analysis to sijo in general, the study preparatorily conducted prosodie analysis on < Ouga > by Gosan Seon-do Yun.

시조의 가락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운율론의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3장 4음보격의 정형적인 시조의 가락을 규명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가락을 운율이나 율격보다 상위 개념으로 이해한다면, 이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형시로서 시조가 갖는 가락과 함께 서정시로서 시인 각자가 갖는 개성적인 가락, 다시 말해 비정형적인 가락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여기에 앙리 메쇼닉(H. Meschonnic)의 프로조디(prosodie)분석 기법이 유의미한 방법론이 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앙리 메쇼닉의 프로조디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시조의 가락을 기존의 운율론이 아닌 새로운 차원에서 살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시론(試論)격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메쇼닉이 새롭게 제안한 프로조디는 언어의 자 모음적 조직과 그것의 계열체를 지시하는 말로, 이는 전통적으로 언어의 소리와 의미를 분리하여 이분법적으로 이해해 온 관점과 전적으로 대립된다. 그에 따르면 각 자 모음 조직들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이른바 소리와 의미의 복합적인 층위를 형성하는 단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 텍스트 안에 불규칙적이고 비주기적으로 산포되어 존재하는 프로조디를 분석하는 작업은, 어떻게 시가 음성적 의미론적으로 통합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조직화된 음운들이 어떠한 양상으로 시의 주제와 길항하면서 존재하는지를 살피는 것이 프로조디 분석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개별적인 시가 지닌 독특한 미적 구조를 해명하는 일이자 시인의 언어 사용의 특수성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궁극적으로 시인의 문체를 규명하는 작업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본격적으로 프로조디 분석의 방법론을 시조 전반에 적용하기에 앞서 예비적으로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오우가(五友歌)> 6수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일단 자음계열체에 한정하여 프로조디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시 텍스트에 산포되어 있는 프로조디가 시적 대상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거나 시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있어서 소리와 의미의 복합체로서 기여하면서 기존의 율격과는 또 다른 층위에서 가락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