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시조에 나타난 '아이'의 양상과 그 시가사적 함의

The Aspects of "Children" in Saseolsijo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 in Korean Classical Poetry

  • 투고 : 2014.12.15
  • 심사 : 2015.01.23
  • 발행 : 2015.01.31

초록

본 연구는 사설시조에 나타난 '아이'의 양상과 그 시가사적 함의를 갈래사적 전통 속에서 한번 살펴본 것이다. 그간 시조 문학 연구에서 '아이'는 대체로 부수적인 존재, 관습적인 청자로서만 이해되어 왔지만 담론의 측면에서 보면, 서정의 맛과 멋을 한껏 드러내던 작품 세계(자아지향)를, 타자를 전제로 한 대화적 구조로 탈바꿈시키는 기능을 하기에 그 의미망이 결코 가볍지 않다. 먼저 사설시조에는 크게 침묵하는 아이와 발화하는 아이의 두 가지 형태가 발견된다. 전자는 호명된 존재, 관습적이면서 말 없는 수동적인 존재, 타자화 대상화 된 존재라면, 후자는 발화하는 적극적 주체, 근대성의 표지를 담보하는 주체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발화 형태의 차이를 넘어서 미학적 질서의 차이를 노정하기도 한다. 즉 전자의 '아이'는 시적 화자의 내면적 요청에 의해 관념적으로 생산된 것인 만큼 주로 시적 화자의 서정성을 극대화하는 장치로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독자-텍스트 간의 동일화 담론의 미학적 질서를 형성한다면, 후자의 '아이'는 이질적인 발화들이 만들어내는 공명으로 인해 텍스트에 역동성을 부여함은 물론 독자-텍스트 간의 거리화 담론의 미학적 질서를 형성한다. 사설시조의 아이가 보여주는 이러한 면면들은 전대 시가에서 이미 그 편린들이 발견된다. 향가의 경우, 타자의 결핍을 해소하기 위해 요청된 존재로서 발화하지만 대상화된 존재로서의 '아이'가, 고려 속요의 경우 시적 화자에 의해 침묵을 강요받지만 이를 자발적인 발설로 깨뜨려버리는 적극적인 '아이'가, 시조의 경우는 '아이'의 훈육 및 성장과 관련한 노래가 등장하기도 해서 특이점을 보여주긴 하지만 발화의 측면에서 대체로 시적 화자에 의해 대상화 된 '아이'가 우세하게 등장하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사설시조를 포함해 전대 시가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아이의 모습은 주로 중세가 부과한 아이의 모습과 연결된다면, 이전 시가에서와는 달리, 사설시조만이 보여주는 새로운 아이의 모습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시대적 징후의 단면들을 보여준다. 즉 작품 편수가 많지는 않지만, 사설시조에서 발견되는 적극적인 '아이'의 모습은 '개인'을 내세우면서 더 이상 중세가 부과한 '아이다움'의 테두리에 있지 않는 새로움을 보여준다. 사설시조의 '아이'가 보여주는 새로움은 순진무구한 존재로서 '아동(child, infant)'이라는 근대적 개념과는 거리가 있지만, 발화 속에서 제시되는 다성성, 웃음, 개인의 중시, 다중 시선 등의 측면에서 근대의 일면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spects of "Children" in Saseolsijo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 in Korean Classical Poetry. What was discuss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two types of children in Saseolsijo, one is silent, and the other is speaking. The silent child characteristics are such as being called and addressed by the poetic narrator, customary audience, passive attitude, etc. The speaking child characteristics are speaking subject, active attitude as sign of modernity. These phenomenon simply expos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order. The silent children is mainly to be utilized as a device to maximize the lyricism of the text as an ideologically product by the inner request of the poetic narrator and show identification discourse. The speaking child, gives the dynamics in text by heterogeneous discourse and informs aesthetic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as well and show distance discourse. These fragments from Saseolsijo's children are also found in previous genres. In the case of Hyangga, 'children' speak for solving others' desire but are targeted by poetic narrator as well. In the case of Goryosokyo, 'children' show activity and efforts to break forced silence by the poetic narrator through voluntary speaking. In Sijo's case, unlike other genres, some literary works show contents about disciplining children and the growth of children. However mostly targeted children by the poetic narrator are predominantly appeared from the discourse perspective. These aspects of children in previous genres including some of works in Saseolsijo are mainly associated with the appearance of medieval children. Unlike these, the new aspects of Saseolsijo's children show the cross-section of the signs of transition contemporary, from medieval to modern. Even if there are few literary works in these, speaking children with activity reveals novelty over medieval-imposed 'child-ness' by showing 'self', 'individual desire' strongly. This novelty is far from infants of the modern concept as naive and innocent children but these children are noted in that they show a part of modernity through various voices in the text, the comic(laughter), multiple point views, et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