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연구기관 융합기술 연구네트워크 구조 분석

An Analysis on the Research Network Structure of Convergence Technologies i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 김홍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
  • 정선양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 투고 : 2015.11.30
  • 심사 : 2015.12.31
  • 발행 : 2015.12.30

초록

본 연구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구, 기초기술연구회 및 산업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 24개 기관이 출연금과 정부수탁과제로 집행한 최근 3개년간(2011~2013)의 연구과제중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의 중 분류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기술을 연구하는 융합기술 연구과제를 사회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간에 어떠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출연연의 융합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체 융합연구와 비교할 때 더 활발하고,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부기관과 공동연구에 의한 융합연구보다 내부에서 더 활발히 융합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융합기술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파악하여 융합연구의 중심역할을 하는 기술이 내부중심형 기술과 외부중심형 기술로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융합연구는 단순히 기술간의 융합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출연연은 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해서 단순히 다기술 연구만을 수행하지 말고, 신기술,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융합연구 영역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출연연의 융합연구 현황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출연연의 융합연구를 활성화를 위한 역할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ce of network structures among convergence technologies focusing on national R&D projects performed by GRIs(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 dataset of convergence technology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by 24 GRIs over 3 years (2011-2013), are analysed usi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 In this paper, a convergence technology project is defined as a project that consists of 2 or more then 2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classification of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T.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convergence researches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are performed more actively than the entire convergence researches of national R&D projects. Furthermore, technological fields of GRIs' convergence projects are found to be much more varied. This paper also shows that in-house researches are more active than collaborative ones with exter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it is identified that the network central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technologies can be classified into internally oriented technologies and externally oriented technologies. Convergence technologies do not just mean simple mixture of different technologies. Therefore Korea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create convergence research areas which could generate new technologies and industries more effectively than simple multidisciplinary technology researches. From this perspective, some policy suggestions can be derived on the role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for activating convergence researches through the analysis of status of convergence researches and networks of institu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국가융합기술발전기본방침,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8),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안) ('09-'13): 교육과학기술부 등,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2), 201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서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4. 김용학 (2011),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5. 김홍영.박소희 (2014), 융합R&D 추진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미래창조과학부 (2014),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 서울: 과학기술종합심의회.
  7.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201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8. 사이람 (2014),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기본과정, 서울: 사이람.
  9. 안승구 (2008),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 양혜영 (2008), 네트워크분석방법을 적용한 과학기술분야간 상관관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성분석,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1. 이광호.김승현.최종화.서지영.강지훈.이아정 (2013), 융합연구사업의 실태조사와 연구개발 특성분석,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이중만.허태영.이정배.황규희.엄기용 (2008),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현황 및 이동 행태분석, 대전:한국연구재단.
  13. 지식경제부 외 (2012), 제1차 산업융합 발전 기본계획, 서울: 산업융합발전위원회.
  14. 진영현 (2013), 기술.산업의 융합현상에 관한 실증적 고찰,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5. 강현무.김정식.이용순.노태천 (2010), "공업교육학 연구집단의 사회 네트워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1): 87-105.
  16. 경정운.김영우.한승환 (2011), "융합연구의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 NSF의 환경 속의 생명복합성과 NRF의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 비교", 한국정책과학회보, 15(1): 151-177.
  17. 경정운 (2012), "정부의 역할이 유합연구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김경식 (2011), "스포츠사회학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와 연구생산성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4(3): 67-91.
  19. 김윤종.정욱.정상기 (2009), "융합기술 관련 국가 연구개발 사업 현황과 효과적 지원전략에 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2(2): 413-429.
  20. 김예슬.정선양 (2014), "창조경제 발전을 위한 융합형 인재 양성",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71-84.
  21. 김하나.조한구 (2005),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컨소시엄 사업의 실적 및 성공 사례",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0-144.
  22. 남수현.설성수 (2007),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자 관계구조 분석 사회네트워크 관점", 기술혁신학회지, 10(4): 605-628.
  23. 박치성 (2012), "행정학 학문공동체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4): 129-153.
  24. 송용일.이대희.박성배.정윤철 (2004), "융합 연구사업의 최선단 연구기획 관리 전략", 기술혁신연구, 12(3): 135-157.
  25. 안연식 (2010), "국가기술전략 관점에서의 기초 융합 연구개발(R&D) 기획선진화 방안 연구:EU, 일본, 미국사례 분석 기반", 유라시아연구, 7(1): 25-46.
  26.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1(2): 297-315.
  27. 이중만.최민석 (2010),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6): 415-428. https://doi.org/10.5392/JKCA.2010.10.6.415
  28. 이재윤.최상희 (2013), "계량정보학분야의 협력연구 네트워크 및 문헌네트워크 분석 : 국가, 기관, 문헌단위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179-191.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179
  29. 임혜선.장태우 (2012), "물류분야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및 연구주제 분석", IE interface, 25(4): 458-471. https://doi.org/10.7232/IEIF.2012.25.4.458
  30. 정성훈 (2012), "정부 주도형 지역 산학연 협력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4): 65-74.
  31. 정태원.정동섭.김정흠 (2014), "공동논문 현황을 통한 정부출연(연)의 협력네트 구조와 논문성과와의 관계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7(1): 242-263.
  32. 조찬우.이성주 (2013), "융합기술 개발을 위한 중소기업 간 협업모형 제안", 대한산업공학회지, 39(3): 198-203. https://doi.org/10.7232/JKIIE.2013.39.3.198
  33. 최진현 (2010),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 특성 분석",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28(3): 184-191.
  34. 한승환.경정운 (2010), "융합연구 지원의 정책 방향: 미국 과학혁신정책 기반사업, 스위스 연구센터 역량강화사업을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10(2): 109-136.
  35. 한혁.권오진.강혜진.심위.노경란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나타난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8(5): 671-678.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5.671
  36. 허정은.양창훈 (2013),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융합연구 구조 분석: 첨단융합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6(4): 883-912.
  37. Acedo, F. J., Barroso, C., Casanueva, C. and Galan, J. L. (2006), "Co-Authorship in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Studies: An Empirical an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3(5): 957-983. https://doi.org/10.1111/j.1467-6486.2006.00625.x
  38. Nordmann, A. (2004), "Converging Technologies - Shaping the Future of European Societies", European Commission Research, Interim report of the Scenarios Group, High Level Expert group, 3.
  39. Barabasi, A.-L., Jeong, H., Neda, Z., Ravasz, E., Schubert, A. and Vicsek, T. (2002), "Evolution of the Social Network of Scientific Collaborations",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311(3-4): 590-614. https://doi.org/10.1016/S0378-4371(02)00736-7
  40. Bower, J. L. and Christensen, C. M. (1995), "Disruptive Technologies: Catching the Wave",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43-53.
  41. Cho, H., Lee, J. S., Stefanone, M. and Gay, G. (2005), "Development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Social Networks in a Distributed Learning Community",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4(2): 435-447. https://doi.org/10.1080/01449290500044049
  42. Kodama, F. (1992), "Technology Fusion and the New R&D", Harvard Business Review, 70(4): 70-78.
  43. Hoekmana, J., Frenkena, K., Robert J. W. and Tijssen, R. J. (2010), "Research Collaboration at a Distance: Changing Spatial patterns of scientific collaboration within Europe", Research Policy, 39(5): 662-673. https://doi.org/10.1016/j.respol.2010.01.012
  44. Morlacchi, P., Wilkinson, I. F. and Young, L. (2004), Social Networks of Researchers in Business To Business Marketing: A Case Study of the IMP Group 1984-1999 (No.116), SPRU-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University of Sussex.
  45. Rosenberg, N. (1963), "Technologi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Journal of Economic History, 23(4): 414-446. https://doi.org/10.1017/S0022050700109155
  46. Newman, M. E. J. (2001), "The Structur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8(2): 404-409. https://doi.org/10.1073/pnas.98.2.404
  47. Roco, M. C. and Bainbridge, W. S. (2002), Converg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 Arlington, Virginia: NSF/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