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s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원근법 해체에 대한 연구

  • 김순자 (상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5.01.29
  • Accepted : 2015.05.12
  • Published : 2015.06.29

Abstract

Advent of diverse media and advancement in digital technology significantly affected our perception of time and space. By utilizing digital media actively, fashion illustration has come to go beyond the limitation on conventional perspective express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and to analyze a variety of space expressions and effects of visual expression in fashion illustration. By way of literature research for the study, theoretical data are reviewed about basic concepts of conventional perspectiv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concept of perspective deconstruction expression in visual art. By way of an empirical study, fashion illustrations that represent the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are classifi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image effects of such expressions. Deconstruction of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find in expression of spaces by means of multi-space, multi-layer space, reverse perspective, perspective through the exaggeration, multi-perspective space, and panoramic visual condition. Fashion illustration expresses visual confusion or fantasy rather than creating realistic spaces that have utilized reasonable perspective. Fashion illustration is moving toward a trait with disharmony and an in-depth visionary space by overlapping or mixing spaces differing from each other, and by means of such peculiar and unrealistic expressions, unfamiliar images are created.

Keywords

References

  1. 김욱동 (1994).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서울: 현암사.
  2. 김성권 (1998). 탈구조주의의 이해. 서울: 민음사.
  3. 김성운 (1997). 광고 visual에서의 과장원근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나 (1985). 피카소의 예술세계. 피카소 걸작선. 서울: 호암갤러리.
  5. 김영나 (1996). 서양 현대미술의 기원. 서울: 시공사.
  6. 김은경 (2001). 해체주의적 공간구성에 나타난 콜라주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운 (2012) 관점의 발견. 중앙 선데이, 255, p.25.
  8. 김태은 (2001). 회화에 있어서 동시적시각의 조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형효 (1993). 데리다의 해체 철학. 서울: 민음사.
  10. 노영화 (2008). 원근법 형성과 디지털 시대 디자인에 있어서 해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문소영 (2013). 그림과 사진은 따로 또 같이 갈 수 있을까. 중앙 선데이, 340, p.28.
  12. 박선희, 유영선 (2003).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현대적 원근법. 복식, 53(7), 57-68.
  13. 박소민 (2005). 조르지오 데 키리코의 데페이즈망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백상우 (2009). 메를로 퐁티의 신체지각 개념을 통한 디지털 공간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백승철 (2008). 원근법을 활용한 심볼 마크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손유진 (2004).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을 통한 무의식의 세계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송옥호 (2003). 현대미술에 있어서 해체와 이미지 차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안의정 (1998). 데이비드 살르의 해체주의적 전략.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엄기홍 (2004). 후기현대미술의 시각 개념의 전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월간미술 (1999). 세계미술용어사전. 서울: 월간미술사.
  21. 윤난지 (1999).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서울: 눈빛.
  22. 이진경 (2000). 시공간의 탄생. 서울: 푸른 숲.
  23. 이두희 (2001). 원근법의 해체과정과 현대적 시각의 의미 변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정은 (2007). 데비드 호크니의 다중원근법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지현. (2009).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다중공간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4), 644-654.
  26. 주은우 (1998). 현대성의 시각체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한국디자인학회 도서출판위원회 (2003). 기초디자인. 서울: 안 그라픽스.
  28. Ades, D. (2003). Photomontage (이윤희 역). 서울: 시공사 (원저 1976 출판).
  29. The age of feminine drawing (2007). Tokyo: All Rights Reserved Ltd.
  30. Arnheim, R (1986). 예술로서의 영화 (김방옥 역). 서울: 홍성사 (원저 1957 출판).
  31. Arnheim, R. (1995). 미술과 시지각 (김춘일 역). 서울: 미진사 (원저 1954 출판).
  32. Barthes, R. (1994). 사진론 (송숙자 역). 서울: 현대미학사 (원저 1961 출판).
  33. Benjamin, W. (1992). 발터 벤야민의 문예 이론 (반성완 역). 서울 민음사 (원저 1983 출판).
  34. Berger, J. (1990). 이미지-시각과 미디어 (편집부 역). 서울 :동문선 (원저 1972 출판)
  35. Bevlin, M. E. (1986). 디자인의 발견 (정경원 역). 서울: 도서출판 디자인하우스 (원저 1976 출판).
  36. Borrelli, L. (2004). Fashion illustration next. London: Thames and Hudson.
  37. Borrelli, L. (2008). Fashion illustration by fashion designers. London: Thames and Hudson.
  38. Bradley, F. (2003). Surrealism (김금미 역). 서울: 열화당 (원저 1997 출판).
  39. Cox, N. (2003). 입체주의 (천수원 역). 파주: 한길아트 (원저 2000 출판).
  40. David Hockney : photos/collages. 자료검색일 2014. 12. 11, 자료출처 http://www.hockneypictures.com/photos/photos_collages.php
  41. Dawer, M. (2007). Big book of fashion illustration. Singapore: Batsford.
  42. Fuchs, R. H. (1992). David Salle drawing. New York: Gagosian Gallery.
  43. Giedion, S. (1998). 공간, 시간, 건축 (김경준 역). 서울: 시공문화사 (원저 1982 출판).
  44. Gombrich, E. H. (1989). 예술과 환영 (차미례 역). 서울: 열화당 (원저 1960 출판).
  45. Gombrich, E. H. (1997). 서양미술사 (백승길 이종승 역) 서울: 도서출판 예경 (원저 1995 출판).
  46. Hauser, A. (1980).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백낙청, 반성완 역). 서울: 창작과 비평사 (원저 1953 출판).
  47. Hockney, D. (1976). David Hockney by David Hockney. London and New York: Thames and Hudson.
  48. Itou, T. (2000). 사진과 회화 (김경연 역) 서울: 시각과 언어 (원저 1987 출판).
  49. Klantan, B., Ehmann, S., and Meyer, B. (2004). Wonderland. Berlin: Die Gestalten Verlag.
  50. Lauer, D. A. (2002). 조형의 원리 (이대일 역). 서울: 도서출판 예경 (원저 1979 출판).
  51. Lynton, R. (1993). 20세기 미술 (윤난지 역). 서울: 예경 (원저 1980 출판).
  52. Mcluhan, M. (2002). 미디어의 이해 (김상기 이한우 역). 서울: 민음사 (원저 1964 출판).
  53. Morris, B. (2007). Ilustracion de moda. Barcelona: Blume.
  54. Nobler, N. (1993), 미술의 이해 (장점식 최기득 역). 서울: 예경 (원저 1966 출판).
  55. Panofsky, E. (1997). Perspective as symbolic form. New York: Zone Books.
  56. Pointer, A. & Zeegen, L. (2004). Clin d'oeil: A new look at modern illustration. Amsterdam: Bis Publisher.
  57. Raul Housmann archives 자료검색일 2014. 11. 20, 자료출처 http://notebook.carlos-alonso.com/tag/raoul-hausmann/
  58. Ruhrberg, K., Schnecenburger, M., Fricke, C. and Honnef, K. (2000). Art of the 20th century. Madrid: Taschen.
  59. Sontag, S.(1994). 사진론. (송숙자 역). 서울: 현대미학사. (원저 1978 출판).
  60. Victionary. (2007a). Fashion unfolding. Hong Kong: Viction workshop.
  61. Victionary. (2007b). Fashion wonderland. Hong Kong: Viction workshop.
  62. Tisdall, C. and Bozzolla, A. (1977). Futurusm. London: Thames & Hudson Ltd.
  63. Walton, R. and Cogliantry, J. (2008). The big book of illustration. New York: Collins design and Duncan Baird Publication.
  64. Web museum: Hockney, David 자료검색일 2014. 12. 12, 자료출처 http://www.ibiblio.org/wm/paint/auth/hockn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