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대학생의 혈액 및 체액 노출실태, 감염예방 표준주의 지식, 인지도 및 수행도

Survey of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 투고 : 2015.02.23
  • 심사 : 2015.03.26
  • 발행 : 2015.04.28

초록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혈액 및 체액의 노출실태와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감염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지역의 간호학과 3, 4학년 간호대 학생 309명이었다. 대상자의 혈액과 체액에 대한 노출경험은 71.5%이었다.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 평균점수는 $20.59{\pm}2.05$점이고, 학년, 감염교육 유무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지도의 평균점수는 $4.67{\pm}.36$점이고 연령, 사후조치 없음의 이유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수행도 평균점수는 $4.25{\pm}.70$점이며, 혈액 및 체액 접촉에서 유의하였다. 대상자의 표준주의에 관한 지식, 인지도와 수행도와의 관계는 각각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표준주의 인지도(${\beta}=.274$)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표준주의 수행도 변인의 8.6%를 설명하였다. 표준주의의 인지도와 수행도가 낮은 점수의 영역을 중점적으로 보완한 다양한 감염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생들에게는 임상실습 진입 전, 감염예방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nursing students'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and their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an attempt to offer basic data for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concerning infection contr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9 juniors and seniors enrolled in the nursing colleges in J province. Of the participants, 71.5% turned out to have experienced exposure to the blood and body fluids of patients. The mean score of the knowledge about standard precautions was $20.59{\pm}2.05$, whereas grad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awareness of standard precautions scored $4.67{\pm}.36$, and age, no follow-up meas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sore for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was $4.25{\pm}.70$, while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The awareness(${\beta}=.274$) of standard precautions only stood out significantly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accounting for 8.6% in the performance variance of standard precautions. The study found it necessary to develop the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diverse ways by complementing especially the areas which used to show low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t is thus suggested to intensify education for students about infection control prior to starting clinical trai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2013-2017) 보고서, 2013.
  2. 김은아,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HANYANG MEDICAL REVIEWS, 제30권, 제4호, pp.265-273, 2010. https://doi.org/10.7599/hmr.2010.30.4.265
  3. 주현정, 간호사의 주사바늘자상 예방행위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고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 2013.
  4. 정재심, 주사침 감시체계 최종 보고서, 한국산업재해예방 안전보건공단, 2012.
  5. 서영희, 오희영, "병원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지식, 인식, 안전환경 및 수행도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16권, 제1호, pp.61-70, 2010.
  6. 이경희, 최주옥, 이경수, 허지인, 황태윤, "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지식, 태도 및 준수 정도", 병원경영학회지, 제19권, 제2호, pp.34-43, 2014.
  7. 조귀래, 최정실, "중환자실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73-81, 2010.
  8. http://oshri.kosha.or.kr/board.
  9. 박진희, 전형구, 정승희, 황정환, 이창섭, 이홍범, "일대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혈액 및 체액 노출 정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6권, 제1호, pp.70-75, 2010.
  10. 홍선영, 권영숙, 박희옥,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관리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93-302,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93
  11. J. Jagger, Occupational expoure to bloodborne pathogen. In:Wenzel RP, editor, Prevention and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s. 4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2003.
  12.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 epidemilogy and laboratory capacity(ELC) for infectious disease program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HAIs) grantee meeting, 2009.
  13. 태선화, 황은희, "임상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이행도의 관계", Korean J Health Promot, 제12권, 제1호, pp.40-46, 2012.
  14. M. H. Ghalya and Y. Ibrahim, "Knowledge, Attitudes and Sources of Information among Nursing Students toward Infection Control and Standard Precau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Research, Vol.2, No.5, pp.59-63, 2014.
  15. R. Kaur, B. Kaur, and I. Walia,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Universal Precautions among Nursing Students,"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Journal, Vol.4, No.4, pp.115-127, 2008.
  16. B. Paul, A. Pawar, D. Kumar, and P. K. Sujesh,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Universal Precautions among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Scholars Journal of Applied Medical Sciences, Vol.2, No.5, pp.1821-1823, 2014.
  17. L. J. Labrague, R. A. Rosales, and M. M. Tizon,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mong Student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Studies, Vol.1, No.2, pp.84-97, 2012.
  18. 홍선영,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11.
  19. J. D. Siegal, E Rhinehart, M. Jackson, and L. Chiarello,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care settings 2007,"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Vol.35, pp.65-164, 2007.
  20.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 Vol.39,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1. 조귀래, 중환자실과 응급실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도에 대한 영향 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7.
  22. 서영희, 간호대학생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을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2009.
  23. 정선영, "최신격리지침 중 표준지침", 대한병원 감염관리 학회, 제13차 학술대회, pp.3-8, 2008.
  24. A. C. Lauer, A. Reddemann, C. P. Meier-Wronski, H. Bias, K. Godecks, M. Arendt, H. Peter, and M. Gross,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among medical undergraduate students," Am J Infect Control, Vol.42, No.3, pp.235-239, 2014. https://doi.org/10.1016/j.ajic.2013.08.013
  25. 최성수, 윤성우, "응급구조과 학생의 병원감염 표준주의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4권, 제5호, pp.2262-2270, 2013.
  26. K. Cheung, S. C. Ho, S. S. Ching, and K. K. Chang, "Analysis of needlestick injuries among nursing students in Hong Kong," Accid Anal Prev, Vol.42, No.6, pp.1744-1750, 2010. https://doi.org/10.1016/j.aap.2010.04.015
  27. 이영환, 임정도, "의료기관 인증 후 환자안전 및 질 관리 변화와 경영활동 변화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286-29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286
  28. 김양수, 응급실 감염관리 현황 파악과 대책수립 연구,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2008.
  29. 양경희,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와 이행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2010.
  30. 김인영, 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지식, 안전환경 및 수행도에 대한 대학병원과 일반병원 비교,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해, 2013.

피인용 문헌

  1. Influence of Knowledge and Awareness on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f Standar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vol.23, pp.4, 2017,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4.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