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reading Birmingham Cultural Studies for 'Non-representational Cultural Studies' in South Korea -with Stuart Hall's Philosophy and Methodology

버밍엄 문화연구에 대한 재고찰과 '비재현적 문화연구'의 필요성 -스튜어트 홀과 주요 연구자들의 사유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 박성우 (우송대학교 방송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5.02.01
  • Accepted : 2015.03.26
  • Published : 2015.04.15

Abstract

This paper points ou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non-representational cultural studies' in South Korea. For this, Stuart Hall's seminal research "Encoding/Decoding" (1980) is to be re-read thoroughly with articulation of his later practices. Along with, this research looks at how non-representational cultural studies can expand the scope of understanding various comtemporary phenomenon of our society usually untold by mainstream cultural studies' themes and methods which focus more on abstract division and representational discourses. Notably, Stuart Hall's influential early writings and practical later engagements could bring us to think more seriously not only where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goes but also where cultural studies in South Korea should go. This article narrows the attention into Hall's EC/DC theory and related research-practical activity influenced by his own philosophy. Indeed, cultural studies in South Korea still seems to be almost same as early Birmingham cultural studies especially in the aspects like research direction and theme; however, that is quite unusual in some points. These points are to be explicated by this attempt of following Hall's meaningful life-long trajectory as a cultural activist as well as media theorist.

이 글은 '비재현적 문화연구'에 대한 소개와 필요성, 시급함에 대하여 버밍엄 문화연구의 재고찰을 통하여 이야기한다. 더불어 어떻게 비재현적 문화연구라는 지적 기획이 추상적 구분과 재현적 담론이 주도했던 그 동안의 주된 문화연구적 사고와 방법론에서 빈번히 배제되었던 세계의 양식들에 강조점을 두어 이를 읽어 내는지 살펴본다. 대표적으로 스튜어트 홀의 주요 저작과 후기 생애에 대한 실천적 모습을 통해 비교적 익숙한 모습의 버밍엄 문화연구 한계를 극복하면서 궁극적으로 문화연구, 특히 한국의 문화연구를 현재 시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자 했다. 이 글에선 주로 후기 스튜어트 홀의 사유와 현실에 밀착된 방법론의 관계성 그리고 그 방향성을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사실 한국 문화연구는 버밍엄 문화연구와 특별히 연구 방향성과 주제의 부분에서 거의 같은 것으로 여겨져 왔고, 우리 비판언론학계에서 이러한 이른바 '전통적 영국 문화연구'의 영향력은 여전히 매우 강력하지만, 오히려 어떤 면에서 이는 매우 한국적이며 특수한 현상일 뿐이다. 그 점을 스튜어트 홀의 대표 저작들에 대한 재독해와 이에 기반을 두어 후기 삶의 실천적 자취를 따라가 보면서 조금이나마 발견해 보고자 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