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ban Revitalization Policies of the Ruhr Area, Germany: Case Studies on the Cities of Oberhausen and Gelsenkirchen

독일 루르지역의 도시재생정책: 오버하우젠시와 겔젠키르헨시를 사례로

  • Shin, Dong-Ho (Department of Urban & Real Estate Studies, Hannam University)
  • 신동호 (한남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5.01.16
  • Accepted : 2015.02.08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Ruhr area in the Northwestern Germany grew rapidly from the 1850s based on coal mining and iron and steel industries, playing a key role as an engine of industrial growth. Since the 1950s, however, the area has been experiencing a serious economic crisis as the traditional industries declined. The crisis was comprised of increasing unemployment and abandoned industrial lands and facilities. Oberhausen and Gelsenkirhen are typical cities of the Ruhr, characterized by such economic crisis. Oberhausen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by developing a large leisure town, composed of a sopping mall, restaurants, and other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on a former steel mill site. Gelsenkirhen, on the other hand, went on to promote renewable energy industries, business incubators, and energy-saving housing complexes. This paper analyses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urban revitalization policies of the two cities, based on the path dependence theory, and draw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독일 북서부에 위치한 루르지역은 1850년대부터 석탄이 채굴되면서 석탄광업과 제철공업을 중심으로 유럽 최대의 공업지역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1950년대에 접어들면서 에너지원으로써 유류(Oil)에 비해 석탄의 가격과 품질 경쟁력이 떨어졌고 개발도상국의 부상에 따라 이 지역의 석탄광업과 제철공업이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부터 석탄광구와 제철공장이 하나씩 폐쇄되기 시작하여 도심에 조성된 많은 공업용지가 유휴화 되었고 실업자도 크게 늘어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하였다. 루르지역의 전형적인 공업도시라 할 수 있는 오버하우젠(Oberhausen)시는 이러한 문제에 당면하여 대규모 제철공장부지를 정화하여 거대한 쇼핑몰과 여가산업지구를 조성하였고, 겔젠키르헨(Gelsenkirhen)시는 석탄광업지구를 정화하여 태양광 산업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단지와 친환경 주택단지를 조성하였다. 본 연구는 경로의존론(Path Dependence Theory)에 입각하여 이 두 도시가 추진한 도시재생정책의 집행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