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o-economic Polarization and Intra-urban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 Received : 2015.02.04
  • Accepted : 2015.02.20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It is widely believed that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spired by globalization and economic restructuring worsens residential segregation by class in Korean cities. However, the existing literature falls short in showing the recent changes of the residential segregation, particularly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with reliable and systematic segregation measures. Noting that there are the two major dimension in residential segregation - evenness-concentration and exposure-clustering - this study introduced not only global measure (dissimilarity index and isolation/interaction index) but also local measures (location quotient and Local Moran's I) for each dimension. These measures are applied to the case study of Seoul in the 2000s. The class is defined by education attainment and the data is obtain through the MicroData System Service System(MDS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 attainment persists through 2000s and even get worse in some dimension. More significantly, it turns out that high-class and low-class residence are nearly mirror-images of each other, indicating high segregation.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계층 간 거주지 분리가 심화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1990년대 말 경제위기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급진전했음을 주목하고 이가 도시 내 거주지 분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를 사례로 2000년대를 걸쳐 일어난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계층은 교육수준으로 정의되었으며 자료는 동별로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시스템(MDSS)을 통해 추출하였다. 거주지 분리의 주요 지리적 양태별로 개별 도시에서 시계열적 변화를 가늠하는 전역적 측도와 도시 내 공간적 변이를 보여주는 국지적 측도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집중-균등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 상이지수를 그리고 국지적 지표로 입지계수를 활용하였으며 군집-노출을 측정하기 위해 전역적 지표로는 상호작용지수와 노출지수를 국지적 지표로는 로컬 Moran's I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지역에서 계층별 거주지 분화가 심화되었으며 도시내에서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계층 간 거주 패턴은 상호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국내 수위 도시에서 경제 위기 이후 거주지 분리의 최근 변화상을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