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ter Wittgenstein' Philosophy and Mathematics Learning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과 수학 학습

  • Received : 2015.01.10
  • Accepted : 2015.02.10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It is an increasing research area to explore mathematics learning from discursive perspectives. However,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conducted on why and how discursive perspectives in mathematics learning were adopted and developed. Especially, not much discussion has been done on the later Wittgenstein's philosophical stanc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as a background of discursive approach to learning mathemat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ater Wittgenstein on language to get better understanding about discursive approaches to mathematics learning. For the attainment of this aim, first the later philosophy is compared with the former philosophy in depth. Then the later philosophy is discussed focusing on how his point of view on the world and the language have been changed. After providing an account of his later philosophy, it is clarified that what is discursive approaches to learning mathematics and how this philosophy brace the approache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수학 학습에 대한 담론적 접근의 한 배경이 되는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이 무엇인지를 상세히 밝히는 것이다. 이는 수학 학습에 대한 담론적 접근을 철학적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비트겐슈타인의 전-후기 철학을 구분하고, 언어와 세계에 대한 그의 관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초점을 두어 설명함으로써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수학 학습에 대한 담론적 접근이 무엇인지와 이 접근에서 그의 후기 철학이 사용되고 있는 논리를 분명히 하였다. 이 논의들을 토대로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이 수학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호(2007). 논리철학논고의 중대한 오류들. 철학적 분석, 15, 127-157.
  2. 강진호(2009a). 그림이론?. 철학적 분석, 19, 1-41.
  3. 강진호(2009b). 전기 비트겐슈타인, 논리, 형이상학. 철학적 분석, 20, 85-117.
  4. 구나영, 이경화(2014). 중복 개념의 대상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1), 67-82.
  5. 구리나(2011).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교육학적 함의 : 삶의 형식의 메타프락시스적 해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지현(2000). 비고츠키의 지식점유과정과 언어매개기능에 관한 교육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박동섭(2008).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을 통한 교실 담화분석의 방향 모색. 교육인류학연구, 11(1), 37-72.
  8. 박병철(2003). 비트겐슈타인. 서울: 이룸.
  9. 박병철(2013). 비트겐슈타인: 언어적 표상과 세계. 철학연구, 48, 121-154.
  10. 박정일(2003). 논리철학논고. 철학사상, 16(14), 1-206.
  11. 박정일(2004). 비트겐슈타인은 왜 논고를 포기했는가. 논리연구, 7(2), 71-104.
  12. 심우엽(2003). 비고츠키의 이론과 교육. 초등교육 연구, 16(1), 207-223.
  13. 오택근, 박미미, 이경화(2014). 수학적 토론에서 의사소통적 갈등과 인지 갈등의 관계. 수학교육학연구, 24(2), 125-143.
  14. 이영철(2004).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관. 철학적 분석, 10, 25-50.
  15. 엄태동(1998). 교육적 인식론 탐구: 인식론의 딜레마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6. 홍진곤(2012). 주체, 구조, 담론, 그리고 수학 학습. 수학교육학연구, 22(4), 459-475.
  17. Bakhtin, M. M. (1981). The dialogic imagination: Four essays by M. M. Bakhtin. Michael Holquist (Ed.). (translated by Emerson, C. and Holquist, M.). Austin: Unversity of Taxas Press.
  18. Diamond, C. (1988). Throwing away the ladder: How to read the Tractatus. Philosophy, 63, 5-27. https://doi.org/10.1017/S0031819100043102
  19. Ernest, P. (2010). 수학교육철학, (강문봉, 백석윤, 이중권, 장혜원 역). 서울: 경문사 (영어초판은 1991년 출판).
  20. Fann, K. T. (1969). Wittgenstein's conception of philosoph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Fann, K. T. (1989).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란 무엇인가, (황경식, 이운형 역). 서울: 서광사 (영어초판은 1969년 출판).
  22. Hintikka, J. (2000). On Wittgenstein. Belmon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23.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Newton, I. (1999). The Principia : Mathematical principles of natural philosophy, (translated by I. Bernard Cohen and Anne Whitman with the assistance of Julia Budenz).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라틴어초판은 1687년, 영어초판은 1729년 출판)
  25. Pears, D. (2000). 비트겐슈타인, (정영목 역). 서울: 시공사 (영어초판은 1985년 출판).
  26. Sfard, A. (1998). On two meta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Educational Researcher , 27(2), 4-13. https://doi.org/10.3102/0013189X027005004
  27. Sfard, A. (2000). Steering (dis)course between metaphors and rigor: Using focal analysis to investigate an emergence of mathematical objec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3), 296-327. https://doi.org/10.2307/749809
  28. Sfard, A. (2001). There is more to discourse than meets the ears: Looking at thinking as communicating to learn more about mathematical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6, 13-57. https://doi.org/10.1023/A:1014097416157
  29.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s, and mathematiz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Sfard, A. (2014). Discursive approaches to learning mathematics. In, Lerman, S. (Ed).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pp. 405-408). New York: Springer.
  31. Sfard, A. & Kieran, C. (2001). Cognition as communication: Rethinking learning-by-talking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Mind, Culture, and Activity, 8(1), 42-76. https://doi.org/10.1207/S15327884MCA0801_04
  32. Vygotsky, L. S. (2011). 생각과 말, (배희철, 김용호 역). 서울: 살림터. (러시아어초판은 1934년, 영어초판은 1986년 출판).
  33. Wittgenstein, L. (1922/1961).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London: Routledge.
  34. Wittgenstein, L. (1953).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xford: Basil Blackwell.
  35. Wittgenstein, L. (2006a). 논리-철학 논고, (이영철 역). 서울: 책세상. (독일어초판은 1922년, 영어초판은 1961년 출판).
  36. Wittgenstein, L. (2006b). 문화와 가치, (이영철 역). 서울: 책세상. (영어초판은 1977년 출판)
  37. Wittgenstein, L. (2006c). 철학적 탐구, (이영철 역). 서울: 책세상. (독일어초판은 1953년, 영 어초판은 1953년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