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ambling Media System in the Construction of a Large Technological System

기술시스템 (Large Technological Systems) 이론구조를 활용한 경마방송 비교연구

  • Jung, Kuhyun (Korea Racing Authority Seoul Broadcasting Team,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Seo, Myeong-Cheon (Korea Racing Authority Horse Industry Research Institute) ;
  • Cho, Kyu-Dong (Korea Racing Authority Horse Industry Research Institute)
  • 정구현 (한국마사회 서울방송팀, 고려대학교 대학원) ;
  • 서명천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 ;
  • 조규동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4.12.16
  • Accepted : 2015.01.28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ambling media system, one of important factors in horse racing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vision in special field of horse racing industry, which is examined as comparative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gambling media system in terms of Large Technological Systems by Hughes(1987). This study approaches in two different viewpoints. First,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subjects of study in Large Technological System. Second, this study is to show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on domestic and foreign gambling media system through conceptualization. This paper shows vision and implications like faster decision-making by authority's direct operating, competitive content development, future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open-door policy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horse industry through the gambling media system, analyzing reverse salient which is the barrier of domestic gambling media system from comparative study.

본 연구는 경마산업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경마방송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경마방송과 해외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Hughes(1987)의 기술시스템(Large Technological Systems)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경마산업의 한 전문분야에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우선 한국의 경마방송을 기술시스템 구조를 적용하여 연구 대상들을 개념화하고 두 번째로는 개념화를 기준으로 해외 비교대상들과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비교를 통해 한국 사례에서 방해가 되는 역돌출 요소는 무엇인지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행체 직접 운영에 의한 빠른 정책결정,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 해외 개방정책 및 방송통신 융합흐름에 따른 미래 정책 개발 등 경마방송을 활용한 경마산업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한 비전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Ⅰ. 서 론

말산업은 마필 생산에서부터 유통, 소비, 서비스까지 다수 영역을 아우르는 복합 산업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1년 단일축종으로는 최초로 말산업 육성법이 제정·시행되었고, 정부는 말두수 및 말사육농가수 증대 등의 내용을 포함한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4년에는 제주지역이 말산업 특구로 지정되는 등 말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 지자체 등은 갖은 노력을 하고 있다.

말산업의 주력사업은 경마산업과 승마산업이다. 경마는 해외에선 1,420여개의 경마장과 5억 명의 팬을 가지고 있으며 오늘날에는 단순한 게임을 넘어 레저․관광 상품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하지만 국내사례를 살펴보면 해외 선진국처럼 진화하지 못하고 경마가 가지고 있는 사행적인 요소 때문에 국내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국내에서 경마를 포함한 말산업 관련 연구가 본격적으로 수행되기 시작한 시기는 2000년대 중반 이후로, 과거의 연구가 동물학적 측면에서 학문적 조망을 수행했던 것과는 달리, 최근에는 승마와 관련하여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심리학, 여가·레크리에이션, 스포츠 과학적 성격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1]. 그리고 경마산업과 관련된 연구는 김문영(2006), 정재현 외(2001), 박찬황 외(2008), 윤호중 외(2012) 등이 있다[2-5].

레저스포츠적인 요소를 포함한 경마산업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들이 한국의 경마산업, 더 나아가 말산업의 균형 있는 산업 성장을 도모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말산업 내에 4차 산업인 경마방송은 경마라는 상품을 다양한 방송장비를 활용하여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최근 방송통신의 발달로 미디어 마케팅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경마방송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김종덕(2002), 송병곤(2001), 김경준(2007) 등의 학위연구가 있으며[6-8], 이들은 국내의 경마방송 환경변화에 대비한 수익창출방안 등의 경마방송 발전방향을 연구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해외의 경마방송과의 비교를 체계적인 구조를 통하여 비교하지 않고 단순 제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편, 국외 연구를 살펴보아도 경마방송의 정보는 관련 시행체의 단행본, 잡지(World Racing), 신문 등에서 일부 다루어졌지만 심도 있는 연구 및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작은 이러한 다양한 연구 분야 중 방송통신의 융합으로 역할의 확대와 성장속도가 빠른 경마방송이 다른 해외 선진사례와 차이가 나는 원인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과 관련정보에 대한 필요성에서부터 출발한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토마스 휴즈의 기술시스템(LTS: Large Technological Systems) 이론에 기반한 비교분석틀에 의해 기준이 되는 한국 경마방송의 주요 하위요소들을 조사하고 배열하였으며 한국과 해외 6개 나라의 사례를 시스템 구조에 대입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첨부한 표나 다양한 자료들은 본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며 관련 자료들은 경마산업 시행체 관련자료(해외 출장보고서, 사업계획서, 연구보고서, 연감 등)를 통해 재구성하거나 틀에 맞게 인용하였다.

LTS 이론을 사용한 국내 연구는 DMB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미래과제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9], 국외 연구로는 모바일산업의 산업시스템을 비교분석 하였으며[10-11], LTS 이론 관점에서 19세기의 사회, 경제, 기술, 환경 등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12].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LTS 이론을 살펴보고 국내 경마방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LTS 구조에서의 경마방송을 알아보고 한국과 해외사례를 기술, 비즈니스, 제도 3가지 범주로 분류 및 분석하였으며, 시스템 발전을 위한 미래과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3장에서 결론 및 제언으로 연구를 맺고자 한다.

 

Ⅱ. 본 론

1. 이론적 틀과 연구방법

기술시스템 이론은 시스템 내부의 다양한 구성요소들끼리 서로 유기적으로 반응하며 발전한다고 정의하고 있다[13]. 그리고 구성요소들 중 한 요소라도 역행하면 이 시스템은 퇴보 및 붕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역행하는 요소를 역돌출(reverse salient) 요소라고 정의하였으며[14], 시스템을 운영하는 시스템 설계자는 구성요소들 중에 역돌출을 발굴하고 역량을 총동원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유는 뒤쳐진 역돌출 요소들은 LTS 발전 속도나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LTS 구조의 적용은 연구자의 연구 자료들을 개념화하거나 일정한 관점에서 접근하기에 유리하며 전체시스템 안에서 다양한 하위요소들 간의 관계를 동일선 상에 두고 분석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LTS 구조내의 이질적 요소들이 시스템 안에서 효과적으로 구조화되어 있거나 조합 되었을 때 발전 가능하다는 조건과 시스템의 진보는 추출된 역돌출 요소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하위 요소의 추가나 관련 있는 요소들의 변화에 달려있다는 전제로 접근하였다[15]. 이러한 접근을 위해 우선 경마방송 시스템구조를 기술, 비즈니스, 제도 3가지 큰 요소로 범주화 하고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LTS 구조를 통해 경마방송을 이론적으로 개념화하여 해외사례들과의 변수들 간의 비교를 통해 일치하거나 한 가지 변수만 다를 경우, 그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는 결정적 요인을 알아내는 차이법을 기반으로 한다[16]. 또한 해외사례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전제조건으로 모든 변수들이 같은 수준에서 관찰되어야 하며 비교연구분석을 다양한 수준에서 진행하였다. 즉, 각 시스템 내 관계들의 패턴과 구성 요소들의 역할을 검토하였으며 기본적으로 기술, 제도, 경영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17]. 또한 광범위한 사회 기술시스템 관점에서도 기술요소와 함께 지역, 문화, 법규, 나라, 인구, 경제 등 시스템 구조의 개념화나 표준화 작업에 들어갈 수 있는 나라들 간 다양한 요소들을 시스템에 반영하고자 하였다[18].

2. 경마방송

경마방송은 4차 산업으로 단지 시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최근엔 방송․통신융합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레저·관광 상품으로 발전시키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등의 경마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시청각 정보기능은 고객접점 역할 뿐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 생성으로 미디어 마케팅의 중심역할을 하며 신기술을 바탕으로 성장이 가장 빠른 분야 중 하나이다.

2.1 경마방송의 역사 및 현황

경마방송을 기술적으로 구분하면 경마장 등의 한정된 공간에 방문하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폐쇄회로를 통해 제공하는 방송이다. 이는 케이블 방송(CATV:Community Antenna Television)의 의미가 강하며 경마라는 특수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특수 전문방송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장 외에 지점은 TV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데 이때 별도의 특수방송 법인을 설립하지 아니하고 한국마사회법 시행령 5조(경마장의 신설, 설비)에 의거 일정 방송장비에 의한 자가 유무선 TV방송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즉, 경마방송은 영리목적 여부와 무관한 사업수행에 필요한 사내방송으로 해석되며, 시스템을 운영·관리하는 기술진과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편성하는 제작진으로 구성된 자주방송이라 정의할 수 있다.

경마방송은 1957년 뚝섬경마장과 명동 장외발매소에 유선전화를 연결하여 확성기로 장내방송을 오디오로 중계한 것이 시작이며[19],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시청자의 시청환경은 더욱 개선되었다. 특히, 1968년 결승카메라를 도입하면서 실황을 TV모니터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1974년에는 TV중계방송을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경마방송 또한 체계를 갖추고 장외지점까지 TV중계를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콘텐츠의 유통망 확대를 의미하는데 뉴미디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대단한 사건이었다. 1984년 1월에는 PTP(point to point)방식의 최초 컬러 방송이 시작되어 경마의 현장감을 장외발매소(강남, 천호, 청량리)에서도 접할 수 있게 되었고 1997년 6월부터 무궁화 위성의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경마방송의 다중화채널(MCPC : multiple channel per carrier)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경주 실황을 비롯한 영상채널 뿐 아니라 배당률(단승식, 복승식, 쌍승식)과 문자방송 등 다양한 채널운영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1999년엔 무궁화 위성 3호기의 위성중계시스템을 임차하여 현재까지 위성과 광을 이용한 안정감 있고 질 높은 방송을 제공하고 있고 이외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VOD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경마방송의 주요 내용은 고객의 경마관전과 마권구매 지원을 위한 경주실황과 배당률 영상제공이다. 이를 위해 경마실황에 대한 영상/음향을 경마 진행위주로 중계하고 배당률, 환급금, 마체중, 취소 등 변경사항, 착순 등 심의결과를 추가적으로 방송한다. 또한 경마관련 소식을 전하는 보도적 기능과 여러 가지 경마관련 교양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고객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Whannel(1983)은 텔레비전에서 다양한 각도의 카메라, 느린 화면과 재생을 통해 현장의 관객이 느끼지 못하는 새로운 시각으로 스포츠를 접할 수 있으며 이처럼 신기술을 활용한 순간재생, 느린화면, 정지화면은 스포츠를드라마의 차원으로 바꿔 놓는다고 하였다[20]. 말들 및 기수들의 경주에 대한 승부를 다루기 때문에 정해진 각본이 없는 경마중계 또한 살아있는 현장을 대본과 편집 등의 사전 준비 없이 생생하게 전달하여야 하며, 다양한 카메라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강한 애드리브가 필요하다. 약 30대의 카메라를 투입하여 기수들의 몸짓과 표정부터 출전 마필들의 상태 등을 하나하나 비추어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고, 다양한 컴퓨터 그래픽은 해설을 위한 보충용 자료로 활용되며 카메라가 잡지 못하는 화면이나 다양한 마필, 기수정보 등을 재연하여 분석적인 시청이 가능하게 한다.

지난 50여 년간 경마 콘텐츠의 생산과정은 생산주체인 방송제작자의 입장과 판단에 의해 제작되어 왔지만 인터넷의 발전으로 지금의 방송환경은 급속도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기반의 방송환경에서는 시청자가 방송에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나 뉴미디어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카메라의 시점이나 보다 많은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21].

2.2 연구 대상

<표 1>은 각 나라별 시행규모를 나타낸 표이며 매출뿐 아니라 경주분류 표준위원회(ICSC: International Cataloguing Standards Committee)1)의 분류 또한 동시에 표시된 표이다. ICSC 지수에 의해서 한국보다 매출규모가 큰 미국, 영국, 호주, 프랑스, 일본, 홍콩 6개 나라의 경마방송을 LTS 구조에서의 경마방송에 대한 비교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경마산업 분야에서 신규나 소규모 국가는 본 연구의 비교대상에서 제외를 하였다.

표 1.출처: ’13년 국제경마연맹(IFHA) 발표 통계, 서러브레드·평지경주·유로화 기준 ※ 한국은 서러브레드 경주가 아닌 제주경마공원의 경주 수 및 매출액은 제외하였으며, 1유로당 1,448.20원의 환율을 적용하였음

3. LTS 구조와 한국 경마방송

3.1 LTS 구조에서 한국 경마방송

<표 2>는 LTS 이론을 경마방송에 대입하여 개념화 한표이다. LTS 구조에서 경마방송은 고객에게 시청각 정보제공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구조화 되어있다.

표 2.LTS 구조에 의한 경마방송 분석 Table 2. Korea's Horse racing broadcasting system analysis following the LTS structure

한국 경마방송의 기술 측면에서는 방송중계나 홍보, 이미지 개선을 목적으로 다양한 고품질의 기술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또한 시행체 직접 운영으로 시스템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있으며 고품질 기술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송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규모에 차이는 있지만 해외 시행국 대부분 이러한 전문채널을 중심으로 방송통신 융합흐름에 적응하고 특화된 기업광고나 간접광고(PPL), 중계료 등 다양한 수익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경마방송의 비즈니스 측면을 살펴보도록 하자. 한국은 경마역사가 오래되었을지라도 경마방송 부문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하거나 브랜드 가치가 높은 콘텐츠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로 인해 콘텐츠 유통은 국내 유통만 가능하고 외국에 비해 경쟁력 있는 상품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역돌출 요소는 미래 해외시장 진출 시 오히려 역 침투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폐쇄적 풍토에서 벗어나 보다 개방적 풍토에서 경마의 순기능을 보다 관심 있게 보며 해외시장을 목표로 경쟁력 있는 상품을 만들어 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싱가포르의 경마 콘텐츠 수출사례나 프랑스 수출계획은 이러한 노력의 출발점이라 생각된다.

제도 측면에서 보면 한국 경마방송은 사감위(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라는 상위 규제단체의 정책에 따라 케이블 TV 재전송 폐지 등 규제사례, 문화적 폐쇄성 등은 역돌출 요소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의 경마방송은 ‘사행행위 등의 내용을 다룰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방송심의규정 제28조(건전한 생활기풍)에 적용되며, 한정된 공간(본장과 지점)에서만 시청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방송법 제5조(방송의 공적 책임) 4항에 따라 스포츠 뉴스의 경마단신을 제외한 경마 장면을 방영하는 것이 금기시 되어 온 것 또한 경마방송의 규제로 볼 수 있다.

한국의 경마방송을 LTS 이론에 따라 분석한 결과 기술, 비즈니스, 제도 같은 구성요소들이 서로 맞물려 발전하고 있으며 시스템 발전의 원동력이자 서로 분리되거나 고립된 장치가 아니라 시스템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비즈니스나 제도사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항상 요소들 간 갈등으로 시스템 위기가 있기 마련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같이 하위요소들의 변화에 달려 있거나 새로운 요소를 첨가하는데 해결점이 있다고 판단된다[13].

3.2 LTS 구조에서 해외 경마방송과의 비교

3.2.1 기술적인 측면

<표 3>에서와 같이 한국 경마방송의 기술 사례에 대한 분석에서는 규모나 운영수준에 있어서 해외선진국의 경마방송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 상위에 있다. 한국의 경마방송은 ICT인프라나 고화질 TV 등 시청 환경이 매우 우수하며 홍콩의 경마방송처럼 시행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구조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홍보와 방송을 전문적으로 전담하는 전문방송국 시스템은 아니며 사내방송에 가깝다는 의미이다. 또한 다양한 ICT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웹이나 스마트 폰을 통해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홍콩의 기술적 인프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일본, 홍콩 세 나라가 지역적으로 가깝고 시행체간의 교류 등으로 방송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표 3.각국 경마방송의 기술사례 자료 분석요약 Table 3. The technology case analysis of 7 countries

또한 해외에서는 프랑스를 비롯한 해외 여러 국가가 IPTV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경마방송을 제공하는 등 콘텐츠 접목에 유리한 플랫폼을 활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2.2 비즈니스적인 측면

<표 4>에서는 경마방송의 비즈니스 사례에 대한 자료를 분석 요약하였다. 해외의 경마방송 비즈니스 사례의 특징은 문화적, 지형적 특성에 따라 주력 매체를 선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디어 마케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한 예로 영국의 경마방송은 위성방송이 주 미디어이며, 넓은 지리적 요건과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미국의 경마방송은 케이블 TV가 주력 미디어이다. 또한, 프랑스의 경마방송은 실험정신이 강하여 관련 콘텐츠를 IPTV에 최초로 접목하는 등 유럽에서 가장 실험적인 전략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시아에선 홍콩의 경마방송이 다양한 미디어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프랑스와 홍콩 경마방송의 비즈니스 정책 이면에는 정책적 지원, 국민들의 높은 관심도 등 개방적인 문화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표 4.각국 경마방송의 비즈니스사례 자료 분석요약 Table 4. A summary analysis of Horse Racing Broadcasting Business Cases of 7 Countries

3.2.3 제도적인 측면

제도 사례분석에서는 경마방송의 상위 요소인 경마산업 범주에서 분석하였다. 이는 각 나라별 법이나 제도적인 사례를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 분석하기에는 적용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국과 홍콩은 경마 시행체인 한국마 사회와 홍콩자키클럽에서 경마방송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일반 방송국에 적용하는 방송법보다는 자체 운영과 관련된 한국마사회법에 의해 규제를 받는다. 즉 폐쇄적 공간의 사내방송형태에 가까워 광의의 방송(放送)보단 특정 고객을 위한 협송(狹送)에 가깝다.

<표 5>의 경마방송의 제도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 경마산업은 국가산업으로 정부의 관리감독(미국은 주별 관리)을 받으며 합법적인 제도권 안에서 운영되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해외에서는 정책입안자를 포함한 대중의 지지로 인해 경마산업이 오랜 역사와 함께 긍정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마는 일제강점기에 유래되어 그 당시 지식인의 환영을 받지 못했다는 점과 사회 전반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발전에 역돌출 요소가 되었으며 마케팅이나 홍보에 수동적이다. 결국, 한국의 부정적 인식은 사행산업의 무조건적인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 접근에 있어서 많이 위축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표 5.각국 경마방송의 제도 사례 자료 분석요약 Table 5. A summary analysis of Horse Racing Broadcasting Cases of 7 countries

3.3 시스템 발전을 위한 미래과제

토마스 휴즈가 역돌출 개념을 가장 중요한 분석적 개념으로 제안했듯이 시스템 운영자는 시스템 발전을 위해 한국의 비즈니스, 제도의 역돌출 요인처럼 시스템 성장에 지체되는 영역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또한 성공한 시스템 운영자는 역사적으로 역돌출 요소를 개선하고 정확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공통점이 있다[14]. 하지만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같은 기술적 문제와 다르게 비즈니스나 제도적인 문제는 많은 이해관계가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기술변화로 인해 요소들 간 이해대립은 점차 심해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정치적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8].

결국, 구성 요소들 간의 다양한 이해대립, 분쟁 등은 더 복잡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불간섭주의가 항상 최상의 해결책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특히 제도는 비즈니스와 맞물려 있는 분야이고 시스템 주체가 결정하거나 조정하기엔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즉, 시스템 운영자 및 관계자 입장이 아니라 정책입안자 입장에서 접근하여야 하고 제도 측면은 단기적으로 접근하기 보단 장기적으로 정치적 협조나 창조적인 해결책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연구는 경마방송의 시스템 운영자 및 관계자에게 <표 6>과 같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구결과 경마산업 규모에 따라 방송국 운영 형태의 특징을 알 수 있으며 방송국 운영 규모가 큰 시행국은 전문방송국의 설립으로 효율성을 높인 반면 홍콩이나 한국처럼 2∼3개 경마장 운영체계에서는 직접 운영으로 보다 빠른 정책 결정과 다양한 비즈니스 개발 및 추진에 유리한 형태를 취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한국, 홍콩, 일본이 다른 나라보다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이점은 세 나라를 중심으로 유사한 방송기술 인프라가 발전하였으며 이는 나라 간 다양한 교류 및 벤치마킹, 미디어 활용 능력이 뛰어난 민족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6.LTS 구조에서 경마방송 분석에 따른 시사점 Table 6. The implications through Horse racing broadcasting analysis following the LTS structure

해외에 비해 경쟁력 있는 경마 콘텐츠 부족이라는 특징은 해외시장 개방 시 역침투 가능성이 있다. 한 예로 영국은 엡섬더비(Epsom Derby), 미국의 켄터키 더비(Kentucky Derby), 일본의 재팬컵(Japan Cup),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월드컵(Dubai World Cup), 프랑스의 개선문상(Prix de l'arc de Triomphe) 등 국제적으로 브랜드 가치가 높고 전통 있는 상품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 간 상호 방송중계를 통해 유통망 확대 및 중계료를 기본으로 다양한 부가 수익요소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경마방송은 아직 걸음마 단계로 싱가포르 및 프랑스에 콘텐츠 수출 및 계획 하에 있지만 점차적으로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로 해외진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해외선진국의 공통 패러다임은 개방정책이며 이러한 개방성은 다양한 마케팅전략이 가능하고 동시에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 예로 유럽에서 경마가 IPTV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킬러 콘텐츠(killer contents)가 되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사이멀캐스팅(simulcasting:나라별 교차경주)은 해외시장의 확대를 가능케 하였다[23]. 하지만 이 같은 비즈니스나 제도 측면은 시스템 내에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며 보다 큰 범주인 사회, 문화적 환경과 국민적 공감대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스템 운영자는 건전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고 추후 중국시장처럼 해외시장 개방 시 차세대 미래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Ⅲ. 결론 및 제언

연구의 방법론적 출발은 토마스 휴즈의 LTS 이론으로부터 시작되었다. LTS 구조 관점에서 볼 때 경마방송 시스템 개념화는 역으로 경마산업 현황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고 LTS의 특성을 본질적으로 증명하리라 판단된다. 이를 위해 해외 사례들을 구체화하였으며, 하위 요소들을 통해 시스템을 이론화하였고, 경마방송의 시스템 개념화와 역돌출 요소를 통해 해외 사례들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LTS 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해외 선진국들의 경마방송은 기술, 비즈니스, 제도요소가 어느 정도 균형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국내 경마방송은 기술을 제외한 비즈니스, 제도가 역돌출 요소로 인해 비대칭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기술적 요소는 해외사례와의 비교 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영국이나 프랑스, 호주처럼 경마를 그 나라의 축제나 페스티발에 활용할 정도로 긍정적 인식을 가진 나라는 비즈니스에 적극적인 특징을 갖지만, 한국은 소극적 마케팅이 특징이며, 일본에서 유래된 이유로 지식인의 환영을 받지 못하였다는 점, 이로 인해 음성적 인식이 만연한데서 역돌출 요소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해외와 달리 규제정책 등 폐쇄성을 갖는 점이 특징이다.

시스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서는 비즈니스나 제도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나 해결에 앞서 관련단체나 정부의 이해관계의 조정이나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 운영자나 관계자들은 제도나 비즈니스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통제 가능한 수준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마산업 전체의 그림이 아니라 경마방송이라는 하위 요소이며, 다른 경마산업 선진국들의 LTS 구조에 있어서 유사성을 공유할 지라도 각 요소들의 특징이나 그들 사이의 관계는 다를 수 있다. 이는 각 요소들의 발전 과정이나 문화, 인프라 등 다양한 변수들에서 차이가 발생하며 특히 법규, 산업정책, 정부 같은 사회적 기반과 산업들의 관계는 복잡하고 광범위하여 요소들끼리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경마산업에 관련된 방송공학, 미디어 마케팅, 방송통신 융합 분야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관련 산업의 학문적 조망 및 균형있는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또한 해외 연구결과 경마가 IPTV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킬러 콘텐츠가 되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사이멀캐스팅은 해외시장의 확대를 가능케 하였듯이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방송통신 융합분야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하지만 전체 산업측면에서 접근한다면, 국민적 공감대하에 건전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고 추후 중국시장처럼 해외시장 개방 시 차세대 미래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Horse Industry Research Institute(Korea Racing Authority), Horse Industry briefs 1st, July, 2013.
  2. M.Kim,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the Promotion of the Horse Industr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Livestock Industry", Journal of East-West communication council, Vol. 10, No.10, pp. 161-197, Dec. 2006.
  3. J.Chung, S.Kim, "Segmenting Horse Racing Gamblers Using the Concept of Involvement",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25, No. 2, pp. 57-77, Oct. 2001.
  4. C.Park, K.Kim, "Horseracing Industry as Leisure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Korean Business Education Association, Vol. 13, No.13, pp. 65-76, Dec. 2008.
  5. H.Yoon, J.Jung, Y.Kim,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variables and horse racing industry of Korea",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1, No. 6, pp. 903-914, Nov. 2012.
  6. C.Kim, "The study of establishment a gambling channel by which it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ambling industries in Korea-Focused on the horse racing and bicycle racing", The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Master's degree, 2001.
  7. B.Song, "Changes of Environment in Racing Industry and the Countermeasures of Korea Racing Association", The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Master's degree, 2001.
  8. G.Kim,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Gamble Media through New Media-Centering on Horse Racing Broadcasting", The Graduate School of Mass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Master's degree, 2007.
  9. S.Kim, "A study on the ways for saving DMB services", Korea Journal of Information Society, Vol. 17, No. 5-3, pp. 33-46, May, 2010. https://doi.org/10.9708/jksci.2010.15.5.033
  10. Janne Lehenkari, Reijo Miettinen, "Standardisa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large technological system—the case of the Nordic mobile telephone system",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 26, No. 3, pp. 109-127, Aug. 2002. https://doi.org/10.1016/S0308-5961(02)00004-6
  11. A.Takeishi, K.Lee, "Mobile music business in Japan and Korea: Copyright management institutions as a reverse salient",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Vol. 14, pp. 291-306, Aug. 2005. https://doi.org/10.1016/j.jsis.2005.07.005
  12. R.Williams, "Cultural origins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large technological systems", Science in Context, Vol. 6, No. 2, pp. 377-403, Jan. 1993. https://doi.org/10.1017/S0269889700001459
  13. R.Mayntz, T.Hughes, (Eds.), The development of large technical systems, West view press, USA, pp. 5-36, 1988.
  14. T.Hughes, The evolution of large technological system, MIT Press, USA, pp. 51-82, 1987.
  15. T.Hughes, Networks of power: Electrification in western Society, Johne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pp. 1-17. 1993.
  16. J.Mill, System of Logic, Ratiocinative and Inductive, Longmans, London, pp. 451-466, 1872.
  17. A.Przeworski, H.Teune, The Logic of Comparative Social Inquiry, Wiley, New York, pp. 31-46, 1970.
  18. W.Bijker, T.Hughes, T.Pinch,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MITPress, Cambridge, MA, pp. 190-191, 1989.
  19. Korea Racing Authority, half a century history of Korea Racing Authority, KRA, Seoul, pp. 261-267, 1993.
  20. G.Whannel, Blowing the whistle: The Politics of sport, Pluto Press, London, pp. 122-130, 1983.
  21. H.Jung, "A Study on the Soccer Broadcasting in Data Broadcasting adopted from the Technique of Soccer Video Games", Th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Master's degree, 2005.
  22. www.horseracingintfed.com/standardsbook.asp
  23. K.Kim, S.Choi, IPTV, Nanam, Seoul, pp. 79-18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