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적 파라텍스트로서의 모바일 혼합현실 스토리텔링

Mobile Mixed Reality Storytelling as Spatial Paratexts

  • 김여진 (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윤재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 남양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투고 : 2015.07.17
  • 심사 : 2015.09.21
  • 발행 : 2015.11.30

초록

본 논문은 문학비평에서 사용되는 파라텍스트라는 개념을 통해 모바일 혼합현실 기술의 가치와 의미, 속성을 새롭게 조명한다. 물리적 장소가 메인텍스트이자 고정된 체계인 '랑그(langue)'라면 일반 사용자들이 현장에 남기는 참여적 저작과 시공간적 흔적과 발화는 '빠롤(parole)'에 해당하며, 이들이 혼합된 모바일 혼합현실 스토리텔링을 파라텍스트로 보았다. 이에 대한 구현 가능한 방법과 미적 변용의 실험 및 응용들을 제시함으로써 모바일 혼합현실 공간의 파라텍스트 개념을 구체화했다.

Giving birth to a new concept of spatial paratext which originated from literature criticism,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new value, meaning and properties of mobile mixed reality. While physical places can be regarded as 'langue' that refers to fixed structure and main text at the same time, user created participatory authoring in that place and his(her) spatio-temporal trace corresponds to 'parole', and their merging into mobile mixed reality storytelling can be viewed as 'paratexts'. We proposed a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s for establishing spatial paratexts, also with aesthetic transformation experiments with them. In this way, we gave shape to the concrete concept and realization methods of mobile mixed reality as spatial paratext.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푸투안.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 대윤. 2007.
  2. Lee, G., Kim, G. and Billinghurst, M. Immersive authoring: What you experience is what you get (wyxiwyg).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8. No. 7. pp. 76-81. 2005. https://doi.org/10.1145/1070838.1070840
  3. Yang, M., Chao, C., Huang, K., Lu L. and Chen Y. Image-based 3D Scene Reconstruction and Exploration in Augmented Reality.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33. pp. 48-60. 2013. https://doi.org/10.1016/j.autcon.2012.09.017
  4. Genette, G. Paratexts: Thresholds of Interpretation. Vol. 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 Glas, R., Jorgensen, K., Mortensen, T. and Rossi, L. Framing the Game. Crawford, G., Gosling, V. K. and Light, Ed., Gamers: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Online Games.Vol. 56. pp. 141-158. Routledge. 2013.
  6. 이어령. 공간의 기호학. 민음사(주), 2000.
  7. 페르디낭드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최승언 역. 현대 사상의 모험. 민음사(주). Vol. 18. 2015.
  8. 하태진, 우운택. 디지로그 북 저작을 위한 3D 객체의 In-Situ 기반의 이동 궤적 편집 기법. 한국HCI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한국HCI학회. pp.15-24. 2010.
  9. Kim, K., Park, N. and Woo, W. Vision-based All-in-one Solution for Augmented Reality and Its Storytelling Applications, The Visual Computer. Vol. 30. pp. 417-429. 2014. https://doi.org/10.1007/s00371-013-0865-6
  10. Nam, Y. Designing Interactive Narratives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Cluster Computing. Vol. 18. No. 1. pp. 309-320. Springer. 2015. https://doi.org/10.1007/s10586-014-03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