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Candidates, their Developmental Level of Entrepreneurial Traits and Choice of Business Field

예비 창업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창업성향 발달도 및 창업업종 선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09.22
  • Accepted : 2015.10.25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o exploratory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candidates and their developmental level of entrepreneurial traits as well as the choice of business field. We analyzed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entrepreneurial candidates and their developmental level of entrepreneurial traits such as achievement tendencies, degree of awareness, planning skills, sincer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roblem-solving skills. Industry field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restaurants, retail, services, internet busines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logistic regressions, and variance analyses were performed about the sample data gathered from 1,441 persons since the year 2002 to 2014. Males and highly educated above university preferred service industry than restaurant, retail, and internet business. Females preferred internet business, retail, and restaurants than service industry field. The young persons under 20 showed higher probability to choose internet business. The college level and high school graduates preferred retail and restaurants than service industry. The developmental level of entrepreneurial traits were higher in male and highly educated. By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divide between groups with high and low probabilities of failure: restaurants and retail field showed higher failure probability than service industry in the business fields of self-employed. Furthermore, we could identify that entrepreneurial traits also had been develop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roups.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entering into the fields with high failure probabilities as well as to provide supporting policies to build the systems and environment to reduce the cases to begin new business without special knowledges and know-hows. The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should be provided in the early stage of start-ups considering their entrepreneurial traits and aptitudes. Not only the assessment of the entrepreneurial traits but also professional counseling from initial stage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예비 창업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창업업종 선정 및 창업성향 발달도 간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이다. 예비창업자의 성, 연령, 학력에 따른 외식업, 유통업, 서비스업, 인터넷사업의 업종선정 및 성취도, 인지도, 계획성, 성실성, 대인관계, 문제해결의 6가지 창업성향 발달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에 참가한 예비창업자 1,441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또는 대학졸업 이상에서 외식업 및 유통업, 인터넷사업에 비하여 서비스업을 선호하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성향 발달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은 서비스업보다는 인터넷사업, 유통업, 외식업을 더 선호하였으며 20대 이하의 젊은 층에서는 다른 업종보다는 인터넷사업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재학 이하에서는 서비스업보다는 외식 및 유통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 조사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자영업의 실패율이 높은 외식업 및 유통업을 선택하는 계층과 새로운 창업기회 창출 및 실패율이 적은 서비스업을 선택하는 계층이 구분되고 있음을 검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창업성향 발달도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창업자 스스로는 물론이거니와 실패율이 높은 창업, 특별한 노하우 없이 시작하는 창업을 지양하거나 줄일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체계를 구축하는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즉, 창업자 적성과 능력을 고려한 기술력과 노하우, 창업성향 등의 개발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과 정부차원의 재교육 제공이 필요하며, 창업정책 지원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이러한 창업자 적합성에 관한 검사 및 전문 상담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