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근 전기자극치료와 함께 적용된 자가 삼킴 운동 프로그램이 삼킴 장애 환자의 삼킴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 Swallowing Exercise Program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NMES) on Swallowing Function of Dysphagia

  • 윤인진 (서울아산병원 작업치료실) ;
  • 김두리 (서울아산병원 작업치료실) ;
  • 조영문 (서울아산병원 작업치료실)
  • Yoon, In-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oul Asan Medical Center) ;
  • Kim, Du-R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oul Asan Medical Center) ;
  • Cho, Young-M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oul Asan Medical Center)
  • 투고 : 2015.05.09
  • 심사 : 2015.06.22
  • 발행 : 2015.06.30

초록

목적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와 함께 적용된 자가 삼킴 운동이 삼킴 장애 환자의 삼킴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5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서울 소재 A 종합병원에서 삼킴 장애로 진단받아 삼킴 재활치료가 의뢰된 입원 환자들을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 모두 VitalStim을 이용해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받는 60분 동안 30분간 삼킴 재활치료를 받았고, 실험군은 추가적으로 남는 30분간 자가 삼킴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는 3주간 주 5회 진행되었다. 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대상자들의 일반적 정보를 조사하였고, 중재 전후 삼킴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비디오 투시 삼킴 장애 검사와 침습-흡인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중재 전 두 군의 삼킴 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재 전후 대조군은 비디오 투시 삼킴 장애 척도 총점, 조롱박오목의 잔여물과 흡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군은 비디오 투시 삼킴 장애 척도 총점, 후두개계곡의 잔여물, 조롱박오목의 잔여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중재 전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삼킴 기능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신경근 전기자극치료와 함께 적용된 삼킴 재활치료 또는 삼킴 재활치료와 자가 삼킴 운동이 삼킴 장애 환자의 인후두 기능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나 추가적으로 적용된 자가 삼킴 운동이 유의한 변수로 작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 swallowing exercise program with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NMES) on swallowing function. Methods : Subjects who were diagnosed in dysphagi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or experimental group. Both group were received NMES during 60 minutes with traditional swallowing therapy during 30 minutes.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ceived self swallowing exercise during 30 minutes. We invested subject's characteristics through medical chart. We used VDS(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and PAS(Penetration Aspiration Scale) for assessing the swallowing function. Results :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pre swallowing functio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 pyriform sinus residue, aspiration, and VDS total score(p<.05).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 vallecular residue, pyriform sinus residue, and VDS total score(p<.05). Both group's difference of pre and post swallowing fun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 Self swallowing exercise and traditional swallowing therapy with NMES and traditional swallowing therapy with NMES are positive effect on swallowing function. The self swallowing exercise is not effective fact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