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elf-Efficienc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Local Community Stroke Patients on Quality of Life in Caregiver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동작과 자기 효능감이 보호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5.07
  • Accepted : 2015.06.22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degree of independence in stroke patients residing in a community based on their self-efficac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lso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residing strok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by figuring out the life quality of their guardians. Methods : For total two weeks between May 12th and 23rd, 2014, this researcher collected data by using a survey (K-IADL, a scale to measure self-efficacy, WHOQOL-BREF) targeting 138 stroke patients who received over 24 points in MMSE-K among the outpatients of three hospita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wo hospitals located in Geoje-si, Gyeongsangnam-do, and total 125 sheet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Results : Among the 125 patients, 70 were males, and 55 were females, and their average age was 58.72 (16 to 82). The subjects' general self-efficacy (p<0.01) and detailed self-efficacy (p<0.01)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guardian's life qual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found between thei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ir guardian's life quality. Conclusion : Their general self-efficacy and detailed self-efficacy indicated correlation with their guardian's life quality, and amo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ctor of their financial situation indicated correlation with their guardian's life quality. In conclusion, when stroke patients' self-efficacy is higher, their guardian's life quality increases, too, and if their financial situation is more favorable, their guardian's life quality gets higher. However, stroke patient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d not indicate correlation with their guardian's life quality. When looking at the chronic trend of outpatients, therapeutical plan must be established about the self-efficient recovery for the development of those who are not satisfied.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중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과 수단적일상생활동작의 정도로 자립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보호자의 삶의 질을 파악해봄으로써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 5월 12일부터 2014년 5월 23일까지 총 2주간에 걸쳐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3개 병원, 경상남도 거제시 소재 2개 병원에 외래 치료중인 MMSE-K 24점 이상인 뇌졸중 환자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K-IADL,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WHOQOL-BREF)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25부를 최종적으로 분석 하였다. 결과 : 125명의 환자 중 남자는 70명, 여자는 55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8.72세(16세~82세)이었다. 대상자는 일반적 자기 효능감(p<0.01), 구체적 자기 효능감(p<0.01)과 보호자의 삶의 질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수단적 일상생활 동작과 보호자의 삶의 질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구체적 자기효능감이 보호자의 삶의 질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중 경제상황 요인이 보호자의 삶의 질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보호자의 삶의 질도 높아지며 경제상황이 좋을수록 보호자의 삶의 질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정도와 보호자의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외래 치료중인 환자의 상황이 점점 만성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볼 때 현재 자신의 상태에 만족하지 않고 좀 더 발전 할 수 있는 자기 효능감 회복에 대한 치료적 계획이 수립되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