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0℃에서 생장하는 미생물을 1902년에 Schmidt-Nielsen가 최초로 내냉성미생물(psychrophiles)라고 정의하였는데[20], 이 용어는 cold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sychros와 loving을 의미하는 philos에서 유래된 것으로 psychro-phile은 cold loving을 의미한다. 그동안 내냉성 미생물을 지칭하는 용어가 학자들의 주장에 따라 차이를 보여왔으나, 1968년 국제낙농연맹(International Dairy Federation, IDF)에서 “내냉성미생물(psychrotrophic)이란 최적 생장온도와는 관계없이 7℃ 또는 그 이하에서 생장가능한 미생물로 한다” 고 정의하였다. 온도는 미생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내냉성 미생물은 비록 0℃에서 생장이 가능하지만, 최적 생장온도는 이보다 훨씬 높다[12, 26]. 내냉성 미생물의 최적 생장온도는 대부분 20~30℃이며[7], 최저 생장온도는 -10℃이다[8, 22]. 낮은 온도일수록 산소의 용해도와 효율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내냉성 미생물은 중온성 미생물에 비해 더 호기적인 환경을 선호한다[9]. 또한 내냉성 미생물은 중온성 미생물에 비해 세포막에 지방의 함유량이 높아 세포막의 면적이 더 넓기 때문에 영양분을 흡수하기 더 용이하고 낮은 온도에서도 막수송이 가능하여 0℃의 환경에서도 생장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19].
원유와 유제품의 내냉성 미생물 중 대부분은 토양, 물, 채소 등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토양, 목초 및 건초는 1×107 CFU/g의 내냉성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다[25]. 물은 원유와 유제품에 있어서 내냉성 미생물의 오염원이며, Pseudomonas, Achromobacter, Alcaligenes 및 Flavobacterium 속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Chromobacterium과 Bacillus 속은 극소수를 포함하고 있다[24]. 원유의 내냉성 미생물 오염은 착유과정에서 사용되는 물과 유방 및 유두 표면, 흙, 농장의 집유탱크나 펌프 및 파이프라인에 생성되는 유석 및 가공과정에서의 기기표면으로부터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15]. 가축의 분뇨는 내냉성 미생물의 서식처로 알려져 있으며, 착유우의 유방이 분뇨에 오염되어 원유 내로 유입된다[17, 26]. 착유우의 유방과 유두를 소독제의 농도를 높여 소독하였을 경우 내냉성 미생물의 수가 현저히 감소된다. 노후화되고 낙후된 비위생적인 목장과 유가공시설은 내냉성 미생물의 주요 오염원이 된다[16].
집유과정에서 내냉성 미생물에 오염된 원유는 공장에서의 저온저장 중 내냉성 미생물의 계속되는 증식으로 인하여 유제품 품질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내냉성 미생물은 살균처리 과정에서 대부분 사멸하지만 생성된 내열성 효소는활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 제조 이후에 우유 단백질과 지질을 분해하여 off-flavor, bitter taste 및 rancid 등의 풍미를 생성하고 원유와 유제품의 보존성을 저하시킨다[18]. 내냉성 미생물이 생산하는 지방분해효소는 유지방을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생성하며, 지나친 지방의 분해는 원유와 유제품의 rancidity를 초래한다. 내냉성 미생물의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한 원유로 제조한 Cheddar cheese의 숙성기간 중 쓴맛 아미노산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관능상의 bitterness 증가를 보고하였으며, 또한 Alcaligenes metalcaligenes와 Pseudomonas viscose는 Cottage cheese의 점질막을 형성하여 유제품의 변패에 관여한다고 하였다[3]. 본 연구는 국내 원유 내 존재하는 내냉성 미생물이 Gouda cheese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이 높은 균주(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를 분리 및 동정[21, 22, 23] 하였고, 이 균주를 원유에 접종하여 제조한 Gouda cheese의 숙성중 지방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Gouda cheese의 제조
Gouda cheese는 내냉성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5.00 log CFU/ml로 접종하여 3일과 6일 동안 저장한 원유 7 kg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사용된 복합균주인 FD-DVS CHN-11 (Lactococcus lactis sp.cremoris, Leuconostoc mesenteorides sp. cremoris, Lactococcus lactis sp.lactis, Lactococcus lactis sp. lactis biovar diacetylactis)은 Chr. Hansens A/S(Horsholm, Denmark)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원유는 72℃에서 15초 동안 살균처리하였으며, 살균된 원유(7 kg)는 31℃ 치즈베트에서 복합균주를 75 unit로 농도를 조정하여 접종하였으며, 0.005~0.01% 범위의 산도 증가를 기준으로 약 60분 동안 정치하였다. 멸균된 증류수에 10배의 농도로 희석된 렌넷은 0.26 ml/kg의 농도로 첨가하였으며, 10분 동안 약하게 교반한 후 50분 동안 정치시켜 커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커드는 5~7 mm 큐브 크기로 절단하여 31℃에서 25분 동안 교반하여 pH를 6.4~6.5로 조정하였다. 이 후 약 40% 가량의 유청을 제거한 후 최종 37~38℃가 되도록 20분 동안 60℃의 물을 가수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제조한 커드는 28 psi의 압력으로 5시간 동안 압착하였으며, 압착 후 pH는 5.3~5.5로 하였다. 압착한 커드는 20% 소금물에 20시간 동안 염지하였으며 pH는 5.15~5.25로 조정하였다. 제조한 치즈는 최초 15℃에서 2주동안 숙성하였으며, 이 후 4주 동안 10℃에서 숙성하였다. 분석을 위한 시료는 염지 직후(0일), 2주 숙성 및 6주 숙성 후에 각각 채취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치즈 시료는 각각두 번씩 제조하여 분석 일정에 따라 절단한 후 개별 진공 포장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성분의 분석
내냉성 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접종 후 냉장보관 3일과 6일이 경과한 원유로 각각 제조한 Gouda cheese를 0일과 6주 동안 숙성시킨 다음 치즈 내 수분, 조지방을 분석하였다. Gouda cheese의 총고형분과 지방 함량 분석은 시료별 3회 반복 실험 하였다[1].
유리지방산의 분석
유리지방산의 분석은 FFAP column (50 m×0.25 mm, 0.25 μm)이 장착된 Agilent model 6890 GC-FID (Agilent, Chandler, USA)을 사용하였다. carrier gas (nitrogen)의 유속은 2ml/min이고, 오븐온도는 최초 65℃에서 분당 10℃로 높이고 240℃까지 승온시켜 분석하였다. 검출기의 온도는 250℃, 주입구의 온도는 260℃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유리지방산 분석을 위한 전처리는 균질화된 시료 1 g을 칭량한 후 3 g anhydrousNa2SO4와 0.3 ml H2SO4 (2.5 mol/l)와 1.0 ml 표준물질 용액을 첨가하였다. 내부표준물질은 Enantic acid (C7:0)와 margaric acid (C17:0)를 사용하였다. 혼합액은 3 ml의 ether/eptanes (1:1, v/v) 용액으로 추출하여 700x g/min 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취하였다. 유리 지방산의 분리는 Anion-Exchange method를 사용하였고, Aminopropyl column (Waters, USA, CA)은 10 ml의 heptane으로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추출액에 존재하는 중성지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10 ml의 chloroform/2-propanol (2:1, v/v)로 용출시켰으며, 2% formic acid가 포함된 diethyl ether 2.5 ml로 용출한 것을 최종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16].
통계분석
실험결과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Duncan의 다중검정법을 통해 5% 수준에서 처리구 평균값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일반성분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접종한 후 냉장 보관한 원유(0일, 3일, 6일)를 사용하여 제조한 Gouda cheese와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접종하지 않은 원유(0일, 3일, 6일)를 사용하여 제조한 대조구인 Gouda cheese의 총 고형분과 유지방 함량은 Table 1과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접종 후 3일차 원유로 제조한 Gouda cheese의 총고형분은 최초 치즈제조 직후 55.24%에서 숙성 6주 경과후에 54.05%로 소량 감소하였고, 유지방은 최초 26.19%에서 숙성 6주 경과후에 27.59%로 증가하였다. 접종 3일차 원유로 제조한 대조구의 총 고형분은 최초 55.06%이었으며 숙성 6주차에는 54.47%로서 소량 감소하였고, 유지방은 최초 26.51%에서 숙성 6주 경과후에 28.14%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접종 6일차 원유로 제조한 Gouda cheese의 경우 유지방은 최초 26.16%이였으며 숙성 6주 경과 후에는 27.53%로, 대조구는 26.11%에서 숙성 6주 경과후에는 27.32%로 증가하여 3일차의 원유로 제조한 Gouda cheese의 결과와 동일한 총고형분과 유지방 함량변화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Table 1.a,b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same ro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n=3).
Table 2.a,b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same ro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n=3).
유리지방산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Table 3와 Table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원유에 접종 3일 경과후에 제조한 Gouda cheese의 제조 직후 총 유리지방산(C4:0~C18:2)의 함량은 1,910.1 mg/kg이었고, 15℃에서 2주 동안의 숙성 후 2,179.9 mg/kg으로 증가하였다. 이후 10℃에서 6주까지 숙성한 결과 총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2,499.8 mg/kg으로서 제조 직후로부터 약 1.31배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Gouda cheese의 숙성기간 중 SCFFA, MCFFA 및 LCFFA는 모두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숙성 6주후의 대조구와 비교하면 SCFFA는 124.3 mg/kg에서 168.8 mg/kg으로 1.35배 증가하였고, MCFFA는 136.4 mg/kg에서 193.8 mg/kg으로 1.42배 증가하였으며, LCFFA는 1,485.7 mg/kg에서 2,137.2 mg/kg으로 1.44배 증가하였다. 생성된 개별 유리지방산 중 가장 증가율이 높은 지방산은 palmitate (C16:0), stearate (C18:0) 및 oleate (C18:1)였다. 내냉성미생물을 접종후 3일 동안 저장한 원유로 제조한 Gouda cheese에서 숙성 6주후에 생성된 총 유리지방산은 2,499.8 mg/kg으로서 대조구의 1,485.4 mg/kg과 비교하여 약 1.68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able 3.a,b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same ro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standard deviation (S.D.) (n=3). SCFFA = Short-chain FFA (sum of C4:0 to C8:0); MCFFA = medium-chain FFA (sum of C10:0 to C12:0); LCFFA = long-chain FFA (sum of C14:0 to C18:2); Total FFA (sum of C4:0 to C18:2)
Table 4.a,b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same row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Values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n=3). SCFFA = Short-chain FFA (sum of C4:0 to C8:0); MCFFA = medium-chain FFA (sum of C10:0 to C12:0); LCFFA = long-chain FFA (sum of C14:0 to C18:2); Total FFA (sum of C4:0 to C18:2)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접종하여 냉장 보관 6일 차의 원유로 제조한 Gouda cheese의 초기 총 유리지방산(C4:0~C18:2)의 함량은 1,572.0 mg/kg이었으며, 2주 숙성 후 1,859.1 mg/kg으로 증가하였다. 숙성 6주 후의 총유리지방산의 함량은 2,170.5 mg/kg이었고, 숙성기간 중 SCFFA, MCFFA 및 LCFFA는 모두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SCFFA는 117.1 mg/kg에서 170.0 mg/kg으로 1.45배가 증가하였으며, MCFFA는 130.0 mg/kg에서 167.7 mg/kg으로 1.28배가 증가하였고, LCFFA는 1,324.9 mg/kg에서 1,832.7 mg/kg으로 1.38배가 증가하였다. 반면, 대조구(냉장 보관 6일차 원유 사용)에서 초기 총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1,323.0 mg/kg에서 숙성 6주후에 1,619.1 mg/kg으로 증가하였다. Gouda cheese의 제조 직후 총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약 1.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6주후에 총유리지방산은 2170.5 mg/kg으로 대조구의 1,619.1 mg/kg와 비교하면 약 1.34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이 높은 내냉성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 지방이 분해되어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선행연구로 내냉성 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을 원유에 5.00 log CFU/ml로 접종후 4℃에서 저장 3일째는 5.86 log CFU/ml, 5일째는 6.48 log CFU/ml, 7일째는 7.44 log CFU/ml 로 증가하였다[22]. 이는 내냉성 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이 4℃에서도 저장 시간이 길어질수록 잘 성장하면서 대사산물로 지방분해효소를 생산하여 원유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이 생산하는 지방분해효소의 활성 측정은 1차로 Agar 확산법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고, 2차로 colorimetric 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p-nitrophenol (p-NP)의 농도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3.41 μg/ml의 p-NP를 생성하면서 다른 균주들에 비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24].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이 생산하는 지방분해 조효소가 반응하는 최적 pH는 8.5로 1.92 μg/ml의 p-NP를 생성하였고, 최적온도는 45℃로 2.76 μg/ml의 p-NP를 생성하였다. 또한 65, 75, 85℃에서도 효소의 활성은 실활되지 않고 0.3~0.7 μg/ml의 p-NP를 생성하였다[24]. Pseudomonas fluorescens HU380이 생산하는 지방분해효소의 활성 측정은 최적 pH는 8.5였고 최적 온도는 45℃[11]로 나타나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과 동일한 결과임을 알수 있었다. 원유에서 분리한 내냉성 미생물인 Pseudomonas sp. YJ103에 대한 지방분해효소 활성 측정에서는 pH 7.5, 3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10].
또한 지방분해효소를 생성하는 내냉성 미생물인 Pseudomonas fluorescens와 Ps. fragi.를 107 CFU/ml 이상 첨가한 원유로 Cheddar cheese를 제조하여 4개월 동안 저장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3배 이상의 유리지방산을 생성하여 치즈에 rancidity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13]. 따라서 Gouda cheese 제조시 살균 처리(72℃, 15초)후에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이 생성한 지방분해효소는 그 활성이 65, 75, 85℃에서도 실활되지 않고 잔존하기 때문에 치즈 내 지방의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SCFFA의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적정한 지방분해로 인한 유리지방산의 생성은 치즈의 숙성 중 케톤, 락톤, 에스테르, 알데하이드 등과 같은 방향성 물질생성의 전구물질로서 풍미 등에 많은 기여를 하게되지만 지나친 지방분해는 이상취의 생성으로 치즈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치즈제조를 위한 원유의 내냉성 미생물수는 1×104~1×106 CFU/ml가 적당하다고 알려져있으며[2, 25], 1×103~1×106 CFU/ml 범위의 내냉성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원유로 만든 Camembert cheese는 별다른 품질의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보고[8]와는 달리 일부 연구자들은 내열성 지방분해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내냉성 미생물이 Camembert cheese의 풍미와 조직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4, 6]. 이와 같이 내냉성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지방분해효소 작용으로 유지방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는 유리지방산이 Cheddar cheese의 풍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내열성지방분해효소에 의해 일어나는 과다한 지방 분해는 off-flavor를 일으킨다[5, 6]. 48시간 냉장 저장한 원유로 만든 치즈는 유리비휘발성 지방산이 높아 맛과 풍미가 결함된 치즈가 되며, 5℃에서 저장한 원유로 만든 연질 치즈는 대조구에 비해 조직이 단단하고, 더 빨리 부패하며 long-chain 포화지방산, 불포화 메틸 케톤 및 휘발성 지방산의 함량이 높았다고 보고하였다[6]. 치즈에서 발생되기 쉬운 rancid, soapy, yeasty, butyric 및 fruity flavor는 원유 또는 치즈내의 지방분해효소의 분해 결과[4, 6, 14]이므로 원유를 착유할때는 내냉성미생물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위생적으로 착유를 하고, 저장기간은 가능한 줄여 내냉성미생물의 증식을 최소화 함으로써 고품질의 원유를 생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만 한다.
References
- AOAC 2007. Offic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pp 68-81. Association of offic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 Chapman, H. R., Sharpe, M. E. and Law, B. A. 1976. Some effects of low temperature storage of milk on cheese production and Cheddar cheese flavor. Dairy Indus. Int. 41, 42-45.
- Chung, C. I. 2000. Quality of milk and psychrotrophic bacteria. J. Kor. Dairy Technol. Sci. 18, 38-46.
- Cousin, M. A. and Marth, E. H. 1977b. Cheddar cheese made from milk that was precultured with psychrotrophic bacteria. J. Dairy. Sci. 60, 1048-1056.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77)83987-8
- Deeth, H. C. and Fitzgerald, C. H. 1976. Lipolysis in dairy products: A review. Aust. J. Dairy. Technol. 31, 53-64.
- Dumont, J. P., Delespaul, G., Miguot, B. and Adda, J. 1977. Influence des bacteries psychrotrophes sur les qualities. Organoleptiques de fromages a pate molle. Le Lait 57, 619-630. https://doi.org/10.1051/lait:1977569-57027
- Elliot, R. P. and H. D. Michener, H. D. 1965.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psychrophilic microorganisms in foods. A review. USDA. Technical Bulletin 23-28.
- Haisch, K., Hermann, M. and Kiermeier, F. 1971. Suitability of deep-cooled milk for cheesemaking. Milchwissenschaft 26, 6-13.
- Jay, J. M. 1986.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psychrotrophic microorganisms. In Modern Food Microbiology, pp.579-592.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 Kim, J. W., Shim, Y. S. and Yoon, S. S. 1997.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 lipase from Pseudomonas sp. YJ103 isolated from raw milk. Kor. J. Dairy Sci. 19, 17-24.
- Kojima, Y. and Shimizu, S. 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lipase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HU380. J. Biosci. Bioeng. 96, 219-226. https://doi.org/10.1016/S1389-1723(03)80185-8
- Kraft, A. A. and Rey, C. R. 1979. Psychrotrophic bacteria in foods: An update. Food Technol. 33, 66-71.
- Law, B. A., Elisabeth Sharpe, M. and Chapman, H. R. 1976. The effect of lipolytic Gram-negative psychrotrophs in stored milk on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in Cheddar cheese. J. Dairy Res. 43, 459-468. https://doi.org/10.1017/S0022029900016046
- Law, B. A., Cousins, C. M., Sharpe, M. E. and Davies, F. L. 1979. Psychrotrophs and their effects on milk and dairy products. pp.137-152, A. D. Russell & R. Fuller (eds), In cold tolerant microbes in spoilage and the environment. Academic Press, New York.
- Meer, R. R., Baker, J., Bodyfelt, F. W. and Griffiths, M. W. 1991. Psychrotrophic Bacillus spp. in fluid milk products: a review. J. Food Prot. 54, 969-979.
- Morse, P. M., Jackson, H., McNaughton, C. H., Leggatt, A. G., Landerkin, G. B. and Jouns, C. K. 1968. Investigation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bacterial count of bulk tank milk. II.Bacteria in milk from individual cows. J. Dairy Sci. 51, 1188-1191.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68)87155-3
- Otte, I., Tolle, A. and Hahn, G. 1979. Zur Analyse der Mikroflora von Milch and Milchprodukten. 2. Miniaturisierte Primärtests zur Bestimmung der Gattung. Milchwissenschaft 34, 152-156.
- Rowe, M. T., Dunstall, G., Kilpatrick, D. and Wisdomm, G. B. 2001. A study of changes in the psychrotrophic microflora of raw mil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ilchwissenschaft 56, 247-250.
- Russell, N. J. and Fukunaga, N. 1990. A comparison of thermal adaptation of membrane lipids in psychrophilic and thermophilic bacteria. FEMS Microbiol. Rev. 75, 171-182. https://doi.org/10.1111/j.1574-6968.1990.tb04093.x
- Schmidt-Nielsen, S. 1902. Ueber einige psychrophile Mikroorganismen und ihr Vorkommen. Zentr Bakteriol Parasitenkd Infektionsk Hyg Abt II 9, 145-147.
- Shin, Y. K., Lee, H, A., Oh, N. S. and Nam, M. S. 2013a. Seasonal, regional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psychrotrophic bacteria in milk. CNU J. Agri. Sci. 40, 27-34.
- Shin, Y. K., Lee, H, A., Oh, N. S. and Nam, M. S. 2013b. Effects of psychrotrophic bacteria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 and Serratia liquefaciens on raw milk quality. Kor. J. Food Sci. Anim. 33, 542-548.
- Shin, Y. K., Lee, H, A., Oh, N. S. and Nam, M. S. 2013c. Enzyme activity of isolated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aw milk of different regions on season. Kor. J. Food Sci. Anim. 33, 772-780.
- Thomas, S. B. 1966. Sources, incidence and significance of psychrotrophic bacteria in milk. Milchwissenschaft 21, 270-275.
- Thomas, S. B. 1971. The suitability of refrigerated bulk collected milk for cheesemaking. Dairy Ind. 36, 287-290.
- Thomas, S. B. and Thomas, B. F. 1973. Psychrotrophic bacteria in refrigerated bulk collected raw milk. Part I. Dairy Ind. 38, 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