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phoric Theory of Reference and Objections Against It

지칭의 대용어 이론과 이에 대한 비판들

  • Received : 2015.04.12
  • Accepted : 2015.06.03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Brandom upholds the anaphoric theory of reference. On this theory, reference is a relation of anaphoric dependence between linguistic items rather than a substantial relation between linguistic items and non-linguistic objects. In addition, 'refers' is a pronoun-forming operator, which is used to form anaphorically indirect descriptions such as 'the one referred to as "Leibniz"'. Recently, Arbid $B{\aa}ve$ raises three objections against this theory. First, the anaphoric theory distinguishes between ordinary descriptions and anaphorically indirect descriptions in terms of iterability. But this condition is not an adequate ground for asserting that anaphorically indirect descriptions form a distinctive semantic category. Second, sentences containing a pronoun such as 'he' and sentences containing an anaphorically indirect description such as 'the one referred to as "Leibniz"' have different modal statuses. Consequently, indirect descriptions are semantically different from paradigmatic anaphors. Third, on the anaphoric theory, expressions of the form 'a' and the corresponding indirect descriptions of the form 'the one referred to as "a"' are intersubstitutable. But we can make an equivalent claim by using the more general semantic concepts such as equivalence and intersubstitutability, instead of using notions such as 'anaphor' and 'antecedent'. So the anaphoric theory is explanatorily idle.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se objections do not pose a serious problem for the anaphoric theory of reference. I argue thereby that the anaphoric theory of reference is a promising theory which provides us with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refers'.

브랜덤은 지칭의 대용어 이론을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지칭은 언어적인 것들 사이의 대용어적 의존관계이지 결코 언어적인 것과 비언어적인 것 사이의 실질적 관계가 아니다. 또한 '지칭한다'는 '''라이프니츠"라고 지칭된 사람'과 같은 대용어적 간접 기술어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명사형성 조작어이다. 그런데 최근 보베는 이 이론에 대해 세 가지 비판들을 제기한다. 첫째, 대용어 이론은 일상적 기술어구와 대용어적 간접 기술어구를 반복 가능성 조건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 조건은 대용어적 간접 기술어구들이 고유한 의미론적 범주를 형성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가 아니다. 둘째, '그'와 같은 대명사를 포함한 문장과 '''라이프니츠"라고 지칭된 사람'과 같은 대용어적 간접 기술어구를 포함한 문장은 양상적 위상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대용어적 간접 기술구들은 의미론적으로 전형적인 대용어들과 다르다. 셋째, 대용어 이론에 따르면 'a' 형태의 표현들과 이에 대응하는 '''a"에 의해 지칭되는 것'은 서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런데 대용어, 선행어 등과 같은 개념들 대신 동등함, 대체가능성 등과 같이 보다 일반적인 의미론적 개념들을 사용함으로써 동등한 주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어 이론은 설명적으로 공허하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보베의 비판들이 지칭의 대용어 이론에 큰 문젯거리가 아님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지칭의 대용어 이론이 '지칭한다'에 관해 옳은 통찰을 주는 유망한 이론이라고 주장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