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Diseases Scope of Prescriptions Related with the Palpitation in "Shanghanlun"

"상한론"에 나타난 계(悸)와 관련된 처방들의 현대 질환 범위 고찰

  • Park, Mi Sun (Department of Oriental Path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Yeong Mok (Department of Oriental Path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박미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
  • 김영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 Received : 2014.11.20
  • Accepted : 2015.02.13
  • Published : 2015.02.25

Abstract

This article is a study on palpitation of which disease cause, disease mechanism and formulas were analyzed with reference to annotations on "Shanghanlun" and "Jinkuiyaolue". And the scope of modern diseases related with palpitation was drawn by research on clinical papers. The source books are "Zhujieshanghanlun" and "Jinkuiyaoluefanglun" and the clinical papers are searched in China Academic Journals(CAJ) of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13 clauses in "Shanghanlun" and 9 clauses in "Jinkuiyaolue" and 12 formulas are related with palpitation. Disease mechanisms of palpitation were classified as yang deficiency, yin deficiency, qi deficiency, blood deficiency, retained fluid, cold, etc and these days, qi stagnation, phlegm turbidity, blood stasis and fire heat are also considered as disease mechanisms. Modern diseases related with palpitation are arrhythmia(extrasystole, atrial fibrillation, bradycardia, tachycardia, sick sinus syndrome, atrioventricular block), vascular diseases(arterial occlusion, phlebothrombosis, Buerger's disease, coronary artery disease, vasculitis), blood pressure disorder(hypertension, hypotension) and heart diseases such as heart failure,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myocarditis, cardiomyopathy, pericardial effusion. And diseases related with psychological change(cardiac neurosis, anxiety neurosis, neurosis, depression, hyperthyroidism, hypothyroidism), pyrexia, anemia, drug intoxication, etc are also related with palpitation. Zhen Wu Tang showing an efficacy in dilating blood vessels and strengthening cardiac function, Wuling Powder with diuretic effect and Fried Glycyrrhizae Decoction acting on the ${\beta}$ receptor are applied to heart failure in different ways. Fried Glycyrrhizae Decoction(308 cases), Zhen Wu Tang(154), Wuling Powder(54), Xiao Chaihu Tang(34), Sini San(20) are reported to have been clinically applied to cardiovascular diseases and Zhen Wu Tang and Wuling Powder mainly applied to heart failure, Fried Glycyrrhizae Decoction, Lizhong Wan, Sini San and Zhen Wu Tang chiefly applied to arrhythmia related disea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general research and consideration on clinical applications and is a preliminary study to understand relations between Korean Medicine's symptoms and categories of modern diseases.

Keywords

서 론

본 논문은 임상 증후인 悸에 대해서 『傷寒論』과 『金匱要略』의 조문과 주석서를 참고하여 각 증상에 적합한 병인, 병기, 처방 등을 살펴보고, 임상 적용의 질환 범위를 고찰하고자 하는 한다.

『심계내과학』1)의 悸와 관련된 증후 분류는 驚悸, 怔忡이며, 질환 분류에서는 부정맥, 고혈압, 저혈압, 선천성 심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판막성 심장질환, 감염성 심내막염, 심근질환 등이 있다. 悸와 관련된 질환은 이 책에 게재된 심혈관계 질환 16개 중에서 8개로 다양하여 悸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傷寒論』은 임상 한의학의 중요한 문헌 중의 하나로, 『內經』과 『難經』의 기초 위에서 漢代 이전의 임상 경험을 총괄하여 질병의 증후, 진행과정과 治法을 제시하여 임상 실용서로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조문에 포함된 脈, 證, 方, 治 내용으로 辨證論治에 관한 체계를 초보적으로 형성시켰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金匱要略』도 臟腑, 經絡, 氣血, 痰飮 등 病理를 충분히 응용하고 치료 기준을 제시하여 病因病機學과 臟象經絡學 및 辨證論治學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켰다2)고 평가된다. 국내의 『傷寒論』 관련 연구는 주로 문헌적인 연구이거나 실험실 차원의 약리 작용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임상 적용례는 거의 없었다3-9). 이에 『傷寒論』, 『金匱要略』에서 다루고 있는 증상 중의 하나인 悸를 연구의 주제로 삼아 임상 적용 경향을 살펴보았다.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나타난 悸, 心悸, 心下悸, 心動悸, 臍下悸, 悸而驚, 煩而悸 등의 다양한 용어는 悸動이 발생하는 부위, 주요증상 및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증후의 변화에 따라 治法과 처방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처방 중 하나인 炙甘草湯은 현재에도 심혈관계 질환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悸는 두근두근 뛰어서 불안한 것으로 心의 躁動이 불안한 것을 心悸라고 하고, 臍下의 박동이 불안한 것을 臍下悸라 한다10). 그런데 『證治準繩·雜病』「第五冊.神志門.悸」에서는 “『傷寒明 理論』에서 悸는 가슴이 두근거려 어찌할 줄 모르는 것으로 두근두근 뛰고 놀랜 듯 두려운 듯 어찌할 줄 몰라 공연히 불안한 것이라고 풀이하였는데, 悸가 바로 怔忡이며 지금 사람들이 둘로 나누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하여 悸와 怔忡을 동일시하는 견해를 나타냈다. 그리고 또한 현대 한의학계에서도 다양한 悸를 心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心悸 하나로 접근하는 추세이다.

悸와 관련하여 『傷寒論』에는 13개 조문, 『金匱要略』에서는 9개 조문이 있으며, 관련된 처방은 12개이고, 관련 경락은 太陽經, 少陽經, 少陰經, 厥陰經이며, 관련 臟腑는 心, 脾, 腎 등으로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나타난 悸에 대한 의미, 病因病理, 처방 및 悸 관련 처방들의 현대 임상례를 분석함으로써 悸 증상과 현대 질병의 연관 범위를 이해하고 임상적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傷寒에서 기원한 증상으로의 悸에 대한 연구이므로 제한적이며 전반적인 悸의 변증 유형 분류 혹은 悸 관련 질환별 변증 분류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한 확장이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연구방법

조문은 成無已의 『註解傷寒論』과 북송 교정의서국의 『金匱要略方論』을 근거로 하였다. 조문번호는 『現代傷寒論』11)과 『金匱要略方 論』을 기준으로 하였다.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관련된 주석의 연구 범위는 Table 1, Table 2와 같다. 관련 주석서의 문헌은 2000년 湖南電子音像出版社의 中華醫典을 저본으로 하였다. 현대 임상례는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의 China Academic Journals(CAJ)에서 검색하였다.

Table 1Literature related with 『Shanghanlun』

Table 2Literature related with 『Jinkuiyaolue』

 

본 론

1. 『傷寒論』과 『金匱要略』의 悸 관련 조문

1) 『註解傷寒論』의 悸에 관련된 조문과 그에 따른 주석에서 언급한 대표적인 병인병기를 분석하면Table 3과 같다.

Table 3Clauses of palpitation in 『Zhujieshanghanlun』 and disease causes and mechanisms

2) 『金匱要略方論』의 悸에 관련된 조문과 그에 따른 주석에서 언급한 대표적인 병인병기는Table 4와 같다.

Table 4Clauses of palpitation in 『Jinkuiyaoluefanglun』 and disease causes and mechanisms

2. 悸의 병기 분류

『傷寒論』, 『金匱要略』과 관련 주석서를 분석해 본 결과Table 527)와 같이 悸의 病因病耭와 方證을 분류할 수 있었다.

Table 5.Disease mechanisms of palpitation

3. 悸 처방의 질환 범위

5년간의 임상례를 통하여 悸 처방의 질환 범위를 살펴보면 아래Table 6~Table 17과 같다.

Table 6.Modern clinical cases of Guizhi Gancao Tang

Table 7.Modern clinical cases of Fuling Gancao Decoction

Table 8.Modern clinical cases of Zhen Wu Tang

Table 9.Modern clinical cases of Xiao Chaihu Tang

Table 10.Modern clinical cases of Banxia Mahuang Wan

Table 11.Modern clinical cases of Xiao Jianzhong Tang

Table 12.Modern clinical cases of Fried Glycyrrhizae Decoction

Table 13.Modern clinical cases of Sini San

Table 14.Modern clinical cases of Lizhong Wan

Table 15.Modern clinical cases of Xiaobanxia-Fuling Decoction

Table 16.Modern clinical cases of Fuling Guizhi Gancao Dazao Tang

Table 17.Modern clinical cases of Wuling Powder

1) 桂枝甘草湯은 사례가 많지 않았으나 부정맥 관련 심장 질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2) 茯苓甘草湯은 적용례가 적어 경향성을 살피기 어려웠다.

3) 眞武湯은 여러 분류에서 적용되고 있는데 심계 질환이 많았고, 신계와 신경정신과의 水氣 관련 질환에 응용된 특징이 있다.

4) 小柴胡湯은 여러 분류에서 고르게 사용되고 있는데 간, 비계, 부인과와 熱證에 많이 적용됨을 알 수 있다.

5) 半夏麻黃丸은 부정맥에 사용된 사례가 있었다.

6) 小建中湯은 비계 질환에 응용되고 있으며 심계 질환으로는 심근염과 심실기외수축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7) 炙甘草湯의 임상례는 심계 질환 중 부정맥 관련 질환이 많다.

8) 四逆散은 비, 간계 질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9) 理中丸은 비계 질환에 많이 응용되고 있고 부정맥 관련 심계 질환에도 사용되고 있다.

10) 小半夏加茯苓湯은 嘔吐 위주의 비계 질환에 응용되고 있고 폐심장증 적용 사례가 있다.

11) 茯苓桂枝甘草大棗湯은 奔豚氣病의 적용 사례가 있다.

12) 五苓散은 신계 질환에 특히 많이 적용되고 있고 다른 분류에서는 고르게 사용되고 있다. 심계 질환은 부정맥 관련 보다 심기능 쇠약과 고지혈, 고혈압 관련 질환이 많다.

 

고 찰

『傷寒論』, 『金匱要略』과 관련 주석을 중심으로 悸에 대한 病因病機, 처방을 분석하여, 病因病機에 따른 方證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CAJ에서 각 처방별 임상례를 조사하여 悸와 관련된 처방들의 현대 질병명의 범위를 도출하였다.

悸와 관련된 증후로는 驚悸, 怔忡이 있는데 悸와 怔忡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驚悸는 갑작스런 외부 자극으로 마음이 불안해져 心이 躁動하는 상태이고, 怔忡은 驚悸와 달리 외부 자극 없이도 항상 불안해하고 초조해 하면서 心이 躁動하는 상태로 驚悸에 비하여 重한 편이다. 그리고 驚悸, 怔忡은 그 원인이 크게 차이가 없고 임상 양태에서 怔忡 환자 대부분이 驚悸의 경험을 가지므로 치료에 있어서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다고 하였다40). 悸는 한의학의 증상명으로 현대 의학에서 말하는 심계항진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고 심계항진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다. 또 중국의 현대 임상 자료를 조사한 결과 심계항진이나 심박동 변화를 수반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 여러 질병명이 悸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수 있었고, 현재는 心과 관련된 경우가 많아서 心悸를 대표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傷寒論』과 『金匱要略』 관련 문헌 이외에도 悸에 관하여 기술한 문헌이 많았으며, Table 18은 悸가 목차에 기술된 문헌들이다. 이들 중 悸를 단독으로 기술한 경우는 『古今醫統大全』, 『張氏醫通』, 『醫學綱目』 등이며, 『醫學摘粹』는 心下悸, 『千金翼方』은 心悸, 『太平聖惠方』은 心悸와 霍亂心腹築悸, 『諸病源候論』은 傷寒悸와 霍亂心腹築悸, 『通俗內科學』은 心忪(神經性心悸), 『普濟方』은 傷寒心悸, 『聖濟總錄』은 傷寒心悸와 霍亂心腹築悸 등의 목차를 기술하고 있고, 그 외 문헌은 驚悸로 기술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丹溪心法』41)에서는 驚悸怔忡을 설명하면서 “時作時止者, 痰因火動, 瘦人多因是血少,肥人屬痰,尋常者多是痰”이라고 하여 痰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고 『嚴氏濟生方』42)에서는 心虛膽怯을 원인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景岳全書』43)에서는 怔忡驚恐은 下部의 원인에 의해 上部가 不寧한 것으로 精氣互根하므로 心氣虛도 精虛에 기인한다고 설명하여 다양한 원인에 따른 驚悸 처방들을 제시하고 있다. 또 『血證論』44)에서는 氣虛, 血虛, 水氣淩心 외에 痰火에 의한 경우도 설명하고 있다.

Table 18.Literature containing analysis of palpitation

『傷寒論』과 『金匱要略』에서 제시한 悸의 원인은 본론 Table 3,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陽虛, 陰虛, 氣虛, 血虛, 津液不足, 水飲, 水氣凌心, 中氣虛, 心氣虛, 心血虛, 心虛膽怯, 腎陽虛 등이 대표적이며, 일부 주석에서 胃熱, 木火上炎, 心火鬱, 熱邪上衝, 寒, 寒水 등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현대에는 悸의 원인을 다양하게 보는데 특히 『中醫症狀鑑別診斷學』에서는 心悸를 心氣虛損, 心陽不振, 心陰不足, 心血不足, 驚恐擾心, 心血瘀阻, 痰火擾心, 水氣凌心 등으로 證을 분류하고, 心下悸를 水氣凌心, 心陽不振, 陰虛火旺, 痰火相搏 등으로, 臍下悸動을 水停下焦, 腎不納氣 등으로 분류하였다45). 여기서 心血瘀阻, 痰火擾心, 陰虛火旺, 痰火相搏, 腎不納氣 등은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나타나지 않은 證型이다. 또한 『심계내과학』에서는 驚悸 怔忡을 心氣不足, 心陰虧虛, 心脾兩虛, 肝腎陰虛, 脾腎陽虛, 心膽虛怯, 痰濁阻滯, 血脈瘀阻 등으로 구분하였다1).

그리고 薑瑞雪46) 등은 心悸 위주의 심장질환에 대한 문헌과 임상자료를 조사한 후 254개의 證型 중 유사한 것을 병합하여 59개의 證型으로 재분류하였는데, 氣陰兩虛, 心陽不振, 心血瘀阻, 痰火擾心, 心脾兩虛, 心氣不足, 痰濁阻滯, 陰虛火旺, 肝鬱氣滯, 水氣凌心, 心虛膽怯, 心血不足, 心腎不交, 氣虛血瘀, 心陰不足 등이 상위 빈도로 나타났으며, 氣血兩虛, 心腎陽虛, 陽氣虛衰, 陰陽兩虛, 心神不寧, 脾陽不振, 腎陽虛衰, 陽虛水泛 등 본 논문 범위의 悸를 포함하는 證型도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런 상세분류에 대한 포괄적인 원인은 氣虛, 陰虛, 陽虛, 血瘀, 痰濁, 火熱, 血虛, 氣滯, 水飮, 濕邪, 寒邪 등이라고 분류하였다. 이와 같이 분류된 원인을 기준으로 볼때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나타난 悸는 주로 氣虛, 陰虛, 陽虛, 血虛, 水飮, 寒邪 등에 의한 것이며, 濕邪는 『傷寒論』 49조, 65조, 82조, 96조, 127조에서 일부 문헌이 언급하였을 뿐이고, 血瘀, 火熱, 氣滯, 痰濁으로 인한 悸는 나타나 있지 않았다. 분류된 59개의 證型은 원인과 兼證을 표현하여 그 수준이 상세하며 그 종류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悸 조문에 언급된 처방을 중심으로 方證을 분류하면 12가지로 볼 수 있는데 心陽不足으로 인한 桂枝甘草湯證, 胃陽不足·水停中焦로 인한 茯苓甘草湯證, 脾腎陽虛·水氣凌心으로 인한 眞武湯證, 肝膽氣鬱·三焦不利·水氣內停으로 인한 小柴胡湯去黃芩加茯苓證, 痰飮滯留中焦로 인한 半夏麻黃丸證, 中焦虛寒·氣血陰陽俱虛로 인한 小建中湯證, 氣血陰陽虧虛로 인한 炙甘草湯證, 肝胃氣滯로 인한 四逆散加桂枝證, 中焦虛寒·水氣凌心으로 인한 理中丸加茯苓證, 痰飮停聚로 인한 小半夏加茯苓湯證, 心陽虛·腎水乘心으로 인한 茯苓桂枝甘草大棗湯證, 水停下焦·膀胱氣化不利로 인한 五苓散證 등이다. 여기에서는 처방의 특징이 반영되어 氣滯, 痰飮에 의한 병인병기를 설명하고 있으나 조문에서 언급된 悸의 직접적인 원인과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悸의 처방이 어떤 질환에 응용되었는지를 살펴보면 관련 질환 범위를 넓혀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질환에 응용되는 처방은 眞武湯, 小柴胡湯, 四逆散, 五苓散 등이며 심혈관계 질환에 많이 응용되는 것은 炙甘草湯(308건), 眞武湯(154건), 五苓散(54건), 小柴胡湯(34건), 四逆散(20건) 순이다. 眞武湯은 심부전(52.6%), 부정맥(10.4%), 고혈압(10.4%), 폐심장증(9.8%)을 포함한 심혈관 질환의 임상례가 많았고, 泌尿生殖系의 수종(16.5%), 神經系의 현훈(73.8%) 등 水氣 관련 질환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小柴胡湯은 여러 질환 분류에서 고르게 사용되고 있는데 肝膽系, 消化系, 婦科와 熱證에 많이 응용되고 있으며, 心血管系에서는 뇌졸중 후유증(26.5%)과 협심증(20.6%) 등에 응용되었다. 또 四逆散은 消化系, 肝膽系을 중심으로 응용되며, 心血管系에서는 뇌졸중 후유증(35.0%), 부정맥(35.07%)에 응용되고 있다. 五苓散은 泌尿生殖系 사례가 많고 다른 분류에서도 고르게 사용되고 있는데, 心血管系의 부정맥 사례는 보이지 않았고, 심부전(37.0%)과 고지혈(18.5%), 고혈압(16.7%) 관련 질환이 많았다.

桂枝甘草湯은 心血管系 중 부정맥 관련 보고가 있었고, 小建中湯은 消化系 중심으로 응용되고 있는데, 心血管系에서는 심근염과 심실기외수축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小半夏加茯苓湯은 消化系 중 구토(83.3%)에 응용되고 폐심장증 응용 사례가 있었으며, 理中丸은 消化系 질환 사례가 많았고, 心血管系에서는 조사된 사례 9건 중 대부분이 부정맥(77.8%)이었다. 또 炙甘草湯은 悸證에 가장 많이 사용된 처방으로 心血管系 중 부정맥(75.3%), 심근병증(10.7%)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茯苓甘草湯,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半夏麻黃丸은 응용사례가 적어 경향성을 찾기는 어려웠다.

眞武湯과 五苓散은 심계 질환 중 심부전 관련이 많고, 炙甘草湯, 理中丸, 四逆散, 眞武湯, 桂枝甘草湯, 小建中湯은 부정맥 관련 질환에 응용되었다. 그리고 眞武湯, 炙甘草湯, 小半夏加茯苓湯은 폐심장증 응용 사례가 있는데 강심제, 이뇨제를 투여하는 것과 맥락이 통한다고 할 수 있다.

悸 처방의 임상례에 근거하여 현대 질환의 범위를 살펴보면, 부정맥에 포함되는 기외수축, 심방세동, 서맥, 빈맥, 동기능부전증후군, 방실차단 등, 그리고 혈관 질환과 관련된 동맥 폐색, 정맥 혈전, 버거씨병, 관상동맥질환, 혈관염 등, 고혈압 및 저혈압의 혈압 이상과 그 외 심부전, 협심증, 심근경색, 심근염, 심근병증, 심낭삼출 등의 심장 질환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심장 이외의 원인으로 심리변화와 관련된 심장신경증, 불안신경증, 우울증, 신경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그 외 발열, 빈혈, 약물 중독이 관련 되었다. 이는 두근거림을 증상으로 가지는 주요 질환47)으로 언급된것 중 교감신경 흥분, 갈색세포종, 저혈당, 심장 자체 문제인 심실중격 결손, 심장중격 결손, 폐동맥판 협착증 등을 제외한 질환 범위를 아우르는 것이다.

부정맥에 많이 응용되는 것은 桂枝甘草湯과 炙甘草湯인데, 氣陰兩虛證을 치료하는 炙甘草湯은 상심실성 부정맥 및 심실성 부정맥과 심근염, 관상동맥 죽상경화증, 류마티스성 심장병 등 다른 심장 질환과의 합병으로 부정맥이 나타난 경우에도 응용되어 心陽虛證을 치료하는 桂枝甘草湯이 상심실성 부정맥 위주로 조사된 것과 달리 보다 넓은 질환 범위에 적용되는 특성이 보인다. 그리고 眞武湯(53.9%)과 五苓散(37.0%)은 심부전에 응용되는 비율이 높고 炙甘草湯 또한 심부전 응용례가 조사되었는데, 陽虛水泛證을 치료하는 眞武湯은 강심, 혈관 확장과 이뇨 기능48)을, 利水滲濕 효능이 있는 五苓散은 수분 축적이 있는 경우 심부전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인 이뇨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炙甘草湯은 β수용체 항진에 대한 사례로 미루어보아 β수용체에 대한 작용과 관련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심부전의 각기 다른 치료 치법으로 응용되는 것이다. 또 小半夏加茯苓湯의 우심부전증, 폐심장증성 심부전, 폐심장증 사례로 보아 폐질환에 기인한 심장병이 痰飮과 관련되는 경우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심장질환에서 기인하지 않은 갑상선 기능항진증, 빈혈등 전신질환 또는 폐질환이나 전해질 대사 이상 등으로 인한 경우가 한의학적으로 어떤 病機 또는 辨證 유형과 연관성을 가지는지 유추해 보고자 하였으나 조사된 자료 내에서 의미있는 관련성을 찾지 못하여 성급하게 일반화시킬 수 없었다.

이상에서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나타난 悸의 의미, 病因病機, 처방, 悸 관련 처방들의 임상 질환 범위 등을 살펴보았으며, 한의학의 증상명과 현대 질환 범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통한 실제적인 임상 적용에 일조하길 바란다.

 

결 론

『傷寒論』과 『金匱要略』과 그 주석서에서 悸의 病因病機 및 처방을 분석하고, 悸 관련 처방의 현대 임상례 분석을 통해 현대 질병명의 범위를 도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나타난 悸는 주로 氣虛, 陰虛, 陽虛, 血虛, 水飮, 寒邪 등에 의한 것이며, 현대에는 氣滯, 痰濁, 血瘀, 火熱도 悸의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悸와 관련된 현대 질환의 범위는 부정맥(기외수축, 심방세동, 서맥, 빈맥, 동기능부전증후군, 방실차단), 혈관 질환(동맥폐색, 정맥혈전, 버거씨병, 관상동맥질환, 혈관염), 혈압 이상(고혈압, 저혈압)과 그 외 심부전, 협심증, 심근경색, 심근염, 심근병증, 심낭삼출 등의 심장 질환이다. 그리고 심장 이외의 원인으로 심리 변화와 관련된 질환(심장신경증, 불안신경증, 우울증, 신경증, 갑상선기능 항진증, 갑상선기능 저하증), 발열, 빈혈, 약물중독 등이 관련된다.

氣陰兩虛證을 치료하는 炙甘草湯은 상심실성 부정맥 및 심실성 부정맥과 다른 심장 질환과의 합병으로 나타나는 부정맥에 응용되어 心陽虛證을 치료하는 桂枝甘草湯이 상심실성 부정맥 위주로 조사된 것에 비해 넓은 질환 범위에 적용되는 특성이 보인다.

심부전에 응용된 眞武湯의 혈관 확장과 강심 작용, 五苓散의 이뇨 작용, 炙甘草湯의 β수용체 차단 작용과의 관련성에서 각기 다른 심부전 치료 방법의 응용을 확인할 수 있다.

小半夏加茯苓湯의 우심부전증, 폐심장증성 심부전, 폐심장증 사례로 보아 폐질환에 기인한 심장병이 痰飮과 관련되는 경우임을 이해할 수 있다.

心血管系 질환에 많이 응용되는 처방은 炙甘草湯, 眞武湯, 五苓散, 小柴胡湯, 四逆散 순이며, 眞武湯과 五苓散은 심부전에, 炙甘草湯, 理中丸, 四逆散, 眞武湯, 桂枝甘草湯, 小建中湯은 부정맥에 응용되었다.

References

  1. Cardiology of Nationwide College of Korean Medicine. Cardiologic medicine. Koonja, pp 78-85, 141, 154, 161, 163, 174-176, 188, 193, 2008.
  2. Textbook committee of Pathology of Korean Medicine. Pathology of Korean Medicine. Korean Medicine publishing company, p 7, 2007.
  3. Kim, K.U., Park, H.U. A Literature study on the formation of ShangHanLun during TangSong Period.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4(2):98-124, 2001.
  4. Jeon, B.H., Woo, W.H., Jung, W.Y. On the Concept of Sixchannels in Treatise on Exogenous Febrile Disease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athology 5(0):131-138, 1990.
  5. Park, C.U., Lee, K.Y. A comparative study on between Shanghanlun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n Pathogenesis,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1(1):676-718, 1998.
  6. Lee, S.J., Kim, Y.M. A study of 'Ji-Qi-Shang-Chong' and GuiZhiTang in Shanghanlun. Herbal Formula Science 20(2):165-176, 2012. https://doi.org/10.14374/HFS.2012.20.2.165
  7. Bang, J.K. The study of the Paeoniae Radix Alba's efficiency in Shnaghanron prescrip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3(1):47-58, 2010.
  8. Ahn, K.S., Choi, S.M., Choi, S.H. A Study of Literature on the pathology of Fidgetiness in Shanghnalun and Chinkueiyaolueh. Korean Journal of Oriental Pathology 10(1):54-71, 1996.
  9. Kim, M.K. Expeimental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Jakamchotang. The Journal of Kyung Hee University 5(2):148-157, 1989.
  10. Institute of Tranditional Medicine. Oriental Medicine dictionary. Seongbosa, p155, 1978.
  11. Moon, J.J., Ahn, G.S., Kim, S.H., Yim, J.S., Park, J.H., Shin S.W. Modern Shanghanlun. Korean Medicine publishing company, 2008.
  12.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suyuanji, Juanzhier Taiyangzhongpia n Shanghanzhengzhi Dier Shanghanjinhan, Juanzhier Tai yangzhongpian Shanghanzhengzhi Dier Shanghanshizhi, J uanzhisi Taiyangxiapian Fenghanliangshang Yingweizheng zhidiliu Fenghanbingganzhengzhi, Juanzhiba Fuhuoluanpi an uoluanzhengzhidishiba Huoluanzhengzhi. 2000.
  13.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jingjie, Juanyi Taiyangjingshangpian. 2000.
  14.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lunbianzhengguangzhu, Juanzhisi Bia ntaiyangbingmaizhengbingzhifazhong Xiaojinglongtangfan g, Juanzhiqi Biantaiyangbingmaizhengbingzhifa, Juanzhijiu Bianshaoyinbingmaizhengbingzhifa Sinisanfang. 2000.
  15.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 chubanshe. Changlunpian, Juanyi Taiyangjingzhongpian. 2000.
  16.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Dingzhengzhongjingquanshushanghanlunzhu, J uanyi Biantaiyangbingmaizhengbingzhishangpian, Juaner Biantaiyangbingmaizhengbingzhizhongpian. 2000.
  17. 劉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 gchubanshe. Shanghanluntiaobian, Juanzhier, Biantaiyang bingmaizhengbingzhizhongpiandier. 2000.
  18.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Zhujieshanghanlun, Juansan Biantaiyangbingm aizhengbingzhifadiliu, Juanliu Bianjueyinbingmaizhengbing zhifadishier. 2000.
  19.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lunhuizhujinghua, Juanyizhizhong Bi antaiyangbingmaizhengpianzhong. 2000.
  20.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zhizhang, Juaner Jiunishugu wuhanl i, Juaner Shanyinbenbingshugu, Juansan Shanghnabianzh eng Xinxiaji(shugu). 2000.
  21.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minglilun, Juanxia zhuyaofanglun xia ochaihutangfang. 2000.
  22.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xhuoyi, Juanqi Shaoyangjinghuaibing Shaoyanghuaibingruyangmingzheng Hanhouxinji, Juanqi Shaoyangjinghuaibing Shaoyanghuaibingruyangmingzheng xiahouxinjing. 2000.
  23.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guanzhuji, Juanwu Shaoyangpian Sh aoyangzhengzhifadiyi Shaoyanghantuxiazhijinertiao, Juanq i Shaoyinpian Shayinzhufa Shaoyinqingfa Qitiao. 2000.
  24.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glunzhu, Juansan Shaoyangmaizheng. 2000.
  25.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zuanlun, Juanshang Shaoyangpian. 2000.
  26.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Shanghanlunqianzhubuzheng, Juanwu Biansha oyinbingmaizhengpian. 2000.
  27.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Dingzhengzhongjingquanshujinkuiyoluezhu, Jua nerxuebixulaobingmaizhengbingzhidiliu, Juansan jingjitun uxiaxuexiongmanyuxiebingmaizhengzhidishier, Juansi tany inkesoubingmaizhengbingzhidishisan. 2000.
  28.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Jinkuiyalueguangzhu, Juanshang Xuebixulaobin gmaizhengzhidiliu, Juanzhong Tanyinkesoubingmaizhengz hidishier. 2000.
  29.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Jinkuiyaoluexindian, Juanzhong Tanyinkesoubi ngmaizhengzhidishier. 2000.
  30.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Gaozhujinkuiyaolue, Jingjitunuxiaxuexiongmany uxuebingmaizhengzhidishiliu, Tanyinkesoubingmaizhengzh idishier. 2000.
  31.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Jinkuiyaolueqianzhu, Juanqi Jingjitunuxiaxuexio ngmanyuxiebingmaizhengdishiliu. 2000.
  32.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Jinkuiyuhanjingerzhu, Juanshiliu Jingjitunuxiax uexiongmanyuxiedishiliu. 2000.
  33. Sun, T.F., Guo, J.J. Discussion about Zhongjing' dongjibianzheng.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15(5):4-5, 1999.
  34. Ma, Q.L. Discrimination in Zhongjing's palpitation.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2(7):1305-1307, 2004.
  35. Zhu, J.H. Discussion about ten syndromes of palpitation in 《Shanhanzabinglun》. Hube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5(1):12-13, 2003.
  36. Mao, J.Y. Discussion about palpitation in 《Shanhanlun》. Tianji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5(3):136-138, 1998.
  37. Li, S.Q. Investigation into the treating law of palpitation in 《Shanhanlun》.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14(4):1-2, 1998.
  38. Qiu, L.M. Analysis of seven treating laws of palpitaion in 《Shanhanlun》. Journal of Practical Traditional Chinese Internal Medicine 16(3)126-127, 2002.
  39. Wang, Z. Analysis of treatment of palpitation in 《Shanhanlun》. Hebe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6(3):229-230, 2004.
  40. Kim, I.S., Song, J.M. An oriental medical study on the concept, etiology, and pathology of the palpitation. Journal of Woosuk University. 16:315-340, 1994.
  41.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h ubanshe. Danxixinfa, Juansi Jingjizhengchongliushiyi. 2000.
  42.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Yanshijishengfang, Jingjizhengchongjianwangm en Jingjilunzhi. 2000.
  43.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Jingyuequangshu, Juanzhishibaliji Zazhengmo Zhengchongjingkong Lunzhi(gongsantiao). 2000.
  44. Liu, Y., Xiong, L. Zhonghuayidian. Hunandianziyinxiangc hubanshe. Xuezhenglun, Juanliu Jingji. 2000.
  45. China Academy of Chinese Medical Sciences. TCM symptoms differential diagnostics.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pp 238-240, 277, 1987.
  46. Jiang, R.X., Zhu, W.F., Ma, Z.F. A Literature study on the syndrome types of palpitation and distribution of syndrome element.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6(1):184-186, 2008.
  47. Editorial Department of Jungdam. SIM Integrated Internal Medicine, Cardiology. Seoul, Jungdam, p 32, 2013.
  48. Xiao, C.Y. The clinical application and medicinal study of the prescription of Zhenwu deconction. Hubei Zhongyixueyuan, 2008.

Cited by

  1. 『상한론(傷寒論)』 변병진단체계(辨病診斷體系)에 근거하여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을 투여한 증례 2례 vol.8, pp.1, 2015, https://doi.org/10.22891/kmedia.2016.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