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3a).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0.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3b).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2013c).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한국의 다빈치 교육, 융합인재교육(STEAM) 2011년 성과 발표회 자료집.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권유선, 김민정, 최혜진 (2011).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187-212.
- 금민선 (2004).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활용 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금민선, 홍용희 (2003).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활용실태. 교육과학연구, 34(3), 19-40.
- 김남희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생활 관련 활동 비교 분석. 광주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선아 (1998). 유치원에서의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 운영 실제 및 요구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숙자, 우신욱 (201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환경 관련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1), 365-386.
- 김윤희 (2014). 유아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수경 (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수학적 기초 능력 기르기'와 관련한 활동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아청 (2002).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 박찬옥, 정미자, 김영옥 (1997). 제 5차 유치원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의 적절성 평가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27-53.
- 배성옥 (2013). 5세 누리과정 교육내용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목표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배효정 (2014).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현황 및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역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손미이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지도방법. 육아지원연구, 4(1), 133-152.
- 송규운 (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39-54.
- 송지선 (2010).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의 사회생활 영역 관련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안정숙 (2008).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인식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안혜정 (2013). '5세 누리과정' 해설서와 지침서에 대한 이해 및 지도서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양지애, 이영애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음악적 개념, 행동, 태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1), 203-227.
- 오현주 (2010). 유치원 지도서의 과학 교육활동 분석: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윤기영 (2006).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통일교육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319-338.
- 이경수 (2013). 누리과정 3-4세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과정 관련내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순자, 김진화 (2014).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471-505.
- 장휘숙 (1981). 유치원 유아의 창조성 개발을 위한 실험적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전경원 (2012). 유아창의성교육. 서울: 학지사.
- 정선화 (2011). 유아 창의성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및 가족기능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정여옥, 이경화 (2009).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전래동화 활용 문학 활동의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9(1), 75-94.
- 조석희, 호사라, 전재현 (2005).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프로그램 활용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조연순, 정지은 (2012).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2), 333-352. https://doi.org/10.9722/JGTE.2012.22.2.333
- 창의인재기획실 (2009). 국내외 수학.과학 및 창의교육 전력동향 및 교육사례 조사 분석.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최아영 (2013). 교육과정 관련 내용 및 구성방향에 따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태성란, 황혜정 (2013).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53-272.
-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총론적 고찰.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현금자 (2012).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 내용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현상원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홍소영, 이종승 (2009). 유아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359-381.
- 황해익, 서보순 (2010).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유아교육연구, 30(3), 117-140.
- Amabile, T. M. (1998).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창의성과 동기유발(전경원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89).
- Beghetto, R. A., & Kaufman, J. C. (2007).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of for "mini-c" 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2(2), 73-79.
- Csiikszentmihalyi, M. (2003).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창의성의 즐거움(노혜숙 옮김). 서울: 북로드(원판 1996).
-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313-335).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ababneha, K., Ihmeideha, F. M., & Al-Omarib, A. A. (2010). Promoting kindergarten children's creativity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Jorda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0(9), 1165-1184. https://doi.org/10.1080/03004430902872950
- Dacey, J. S. (1999). Peak periods of creative growth across the lifespan. In G. J. Puccio & M. C. Murdock (Eds.), Creativity assesment: Reading and resources (pp.323-345). Buffalo, NY: CEF Press.
- Kaufman, J. C., &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12. https://doi.org/10.1037/a0013688
- Rhodes, M. (1961). Analysis of creativity. Phi Delta Kappan, 42(7), 305-310.
- Runco, M. A. (2010). Educational based on parsimonious theory of creativity. In R. A. Beghetto, & J. C. Kaufman (Eds.),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pp.235-251).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awyer, R. K. (2003). Emergence in creativity and development. In K. R. Sawyer (Ed.), Creativity and development (pp.91-138). UK: Oxford University Press.
- Starko, A. J. (2005).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chools of curious delight (3rd ed.). Mahwah,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Torrance, E. P. (1975).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Still alive. In I. A. Taylor & J. W. Getzels (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pp.278-296). Chicago, IL: Aldine Publishing Company.
- Torrance. E. P. (1979). The search for satori and creativity. Buffalo, NY: Creativity Education Foundation.
- Urban, K. K. (1990). Recent trends in creativity research and theory in Western Europe. European Journal for High Ability, 1(1), 99-113.
Cited by
- 명화 패러디를 활용한 유아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명화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12, pp.3,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