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izenship in the Age of Glocaliz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Geography Education

글로컬 시대의 시민성과 지리교육의 방향

  • Cho, Chul-Ki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조철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5.07.15
  • Accepted : 2015.08.15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try to find citizenship needed in the age of glocaliz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geography education. With formation of nation-state after modern, the rights and duties are applied to members of a state in a given territory. But Although states grant de jure citizenship, identity as a citizen is increasingly seen as something that is gained beyond and below the state. Citizenship might be conceived as relational rather than absolute, something that is constituted by its connections or network with different people and places rather than something defined by the borders of the nation-state. New space of citizenship has multiple dimension, and is fluid, mobile, multidimensional, transnational, negotiative. Citizenship operates in an increasingly complex web of overlapping spaces, and is reconceptualized as multiple citizenship based on multiscale. Citizenship should now be thought of as multi-level, reflecting individuals simultaneous membership of political communities at a variety of spatial scales and perhaps of non-territorial social groups. Thus,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geography should focus more on interconnected and layered multiple citizenship than bounded national citizenship.

이 연구는 글로컬 시대에 요구되는 시민성을 찾고, 이것이 지리교육에 주는 함의를 도출한 것이다. 근대 이후 국민국가의 출현으로 시민성은 국가가 영역 내의 구성원에게 부여하는 권리와 의무로 정의되었다. 물론 현재도 국가가 법적인 시민성을 부여하지만, 점점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은 그 상하위 스케일인 글로벌과 로컬로부터 획득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리하여, 시민성은 국가의 경계에 의해 규정되기 보다는 다른 사람 및 장소와의 연결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그리고 공간은 분절적 공간이 아니라 관계적 공간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시민성은 다차원적이고, 유동적이고, 초국적이며, 협상적인 경향을 띠면서, 다중스케일에 기반한 다중시민성으로 재개념화되고 있다. 이제 시민으로서의 개인은 다양한 스케일에서 정치적 공동체의 구성원인 동시에 비영역적인 사회집단의 구성원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지리를 통한 시민성교육은 국가 중심에서 그리고 분절된 공간적 스케일에서 벗어나, 로컬과 글로벌이 상호연결되고 중첩되면서 형성되는 다중시민성을 포섭하는데 더욱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