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Korean Ethnic Networks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Korean Immigrants and Their Utilization Measures : A 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한인 이주민의 정착과정에서 한인네트워크 역할 및 활용 방안 - 미국 LA지역 한인 이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03.31
  • Accepted : 2015.05.07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role of Korean ethnic network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Korean immigrants, and elucidating their utilization measures, through the 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s in L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used Korean ethnic networks and Korean town in the immig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OVA test, Korean ethnic network are more importantly considered by the groups such as elderly, livers in Korean town, and people who the first settlement was LA. Secondly, respondents more frequently use Korean ethnic network in the activities such as church, shopping and business. Especially, the groups such as short immigration term, elderly, poor English ability are more frequently use Korean ethnic network. Thirdly, Viewing the cognition of respondents about the necessity of Korean ethnic networks, respondents want to use them for strengthening the ties of domination society. Finally, utilization of Korean ethnic churches, Korean ethnic business organizations and Korean ethnic web-site portal are proposed for activating Korean ethnic networks.

본 연구는 미국 LA지역의 한인 이주민 사례를 통해, 한인 이주민의 정착과정에서 한인네트워크 역할을 살펴보고, 한인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미국으로의 최초 이주 및 주거지 선정과정에서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한인네트워크와 민족공동체인 한인타운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분산분석 결과를 보면, 한인네트워크의 역할은 최초 이주지가 LA지역인 집단, 초기 정착지가 한인타운인 집단, 현지 적응능력이 떨어지는 50대 이상의 고령자인 집단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로, 응답자들은 한인네트워크를 종교활동, 쇼핑활동, 경제활동 분야에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주기간이 짧고, 고령이고, 영어능력이 부족하여 미국 주류사회에 편입이 어려운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한인 이주민의 한인네트워크 활성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보면, 응답자들은 한인네트워크를 미국 주류사회와의 유대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활용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로, 한인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으로, 한인교회, 한인 경제단체, 한민족포털, 재외공관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