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lement and Adaptation Status of Urban to Rural Migrants and Policy Implications : the Case of Gyeongbuk Province

귀농·귀촌인(가구)의 정착 및 적응 실태와 정책적 함의 - 경상북도를 사례로 -

  • Lee, Chul Woo (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Dep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철우 (경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지리학과)
  • Received : 2015.04.16
  • Accepted : 2015.05.13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settlement and adaptation status involved in differing urban-to-rural migration types in Gyeongbuk Province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The attributes of urban-to-rural migrants in Gyeongbuk Province differ spatio-temporally, and their statu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i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urban-to-rural migration types. "U-turn" migrants who are mostly first-generation rural-to-urban migrants with experience in farming and rural community life engage primarily in crop agriculture. "J-turns" and "I-turns," who have no experience in farming or rural community life, migrated for idyllic rural life. The household income of these type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U-turn type. U-turns' degree of adaptation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types, and U-turn migrants mainly rely on family and community assets in order to solve problems. J-turns' and I-turns' degree of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 However they typically have substantial difficulties in adapting due to lack of pre-migration preparation. Policy implications are : 'switching away from general and inclusive policies of support,' 'transition to policies embedded in the attributes of regions and migration types,' 'improvement of policy governance,' 'enhancement of support for pre-migration preparation and customized support based on the needs of migrants,' and 'comprehensive improvements of settlement environment to better integrate migrants with current residents.'.

본 연구는 경상북도를 사례로 귀농 귀촌의 유형별 정착 및 적응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북도 귀농 귀촌인(가구)의 속성은 시 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착 및 적응 실태는 그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U턴은 영농과 농촌공동체생활의 경험을 가진 이촌향도 1세대가 주류로, 상대적으로 경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크다. J턴과 I턴은 귀농 초기 영농기술과 농촌생활에 대한 경험이 없고 전원생활의 향유가 주된 동기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의 비율이 높다. U턴은 상대적으로 타 유형에 비해 적응과정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낮고 그 과정의 문제점은 주로 가족 및 공동체 자산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다. I턴과 J턴은 정착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준비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정책적 함의로는 일반적이고 포괄적 지원정책의 탈피, 귀농 귀촌의 지역 및 유형별 속성에 '뿌리내려진 정책(embedded policies)'으로의 전환, 귀농 귀촌정책 거버넌스 체제의 개선, 이주 전 준비과정에 대한 지원 및 유형별 맞춤형 지원의 강화 그리고 귀농 귀촌가구와 기존 주민의 정주기반의 통합적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