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영재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Change of Learning Styles of Third Grade Gifted Students by Applying the Gifted Mathematics Program

  • 유미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서울양진초등학교) ;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투고 : 2015.10.15
  • 심사 : 2015.11.22
  • 발행 : 2015.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영재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수학영재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프로그램의 특성 및 다양성에 대한 함의점을 얻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영재교육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총 9차시의 수학영재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있어 Kolb의 학습유형 검사지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 대상의 학습유형 변화를 파악하였다. 변화 특징으로 주목할 것은 조절형과 동화형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에 반해 확산형은 증가했고 수렴형은 감소했다는 점이다. 또한, 전체 연구 대상의 구체적 경험(CE)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을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한 논의로부터 수학영재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t is well-known that every learner has his/her own learning style and the learning style has a great effect on his/her learning characteristics, processes and achievements. This study aims to induce some implications for designing the gifted mathematics programs which go with gifted students' learning styles. To do this, we applied the gifted mathematics program of nine lessons to 52 third grade gifted student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according Kolb's learning styl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applying the programs were taken and the results of two tests were analysed by t-test. As a result, the students of diverging style increased and the ones of converging style decreased, while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accommodating style and the assimilating style. It was also shown that the average of the concrete experience(CE) of the subjec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also contain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discussing about the results of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영남 (2013). 학습양식과 교육. 경기: 교육과학사.
  2.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 서울: 교육부
  3. 교육부 (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발표 보도자료. 홍보담당관실.
  4. 권보혜 (2009).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 비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방영 (2010). 초등학교 우수 수학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은정 (1999). 학습양식의 유형 및 구성요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판수 (2001).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차이. 2001 연차학술발표대회 발표 논문집, 93-108.
  8. 김판수, 강승희 (2003). 초등학교 수학 및 과학 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차이 연구. 학교수학, 5(2), 191-208.
  9. 신국환 (2007). 초등학교 수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학습 양식 비교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경희, 이성진 (2013).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대학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이공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E-수학교육 논문집, 27(4), 473-486.
  11. 이명근, 오유진 (2011). 프로젝트 기반 초등 수학교육의 학습양식 효과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2. 이신동 (2005). Kolb 학습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6(4), 125-144.
  13.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 (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14. 이종욱 (2000). 초등학교 수학영재의 확산적 사고 발달을 위한 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경진, 박만구 (2010). 초등 영재교육원 수학 영재캠프 프로그램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81-102.
  16. 임세영, 이병철, 최현숙, 안미선, 이웅일 (2012). 실천공학 교수법 : Kolb학습유형검사의 한글버전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1), 30-44
  17. 장윤재, 김민하, 김자미, 이원규 (2011). 컴퓨터교과교육과 컴퓨터과학: Kolb 의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자의 스크래치 프로젝트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5(1), 85-89.
  18. 조누리, 백석윤 (2013). 수학적 발문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 비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39-65.
  19. 주현정 (2014). 초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비구조화된 수학문제에서의 문제해결전략 및 정당화.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 홍은자, 배종수 (2005). 초등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9(1), 65-84.
  21. 황희숙, 임소혜, 윤소정 (2006). 영역별 영재와 일반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과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4(3), 261-288.
  22. Buch, K., & Bartley, S. (2002). Learning style and training delivery mode preference.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14(1), 5-10. https://doi.org/10.1108/13665620210412795
  23. Cartney, P. (2000). Adult Learning Styles: Implications for practice teaching in social work. Social Work Education, 19(6), 609-626. https://doi.org/10.1080/02615470020002335
  24. Kolb, A. Y., & Kolb, D. A. (2005).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version 3.1 2005 Technical Specifications. Boston, Mass.: Hay Resources Direct.
  25.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earson Education.
  26. Kolb, D. A., & Hay, R. D. (2007).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Boston, Mass.: Hay Resources Direct.
  27. Kosower, E., & Berman, N. (1996). Comparison of pediatric resident and faculty learning styles: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s, 312(5), 214-218. https://doi.org/10.1016/S0002-9629(15)41818-X
  28. Smith, D. M., & Kolb, D. A. (1986). Learning style inventory: User's guide. Boston, MA: McBer.
  29. Svinicki, M. D., & Dixon, N. M. (1987). The Kolb model modified for classroom activities. College Teaching, 35(4), 141-146. https://doi.org/10.1080/87567555.1987.9925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