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s to Activate the Community Network of Community Child Center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시스템사고에 근거한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방안

  • Received : 2015.05.31
  • Accepted : 2015.06.27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dynamics of the community network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further find out the measures to activate its community network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examines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ommunity network of Community Child Centers and presents the major variable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its community network. Secondly, it analyzes the structure of its caus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its community network. Lastly, it concludes with the suggestions to activate its community network based on its feedback structure presented in the causal loop diagram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useful and basic material as the first research to dynamically understand the community network issu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신. (2010). "지역아동센터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 공계순. (2010).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3호: 27-51.
  3. 공계순.서인혜. (2009).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사례관리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4호: 155-178.
  4. 김광혁. (2012). "거점형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과제". 거점형 지역아동센터의 운영과 발전방향을 위한 토론회. 서울. 2012년 12월.
  5. 김남숙. (2013).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연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12호: 803-810.
  6. 김미애. (2015).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자기표현향상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원. (2008). "지역 아동센터 네트워크 모형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5권 3호: 5-24.
  8. 김미정.이경은.장덕희. (2012).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 사회자원 연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8권 4호: 409-428.
  9. 김유화. (2010).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연계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부천시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서울기독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0. 김인. (2010).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에 있어서 교회의 역할". 교회사회사업 제14권: 63-101.
  11. 김준기.정복교. (2007). "전라북도 지역아동센터 현황과 발전과제". 보육지원학회지 제7권 3호: 67-100.
  12. 김지현. (2010).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극복에 관한 연구".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연구 제7권 2호: 91-114.
  13. 김진미. (2015).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소진, 조직헌신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26권 1호: 27-53.
  14. 김철영. (2012). "대학과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일본의 대학과 역이 연계하는 마을만들기 추진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4권 5호: 65-78.
  15. 김현숙.서윤. (2013). "지역아동센터의 네트워크 연계기관수 및 네트워크 지속성, 서비스 지속성 영향요인 연구: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제34권 6호: 159-175.
  16. 김현정.최은영. (2014).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부모자녀관계, 사회적 자본, 자아존중감". 보건사회연구 제34권 1호: 239-267.
  17. 김현주.현안나. (2011).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지역사회서비스 연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제32권 5호: 103-119. https://doi.org/10.5723/KJCS.2011.32.5.103
  18. 김희진. (2014). "방과후 돌봄서비스 제공기관 간의 연계에 관한 고찰 : 지역아동센터와 방과후 학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대구광역시 A지역아동센터장 면접, 2015. 5.
  20. 모윤숙. (2015). "지역아동센터의 합창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민혜연.서영숙. (2007). "지역아동센터 평가도구 개발 연구". 방과후아동지도연구 제4권: 37-63.
  22. 박명순.최길순.이선희.이진승. (2012). "지역아동센터와 연계한 소외 계층 과학문화 활동의 진행 과정과 의미". 현장과학교육 제6권 1호: i-iv.
  23. 박태정.박형원.이희연. (2010). "지역아동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지역아동센터의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33권: 75-109.
  24. 보건복지부. (2008). 2008년도 아동복지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5. 보건복지부. (2014). 2014년 지역아동센터 운영매뉴얼. 서울: 보건복지부.
  26. 보건복지부.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2014).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7. 보건복지부. (2015). 2015년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8.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2015). 2015년 지역아동센터 평가 편람. 서울: 보건복지부.
  29. 윤혜순. (2009). "지역아동센터의 효과분석을 위한 참여관찰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 제7권 40호: 43-55.
  30. 이영미. (2015).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소진, 조직헌신의 관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소진, 조직헌신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조미아. (2012).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1호: 195-2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1.195
  32. 주수경. (2005). "지역아동센터 사업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지역아동정보센터. (2008). 지도로 보는 전국지역아동센터 현황 자료.
  34. 지은구.조성숙. (2010).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