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Health on the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Focus on Household Patterns

가구유형별 농촌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건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10.01
  • Accepted : 2015.11.18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health on the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patterns. Data were collected from 1,000 of the elderly over 65 living in rural Korea. A questionnaire was used with direct interviews and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s, and health of the rural elderl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patterns. Second, depression in the rural elderly i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ousehold patterns; elderly people in a single household report greater depression than elders in a coupled household or those in a household with a child. Third, satisfaction with health conditions and nutrition management variabl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in all household patterns.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that affect depression of the rural elderly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patterns.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욱.박경민(2012).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한국노년학, 32(1), 129-143.
  2. 김미령(2006). 전기.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192-222.
  3. 김수현.강현정.김윤정(2008).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1), 51-71.
  4. 김영주(2009).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46, 77-104.
  5. 김오남(2003).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2), 5-22.
  6. 김윤정.안정선.강인(2008).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23-42.
  7. 김은정.이신영(2012). 농촌노인의 비공식적 사회관계망과의 사회적 지원과 우울성향-도시 노인과의 비교.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 28(2), 149-176.
  8. 김현숙.유수정.한규량(2002). 지역사회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기능,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163-175.
  9. 김형수(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59-172.
  10. 남기민.정은경(2011).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2, 325-348.
  11. 농촌진흥청(2014). 농촌 고령자의 일상생활 실태조사. 전주 : 농촌진흥청
  12. 림금란.김희경.안정선(2011).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지, 31(1), 33-47.
  13. 박경순.박영란.염유식(2015). 성인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교환이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68, 273-301.
  14. 배지연.김원형.윤경아(2005).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 25(3), 59-73.
  15. 변호순(2005). 미신고 복지시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대한 다층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서경현.김영숙(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9(1), 115-137.
  18. 손신영(2006).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19. 순석준.신준호.신희영.정은경.범민선.권순석(2000).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회지, 25(1), 85-98.
  20. 신경인(2009).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신은숙.조영채(2012).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201-210.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01
  22. 신혜종.박명숙(2011).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50(2), 115-141.
  23. 양순미.임춘식(2006).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노인복지연구, 32, 377-398.
  24. 양순미.임춘식.오윤자(2007). 농촌노인의 우울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36, 139-158.
  25. 오영희(2015). 노인의 건강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5-5, 29-39.
  26. 유양경.고성희.김귀분.정승희(2004).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6(1), 102-110.
  27. 이수애.김경미(2002). 농촌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209-226.
  28. 이윤경(2014). 노인의 가족형태 변화에 따른 정책과제: 1994-2011년의 변화. 보건복지포럼, 2014-5, 45-54.
  29. 장수군(2015). 인구통계. http://www.jangsu.go.kr/index.jangsu.
  30. 정경희(2015). 노인부부가구의 생활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5-4, 58-68.
  31. 정경희.오영희.황남희.권중돈.박보미 (2014).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정순둘(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31(4), 1229-1246.
  33. 정영미(2007).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7(1), 71-86.
  34. 조완규(1994).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4, 73-96.
  35. 조유향(2002). 농촌노인의 고독감, 우울과 사회적 지지와와의 관계. 한국농촌의학회지, 27(1), 87-98.
  36. 조항석.이혜리.유계준.오병훈.양성희 (1998). 한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과 관련된 요인. 노인병, 2(1), 89-102.
  37. 주애란.박상하(2004). 농촌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6(1), 27-37.
  38. 차준태.지용석(2004).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의 심혈관계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5), 331-340.
  39. 통계청(2014). 2014 고령자통계. 대전 : 통계청.
  40. 통계청(2015). 2015 고령자통계. 대전 : 통계청.
  41. 하은호.이영휘(2004). 무료양로시설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6(1), 47-54.
  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4. 홍성희(2015).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26.
  45. 홍순영.최석영(1996). 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5(6), 1055-1061.
  46. 홍순혜(1999). 노인에 대한 가족의지지-가족원 유형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9, 322-349.
  47. 홍양자.강승애(1998). 노인여성들의 운동지속이 신체적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2(1), 48-55.
  48. Koyano, W., Shibata, H., Nakazato, K., Haga, H., & Syunyama, Y.(1987). Measurement of competence in the elderly living at home: Development of an index of competence.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34(3), 109-114
  49. Norbeck, J. S., Lindsey, A. M., & Carrieri, V. L.(1981).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30(5), 264-269.
  50. Rao, R., Dening, T., Brayne, C., & Huppert, F. A..(1997). Suicidal thinking in community residents over eight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 337-343. https://doi.org/10.1002/(SICI)1099-1166(199703)12:3<337::AID-GPS498>3.0.CO;2-T
  51. Revicki, D., & Mitchell, J.(1990). Strai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rural elderly individuals. Journal of Gerontology, 45, 267-274. https://doi.org/10.1093/geronj/45.6.S267
  52. Weinstein, M., Glei, D. A., Yamazaki, A., & Chang, M. C.(2004).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the association between life stressors and depressive symptoms. Research on Aging, 26(5), 511-530. https://doi.org/10.1177/0164027504266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