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tumor Activities of Haeamdan on Various Cancer Cells

해암단이 수종의 암세포에 미치는 항암 효과

  • Lee, Jee Young (Department of Korean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 Oh, Hye Kyung (Department of Korean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 Ryu, Han Sung (Department of Korean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 Kim, Nam Jae (East-West Medical Research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
  • Jung, Won-Yong (East-West Medical Research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
  • Oh, Hyun-A (East-West Medical Research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
  • Choi, Hyuck Jai (East-West Medical Research Institut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
  • Yoon, Seong Woo (Department of Korean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
  • Ryu, Bong-Ha (Department of Korean Inter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 이지영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암센터 한방내과) ;
  • 오혜경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암센터 한방내과) ;
  • 류한성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암센터 한방내과) ;
  • 김남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약물연구부) ;
  • 정원용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약물연구부) ;
  • 오현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약물연구부) ;
  • 최혁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약물연구부) ;
  • 윤성우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한방암센터 한방내과) ;
  • 류봉하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비계내과)
  • Received : 2015.11.15
  • Accepted : 2015.12.20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 complexed herbal formula, Haeamdan (HAD). Methods : Seven Cancer cell lines, LoVo, MCF-7, AGS, Sarcoma 180, HL-60, NCI-H69, LL/2, were prepared and the cytotoxicity was assess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e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HAD was appli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from 0.1 to 1.0 mg/ml to figure out the appropriate dosage. ICR male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mplanted with Sarcoma 180 and divided into 8 species for each group.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normal saline, positiv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cyclophosphamide 8mg/kg, and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HAD 1g/kg. Results : Among seven cancer cell lines, HAD exhibited strong cytotoxic activities to followed four cancer cell lines, that is, Sarcoma 180, HL-60, NCI-H69, and LL/2. These cytotoxic activity was expressed under 0.50 mg/ml of IC50 under 0.1~1mg/ml of OBW. When Sarcoma 180 cancer cell was implanted in ICR male mice and treated with the HAD, HAD prolonge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for 3.6 days, from 17.5 to 21.1 days. Conclusion : HAD showed strong cytotoxicity to the cancer cells, Sarcoma 180, HL-60, NCI-H69, on in vitro study and it showed anti-tumor activity in vivo with the peritoneal cancer mice by prolonging the median survival for 3.6 days. Further researches would be expected to support the anti-tumor efficacy of HAD.

Keywords

References

  1. 중앙암등록본부, 2012년 국가암등록통계, 2014.12.23.
  2. Gandhi V, Mehta K, Grover R, Pathak S, Aggarwal BB. Multi-targeted approach to treatment of cancer, p. 19-56, USA. Springer Verlag. 2014.
  3. 박근형, 김소영, 채희정. 항암소재의 발굴을 위한 한방소재의 선별. 한국생물공학회지.2007;22(3):139-45.
  4. 김은해, 은영아, 강봉주, 성현제, 박갑주. 한약처방제의 인체 위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1997;28(4):233-8.
  5. Liu Y, Xu Y, Ji W, Li X, Sun B, Gao Q, et al. Anti-tumor activities of matrine and oxymatrine: literature review. Tumour Biol. 2014;35(6):5111-9. https://doi.org/10.1007/s13277-014-1680-z
  6. 차관배, 김윤식, 유호룡, 조현경, 오연선, 설인찬. 오수유 약침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 (5):1261-70.
  7. 김창헌, 김인성. 한의양방선. p. 563. 전주. 계림사. 1995.
  8. 배성식. 암보감. p. 142. 서울. 지식공작소. 1995.
  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종양학, p.1-5, 43-93,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10. 박명애, 최원영. 적취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7;11(1):90-9.
  11. 이수정, 신정혜, 강재란, 황초롱, 성낙주, 와송과 한약재 복합물의 in vitro 생리활성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2;41(3):295-301. https://doi.org/10.3746/jkfn.2012.41.3.295
  12. 윤경수,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와송이만성 골수성 백혈병 세포주(K562)에서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1):166-77.
  13. 김재용, 정은정, 원영선, 이주혜, 신동영, 서권일.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재배 와송의 세포 사멸 유도 효과. 식품과학회지. 2012;44(3):317-23.
  14. 손승현, 박희수. 와송 약침이 mouse의 간전이 암모델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6):61-76.
  15. 권진, 한광수. 와송 추출물이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04;12 (4):315-20.
  16. 김지권, 김영철, 이장훈, 우홍정. 인진, 울금, 상기생, 와송이 HepG2 cell의 혈관생 성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1):149-65.
  17. 송봉근. 수종 한약재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7;18(2):43-57.
  18. 류갑순, 이진무, 이창훈, 장준복, 이경섭. 자궁경부암과 유방암에 대한 삼릉의 세포자멸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3):1-13. https://doi.org/10.15204/JKOBGY.2011.24.3.001
  19. 박창건, 백승희, 김동철. 삼릉이 자궁근종 세포의 증식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199-213.
  20. 황재철, 김미랑, 정영재, 이영자, 서운교, 정운석. B16 흑색종 세포의 폐전이에 대한 봉출의 억제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5;26(1):1-10.
  21. 류지현, 이수정, 김미주, 신정혜, 강신권, 조계만 외. 개똥쑥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과 기능성 물질의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1;40(4):509-16. https://doi.org/10.3746/jkfn.2011.40.4.509
  22. 이희재, 백승희, 김동철. 현호색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 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214-25.
  23. 오명택, 엄현섭, 지규용. 현호색이 인체간암세포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6):14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