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shion Cultural Products Design using Folk Belief Symbols - Focused on Changsuengs and Sotdaes -

민속신앙 상징물에 의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장승과 솟대를 중심으로 -

  • Kim, Ji Young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지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Received : 2014.08.21
  • Accepted : 2014.12.10
  • Published : 2015.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fashion-cultural products by reviewing the symbolism in Changseung and Sotdae, which are folk belief sculpture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literature reviews of Changseung and Sotdae in order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folk belief and traditional culture, and the designs were developed from the symbolism extracted from Changseung and Sotdae with photoshop CS5 and illustrator CS5. The Symbolism of Changseung and Sotdae were as follows: First, Changseung and Sotdae express the 'symbiotic world view' that human beings need to devote one's life to nature. Second, original materials were sav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suit of essence'. Third, 'simple esthetic expression' was symbolized through the undivided condition between art, religion and life. And fourth, 'empathic humor' was seen through the basis of emotional sense of affinity. The first concept of design development was 'Pursuit of Essence', which was inspi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iotic world view' and 'pursuit of essence'. Changseungs were expressed as simple and abstract, and Sotdaes as simplified and modern by symmetrical and rotating copy. The second concept, 'Touch of Humor' was inspired by 'simple esthetic expression' and 'emphatic humor'. The face of Changseungs was exaggerated in a humorous ways and Sotdae was developed as sub-motives. The items for the fashion-cultural design were T-shirts, bags, and scarves. Total of 24 items were developed with 4 differently styled designs for each concept. This study was based on basic culture and attempted to diversify the traditional culture items. It hopes to raise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furthermore help build up national competitiveness.

Keywords

References

  1. 이규태 (2001), 잘돼도 못돼도 다 조상 탓, 서울: 조선일보사, p. 19.
  2. 김지영, 오윤정 (2012), 문화유산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유네스코 기록 유산 직지를 중심으로, 복식, 62(7), pp. 133-149. https://doi.org/10.7233/jksc.2012.62.7.133
  3. 송미정, 박혜원 (2012), 가야 유물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패션비즈니스, 16(1),pp. 160-179. https://doi.org/10.12940/jfb.2012.16.1.160
  4. 김혜경, 전희관 (2013), 백제 지역문화기반의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6), pp.898-905. https://doi.org/10.5805/KSCI.2012.14.6.898
  5. 김태곤 (1987), 한국민간신앙연구, 서울: 집문당, pp.11-13.
  6. 최준식 (2005), 한국의 풍속 민간신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15-135.
  7. 최준식 (2005), 한국의 풍속 민간신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78-80.
  8. 임재해 (1986), 민속문화론, 서울: 문학과 지성사, p.153.
  9. 국립민속박물관 편 (1996), 한국민속문화의 탐구,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364.
  10. 김원룡 (1998),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p. 51.
  11. 임동권 (1989), 한국민속문화론, 서울: 집문당, pp.18-19.
  12. 임재해 (1986), 민속문화론,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13.
  13. 이종철 (2009), 한국 민속신앙의 탐구, 서울 : 민속원,p. 273.
  14. 임재해 (1986), 민속문화론,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81.
  15. 이두현, 장주근, 이광규 (2004), 한국 민속학 개설, 서울: 일조각, p. 172.
  16. 차용준 (1998), 한국인의 전통사상, 전주: 전주대학교출판부, p. 282.
  17. 김두하 (1997), 장승과 벅수, 서울: 대원사, p. 35.
  18. 이현숙 (2011), 샤머니즘에서 나타난 장승과 솟대의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 섬유디자인의 조형예술작업실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9.
  19. 이종철 외 (1988), 장승, 서울: 열화당, p. 160.
  20. 남궁일 (2001), 캐릭터 디자인 관점에서의 장승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7, p. 30.
  21. 이종철 외 (1988), 장승, 서울: 열화당, p. 107.
  22. 차용준 (1998), 한국인의 전통사상, 전주대학교 출판부, p. 284.
  23. 이종철 (2009), 한국 민속신앙의 탐구, 서울 : 민속원,p. 61.
  24. 국립민속박물관 편 (1991), 장승 솟대신앙: 충남지방,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11.
  25. 이종철 (2009), 한국 민속신앙의 탐구, 서울 : 민속원, p.48-49.
  26. 남궁일 (2001), 캐릭터 디자인 관점에서의 장승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학연구, 7, p. 29.
  27. 이필영 (1990), 솟대, 서울: 대원사, p. 94.
  28. 최준식 (2005), 한국의 풍속 민간신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03.
  29. 이종철 (2009), 한국 민속신앙의 탐구, 서울 : 민속원, p. 70.
  30. 남영란 (2002), 솟대에 관한 도자조형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31. 이필영 (1990), 솟대, 서울: 대원사, p. 11.
  32. 국립민속박물관 편 (1991), 장승 솟대신앙: 충남지방,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9.
  33. 나윤섭(2004), 한국의 샤머니즘에 관한 조형 연구: 장승과 솟대를 중심으로, 장승 신앙 3, 민속학술자료총서편집부, 서울: 우리마당 터, p. 214.
  34. 안정일 (2001), 한국 솟대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39.
  35. 이필영 (1990), 솟대, 서울: 대원사, p. 28.
  36. 이필영 (1990), 솟대, 서울: 대원사, p. 22.
  37. 이종철 외 (1988), 장승, 서울: 열화당, pp. 167-168.
  38. 조옥준 (2001), 장승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연구: 크랙염 및 묘염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8-23.
  39. 이정근, 손성주 (2013), 한국장승의 형태에서 보여지는 조형미에 관한 연구: 목장승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4), pp. 540-543.
  40. 안정일 (2001), 한국 솟대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p. 45-47.
  41. 남영란 (2002), 솟대에 관한 도자조형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0-31.
  42. 이현숙 (2011), 샤머니즘에서 나타난 장승과 솟대의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 섬유디자인의 조형예술작업실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7.
  43. 이종철 (2009), 한국 민속신앙의 탐구, 서울 : 민속원, p. 46.
  44. 임재해 (1997), 굿에 나타난 화해정신과 공생적 세계관, 한국민속학, 29(1), p. 257.
  45. 이현숙 (2011), 샤머니즘에서 나타난 장승과 솟대의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 섬유디자인의 조형예술작업 실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6.
  46. 정양태 (2004), 장승설화 연구, 장승신앙 3, 민속학술자료총서편집부, 서울: 우리마당 터, p. 15.
  47. 국립민속박물관 편 (1994), 장승 솟대 신앙: 전북지방,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2.
  48. 김영기 (1998), 한국인의 기질과 성향을 통해 본 한국미의 이해,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p. 161.
  49. 김원룡 (1998),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p. 25.
  50. 안정일 (2001), 한국 솟대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12.
  51. 권영필 외 (1997),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93.
  52. 고유섭 (1993), 고유섭전집3 : 한국미술사급미학논고, 서울: 통문관, pp. 16-18.
  53. 이종철 (2009), 한국 민속신앙의 탐구, 서울 : 민속원, p. 45.
  54. 천미전 (2010), 장승의 현대적 변용과 활용양상, 남도민속연구, 21, p. 256.
  55. 이정근, 손성주 (2013), 한국장승의 형태에서 보여지는 조형미에 관한 연구: 목장승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4), p. 542.
  56. 이정근, 손성주 (2013), 한국장승의 형태에서 보여지는 조형미에 관한 연구: 목장승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4), p. 541.
  57. 안정일 (2001), 한국 솟대의 조형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p. 47.
  58. 권영필 외 (1997),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 89.
  59. 권영필 외 (1997), 한국미학시론, 서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p. 87-88.
  60. 이종철 외 (1988), 장승, 서울: 열화당, p.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