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통일 기반구축을 위한 군비통제 추진방향

Direction of Arms Control to Establish Foundation for Peaceful Re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 투고 : 2015.10.02
  • 심사 : 2015.10.31
  • 발행 : 2015.10.30

초록

한반도에서 평화통일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비군사분야에 머물고 있는 남북교류협력 영역을 군사분야로 확대하여 군비통제를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남북 간에 군비통제가 추진되지 못한 이유는 (1)남북 간 신뢰구축의 한계, (2)군비통제 자체의 기능적 한계, (3)남북 간 제도 구조적 한계, (4)국내 외 환경적 한계 등 태생적 요인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군비통제를 추진하기 위해 남북 고위급회담 수준의 정치적 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협상 및 추진과정에서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황과 여건에 부합한 '신축적 상호주의'를 적용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선 신뢰구축, 후 군축' 원칙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절충적 방법으로 '신뢰구축 및 군축의 동시추진' 원칙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즉, 군비통제의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는 군사적 신뢰구축과 합리적 충분성에 입각한 제한된 군축을 병행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무총리실 직속으로 군비통제 전담기구를 설치하여 국가정책 전략 차원에서 군비통제 문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또한 남북 고위급회담이 성사되면 '남북 군비통제 공동추진위원회(가칭)'을 구성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평화통일을 위한 군비통제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 형성과 유리한 국제적 환경조성을 위하여 보다 능동적인 외교역량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핵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한미동맹과 한중협력관계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해 나갈 것인가를 더욱 고민해야 할 것이다.

It is required to expand area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eing limited to non-military field, to military field and then, to positively promote arms control in order to establish foundation for peaceful re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Reasons why arms control has not been promote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meantime were such original factors as follows; (1) limit of confidence building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2) functional limit of arms control itself, (3) institutional structural limi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4) environmental limit at home and abroad. It is necessary to get out from existing frame and to seek a new paradigm in order to overcome above factors and to realize arms control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First, it is required to have prior political dialog at the South-North high-level talks in order to promote arms control and to exercise 'strategic flexibility' during negotiation and promotion process. For this, 'flexible reciprocity' has to be adopted in compliance with situation and condi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get out from existing principle of 'confidence building in advance and arms reduction later' but to seek the 'simultaneous driving principle of confidence building and arms reduction' as an eclectic approach. Namely, based on reasonable sufficiency, it is required to promote military confidence building and limited arms reduction in parallel, which is a lower level of arms control. Third, as an advisory body of Prime Minister's Offic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 organization exclusively responsible for arms control and to positively handle arms control issue from the standpoint of national policy strategy. If the South-North high-level talks take plac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perate 'South-North Joint Arms Control Promotion Board (tentative name)'. Fourth, it is required to exercise more active diplomatic competence in order to create national consensus on necessity of arms control for peaceful reunification and to form more favorable international environment.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to solve nuclear issue of North Korea together in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society and how to maintain balance between ROK-US alliance and Sino-Korean cooperation rel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청아대, '2015신년사', http://www1.president.go.kr/president/speech.php(검색일 : 2015. 1.3)
  2. 김열수, 국가안보 : 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제2판(파주 : 법문사, 2011), pp. 344-345.
  3. 육군사관학교, 북한학 : 정치.군사.통일의 역동성, 2차 개정판(서울 : 황금알, 2006), pp. 484-487.
  4.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 (서울 : 통일부, 2014), p. 153
  5.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 (서울 : 통일부, 2014), p. 153
  6. 김강녕, 남북한관계와 군비통제 (부산 : 신지서원, 2008), p. 257.
  7. 김열수, 국가안보 : 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제2판(파주 : 법문사, 2011), p. 327.
  8. John Borawski, From the Atlantic to the Urals(Washington : Pergamon Brassey'sInternational Defense Publishers, 1986)
  9. James Machintosh, Confidence and Security Building Measures in the Arms Control Process(External Affairs and International Trade Canada, 1985), pp.199-200
  10. Carl C. Krebbiel, Confidence and Security Building Measures in Europe : The Stockholm Conference(Praeger Publishers, New York, 1989), p. 10
  11. 남만권, 앞의 책, pp.137-170 참조.
  12. 황진환, 한국의 안보와 군비통제 (서울 : 봉명, 2005), p. 36.
  13. 남만권, 군비통제 이론과 실제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6), pp.59-63.
  14. Patric M. Morgan, "Elements of a General Theory of Arms Control", in Paul R. Viotti, Third ed. Conflict and Arms Control: An Uncertain Agenda(Boulder, CO: Westview Press, 1986), p. 289 .
  15. 남만권, 군비통제 이론과 실제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6), p. 37.
  16. 육군사관학교, 북한학 : 정치.군사.통일의 역동성, 2차 개정판(서울 : 황금알, 2006), pp. 418-424.
  17. 한용섭,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서울 : 박영사, 2005), pp. 19-20.
  18. 통일교육원, 북한의 이해 (서울 : 통일교육원, 2014), p. 11.
  19. 김열수, 국가안보 : 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제2판(파주 : 법문사, 2011), p. 350.
  20. 육군사관학교, 북한학 : 정치.군사.통일의 역동성, 2차 개정판(서울 : 황금알, 2006), p. 425.
  21. 육군사관학교, 북한학 : 정치.군사.통일의 역동성, 2차 개정판(서울 : 황금알, 2006), pp. 488-490.
  22. 남만권, 군비통제 이론과 실제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6), pp. 73-75.
  23. 남만권, 군비통제 이론과 실제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6), pp. 137-140.
  24. 육군사관학교, 북한학 : 정치.군사.통일의 역동성, 2차 개정판(서울 : 황금알, 2006), p. 419.
  25. 권양주, "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관한 소고", 주간국방논단, 제1469호(한국국방연구원, 2013), pp. 2-3.
  26. 국방부, 2014국방백서 (서울 : 국방부, 2014), p. 13.
  27. 문대근, 중국의 대북정책 (서울 : 늘품프러스, 2013), pp. 129-185.
  28. 한용섭,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서울 : 박영사, 2005), pp. 19-20.
  29. 손기웅 외, 그린데탕트 실천전략: 환경공동체 형성과 접경지역.DMZ 평화 생태적 이용방안 (서울 : 통일연구원, 2014), p. 318.
  30. 박영호 외, "신뢰정책의 과제와 추진전략", KINU연구총서, 14-09(서울 : 통일연구원, 2014), p. 49.
  31. Car l von Clausewitz 저, 김만수 역, 전쟁론 (서울 : 갈무리, 2006), pp. 47-53.
  32. 하정열, 상호주의 전략 (서울 : 오래, 2012), p. 94.
  33. 신범철 외, 평화공동체 추진구상, 통일정책 용역연구보고서(서울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1), p. 164.
  34.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파주 : 프른나무, 2007), p. 290.
  35. Michael O'Hanlon and Mike Mochizuki, "Toward Grand Bargain with North Korea", The Washing Quarterly, Fall 2003, No.26-4, pp. 7-18.
  36. '2014 통일부 업무보고'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1419(검색일 : 2015. 1.6).
  37. 국립외교원, "글로벌 리더 통일한국", 2040년 통일한국 비전보고서(2014. 6.16), p. 4
  38. 박종철 외, 2014 남북통합에 대한 국민의식조사(통일연구원, 2014), p. 51.
  39. 신범철 외, 평화공동체 추진구상, 통일정책 용역연구보고서(서울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1), p. 148.
  40. 신범철 외, 평화공동체 추진구상, 통일정책 용역연구보고서(서울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1), p.258.
  41. 길병옥, "주요국가의 군비통 제 관련 조직활동 분석 및 시사점", 한반도 군비통제, 제39호(국방부정책기획실, 2006), p.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