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the Selective Attention and Animation In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Visual Capture of Audience

관객의 시각포획현상에 따른 선택적 주의집중과 애니메이션 유도장치의 이해

  • 이종한 (호서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5.11.01
  • Accepted : 2015.11.26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Some artists and scientists in physics and animation originating from research on its form of expression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xample in the late 20th century image production technology integrating existing media feature, perform a re-creation and pop culture content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factor. animation of the modern emphasis is also commercial and artistic activities as show whether the artist can not be excluded that also target audience. The audience does not want only to receive offers simply 'seeing' and 'hearing' in the animation requires a more indirect mental met. the other side, the director should lead the audience to immerse myself in work as intended mystification induce the world. where a conflict occur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director and The director needs to have its troubleshooting point to 'Technology of the communication'. Which is reduced to 'How will tell,' is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are abbreviated representations of animation director is accessible to the audience and it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aspect of audience. Because, the audience is reproduced in a limited space, but he called on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same time the screen, the audience located at reception and the director located at provide. It is given. led force is given to the director. for this reason, The director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aspect of audience this can be explained based on psychoanalytic theory. In this paper, "How can you lie to the audience and the director is the same line?" put down logic that is the animation audience under the logic that takes place visually capture phenomenon "selective attention" and sub-concept of "goal-directed selection' and 'stimulus-driven capturel' for theory of psychology. also, Induction device to elicit selective attention of the audience accordingly, let's consider whether and how they apply in animation.

일부 예술가와 과학자의 물리적 현상과 그 표현형식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된 애니메이션은 20세기후반에 들어 인식론과 이미지 생산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힘입어 기존의 미디어 기능을 통합, 재창조를 수행하며 대중문화콘텐츠 형성에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현대의 애니메이션은 작가의 예술 활동만큼이나 상업성과 흥행 여부도 강조되며 그 대상인 관객도 배제할 수 없다. 이것은 애니메이션이 예술적 의미에서 상업적 의미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었음을 뜻한다. 관객은 애니메이션에서 단순히 '볼거리'와 '들을 거리' 만을 제공받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그이상의 간접적인 정신적 충족을 요구한다. 반면 연출자는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내 자신이 의도한 신비화된 세계관으로 작품 안으로 유도하고자 한다. 여기서 관객과 연출자간의 충돌이 일어나며 연출자에게는 그 해결점으로 '소통에 대한 기교와 기술'이 요구된다. 어떻게 말할 것인가'로 축약되는 소통의 기술은 애니메이션 연출가가 관객에게 접근하는 표현 방법이며 관객의 심리적 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관객은 연출자와 시점의 동일선상에 놓이지만 화면이라는 제한적 공간에서 재현되기 때문에 관객은 수용하는 입장이고 연출자는 제공하는 입장이기에 연출자에게 주도권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연출자는 관객의 심리적인 면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정신분석학의 이론에 따라 설명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관객과 연출자가 동일선상에 놓일 수 있는가?" 하는 논리 아래 관객의 심리현상중 하나인 '시각포획 현상'으로 일어나는 '선택적 주의집중'과 하위 개념인 '목표 지향적 선별기능'과 '자극에 의한 포착기능'을 심리학 이론의 배경으로 자료를 삼고자 한다. 또한 그에 따른 관객의 선택적 주의집중을 이끌어내는 유도장치들이 애니메이션 안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고찰해보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훈, 채윤경, 장동렬 외, 고등학교 애니메이션제작, 경기도 교육청, 2000.
  2.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0,
  3. 김치환, 애니메이션으로 떠나는 철학여행, 인문 산책, 2011.
  4. 박명진,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2006.
  5. 박정자,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기파랑, 2011.
  6. 오몽, 마리, 베르너, 영화학, 어떻게 할 것인가, 열린책들, 1992.
  7. 유리 로트만, 박현섭 역, 영화 기호학, 민음사, 1997.
  8. 전양준 편, 에이젠쉬쩨인.이미지모험, 열린책들. 1990.
  9. 주창윤 저, 영상언어의 이해, 청서출판, 2007.
  10. Gaston Bachelard, (La)Poetique de l'espace, 곽광수 역,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11. Gaston Bachelard, (La)flamme d'une chandelle, 이가림 역, 촛불의 미학, 문예출판사, 2001,
  12. Konstantin Stanislavsky, Building a character : 이대영 역, 성격 구축, 스타니스랍스키 전집3, 예니, 2001.
  13. Norman Bryson, 김융희 역,기호학과 시각예술, 시각과 언어, 1995.
  14. Herbert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김성기,이한우 역,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15. Louis GiannettiL, Understanding movies : 김진해 역, 영화의 이해 - 이론과 실제, 현암사, 1999,
  16. Margaret Wertheim, (The)Pearly gates of cyberspace : A History of space from Dante to the : 박인찬 역, 공간의 역사, 생각의 나무, 2002.Robert L. Solso, Cognition & the visual art
  17. 신형정, 유상옥 역, 시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18. Rudolf Arnheim, (The)power of the center : 정용도 역, 중심의 힘, 눈빛, 2001.
  19. Tezuka Osamu(手塚治蟲), くのマンガ人生: 정윤아 역, 어머니는 나에게 하고 싶은 일을 하라고 하셨다, 누림, 2006,
  20. 백윤미, 캐롤라인 리프의 애니메이션 작품에 나타난 표현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변신 논문, (2005, 2)
  21. 정우근, 다큐멘터리 영상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학회지논문, AURA 7권 1호(2000)
  2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64815&cid=44411&categoryId=44411&expCategoryId=44411, 2015,11,07
  2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9497&cid=40942&categoryId=31611. 2015,11,07
  24.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B%8F%99%EC%95%84%EA%B3%B5%EC%98%81%EA%B6%8C
  25. <전함 폰템킨> ((Bronenosets Potemkin, 1925).
  26. <잠자씨의 변신> (THE METAMORPHOSIS OF MR. SAMSA, 1978).
  27. <아키라,> (Akira,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