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oy Breeds between Young and Older Generations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 간 토이 견종 인지도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신연호 (혜전대학교 애완동물관리과)
  • Received : 2015.11.10
  • Accepted : 2015.12.0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oy breeds between young and older generations by investigating their understating on pet dogs, difference in pet preference and reasons behind their choice of dog breeds, recognition and preference by toy bree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37 youths and 60 elderlies in medium/large cities and rural areas.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with ${\chi}^2$-test to se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ce of p<0.01 in recognition of pet/companion animals and toy breeds, and in pet dog preference and reasons of dog choice, along with p<0.05 in recognition and preference by toy breeds. Thus, this research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quires to widely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oy breeds throughout generations due to widespread preference for such breeds and to continue research on change factors in their level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the right choice when he/she decides to raise a toy dog.

본 연구는 청년 세대와 중장년 세대를 기준으로 애견 관련 지식 이해, 애견 선호 차이, 선호 견종 선택 이유, 토이 견종별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두 집단 간 토이 견종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에 거주 중인 청년 세대 137명과 중장년 세대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chi}^2$-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애완동물과 반려동물의 인지와 토이 견종의 인지에서 집단 간 통계적 유의성(p<0.01)을 보여 주었고, 애견 선호와 선호 견종 선택 이유에서도 유의한(p<0.01)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토이 견종별 인지도와 선호도에서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p<0.05)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토이 견종의 선호도가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세대 간 토이 견종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대중화 되어야 하며, 추후 선호하는 토이 견종의 양육 시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토이 견종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서 토이 견종의 인지도와 선호도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수행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M. S. Kang, etc., "Pets", p.15, p.18, pp.50-90, SunJinMunHwaSa, 1998.
  2. Cynthia K. Chandler, "Animal Assisted Therapy in Counseling", pp.23-37, 306-316, 323-330, HakJiSa, 2006.
  3. M. C. Hwang, T. S. Kim, "The Trend and Outlook in Pet Related Market", p.3, NongHyup Economic Research Institute [NHERI], April. 2013.
  4. Y. H. Shin,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et Dogs between Companion Animal Majors and Non-Majors",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2), p.781,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2.777
  5. Korea Kennel Club the Ministry of Education, "Manual of Management to Dog", pp.22-106, ShinHeung Med Science, 2005.
  6. Korea Kennel Club, "Dog Breeds of the World", pp.610-661, Korea Kennel Club, Korea Kennel Club of Rescue Dog, 2002.
  7. G. W. Kim, J. W. Lee, etc.,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reeder and Non-Breeder on the Recognition of Companion Animal", Korean J. of Companion Animal Science, 2(1), pp.37-44, 2005.
  8. Bruce Fogle, "The New Encyclopedia of the Dog", pp.362-382, ShinHeung Med Science, 2006.
  9. Stanley Coren, " Why We Love the Dogs We Do", pp.118-143, DulNyouk, 2003.
  10. Y. H. Shin, "The Developement of Curriculum by Job Analysis", pp.10-18, Hyejeon College Report, 2010.
  11. Y. H. Shin, "A Curriculum Analysis of Pet-Related Departments in Colleges",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9(1), pp..236-237, pp.242-244, 2008.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8.9.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