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Gifted Behavior Checklist Based on the Observation Probability and Importance of the Behavior in Class

관찰가능성과 중요도를 고려한 관찰·추천용 초등 영재 행동 특성 체크리스트 개발

  • Received : 2015.10.01
  • Accepted : 2015.12.1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gifted child behavior checklist which feasibly has application on the nation-wide gifted children observation-recommendation method. Corresponding measure has significance as it reflects actual observations of teachers teaching gifted children first-hand and involves measure of importance regarding each characteristic. An open survey on gifted children behavior characteristics lists and specific behavior patterns has been acquired from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and the checklist was developed through expert group review, pre-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cess. The former checklists have shown several difficulties on application of observation-recommendation on the field due to behaviors that can't be observed in school, less important behaviors, and collide and duplicate behaviors etc. With regard to such problems, problematic clauses were removed based on the observation probability and importance of the behaviors. Ultimately, total of 32 behavior characteristic checklist consisting of ten sub factors(logical thinking, high achievement, originality, perfectionism, creative problem solving, curiosity, task commitment, conversation ability, creativity, passion) and two to three questions on each factor had been drawn.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test and item-total score correlation, each item of the measure has been analyzed to be consistently evaluating corresponding variables. In addition,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every item to be weighed appropriately on its sub-factor, strongly suggesting its feasibility on observation-recommendation of elementary gifted children as an appropriate checklist.

본 연구는 현재 전국의 모든 영재교육 기관에서 영재 학생을 선발할 때 적용하고 있는 관찰 추천 방법에 활용 가능한 영재 행동 특성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 영재 행동 특성 체크리스트들은 제시한 문항들이 학교생활을 통해 관찰이 불가능하거나 애매한 항목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거나, 영재 행동 특성으로서 그 중요도가 떨어지거나, 유사한 특성들이 반복되거나 혹은 다수의 문항으로 인해 실제 관찰 추천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척도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재 행동 특성 요인들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고 있는 영재 교사들에 의해 '실제로' 관찰 가능성이 높은 영재 행동 특성과 각 특성들의 '중요도'를 반영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척도는 현장의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 행동 특성 요인과 구체적인 행동 양상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받고, 이를 전문가 그룹의 검토와 예비 검사, 본 검사, 확인적 요인 분석의 과정을 통해 개발하였다. 관찰 가능성과 중요도란 기준 적용으로 개발된 체크리스트는 일부 요인들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10개의 하위요인(논리적 사고, 높은 성취도, 독창성, 완벽주의, 창의적문제해결력, 호기심, 과제집착력, 의사소통 능력, 창의성, 활동성(열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요인별로 2~4개 문항이 제시되어 총 32개의 행동 특성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최종 32문항에 대한 내적합치도(${\alpha}$)와 문항-총점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두 양호한 값을 보여 영재 행동 특성 척도의 각 문항이 해당 구인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재 행동 특성 체크리스트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모든 문항들이 각 하위 요인에 높게 부하되어 영재 행동 특성을 측정하는 체크리스트로 적합하며, 현장에서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을 관찰 추천할 때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석, 박병태 (2011). 영재 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 판별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1(2), 427-447. https://doi.org/10.9722/JGTE.2011.21.2.427
  2.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관찰.추천 용 영재판별 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3. 방미선 (2013). 과학 영재 관찰.추천 선발 방식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4. 신동준, 이춘식 (2013). 발명영재의 관찰추천제 선발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1), 141-156.
  5. 오윤석, 한기순 (2011).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제의 가능성과 한계 분석. 한국교육, 38(4), 163-187.
  6. 윤초희, 박희찬 (2013). 관찰추천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영재학생 판별기준과 추천 요인 분석. 영재교육연구, 23(5), 771-791. https://doi.org/10.9722/JGTE.2013.23.5.771
  7.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8. 이동혁 (2010).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영재교육연구, 20(2) 595-619.
  9. 진현정, 최호성 (2010).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0(2), 621-647.
  10. 한기순, 이정용 (2011).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영재교육연구, 21(1), 50-65.
  11. 황두영 (2014). 교사 관찰추천제의 영재행동 특성 평정척도의 평정결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12. Baum, S. (1994). Meeting the need of gifted/ learning disabled student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3(5), 6-16.
  13. Strip, C., & Hirsch, G. (2009). 영재교육 노하우[이신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4. Copenhaver, R. W., & Mcintyre, D. J. (1992). Teachers' perceptions of gifted students. Roeper Review, 14(3), 151-153. https://doi.org/10.1080/02783199209553411
  15. Davis, G. A. (1976). GIFT an instru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0, 178-182.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6.tb01021.x
  16. Fox, L. H. (1981). Identification of the academically gifted. American Psychologist, 36(10), 1103-1111. https://doi.org/10.1037/0003-066X.36.10.1103
  17. Friedman, R. G., & Rogers, K. B. (1998). Talent in context: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s on giftedness. NY: APA.
  18. Gagne, F. (1994). Are teachers really poor detectors? Comments on Pegnato and Birch's (1959)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various identification techniques. Gifted Child Quarterly, 38, 124-126.
  19. Gear, G. (1976). Accuracy of teacher judgment in identifying intellectually gifted children: A review of the literature. Gifted Child Quarterly, 20(4), 478-490. https://doi.org/10.1177/001698627602000416
  20. Hany, E. A. (1995). Teachers' cognitive processes of identifying gifted students. In M. K. Katzko & F. J. Monks (Eds.), Nurturing talent: Individual needs and social ability (pp.184-198). Assen, The Netherlands: Van Gorcum.
  21. Hunsaker, S. L. (1994). Creativity as a characteristic of giftedness: Teachers see it, then don't. Roeper Review, 17(1), 11-15. https://doi.org/10.1080/02783199409553610
  22. Johnsen, S. K. (2008). Identifying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In F. A. Karnes & K. R. Stephens(Eds),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pp. 135-153). NY: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3. Plucker, J., & Callahan, C. (2009). 영재교육의 주요 이슈와 실제[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24. Joreskog, K., & Sorbom, D. (1993),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NY: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5. Maker, C. J., Nielson, A., & Rogers. J. (1994). Giftedness, diversity, and problem solving.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27, 4-19. https://doi.org/10.1177/004005999402700101
  26. Never, J. (2004). Teacher identification of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Nominations to a summer school for highly-gifted students. Psychology Science, 46, 348-362.
  27. Pegnato, C. W., & Birch, J. W. (1959). Locating gifted children in junior high schools: A comparison of method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25, 300-304. https://doi.org/10.1177/001440295902500702
  28. Renzulli, J. S., & Reis, S. M. (1986). The enrichment triad/revolving door model: A school wid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In J. S. Renzulli (Ed). System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216-266). TX: Creative Learning Press.
  29. Sarouphim, K. M. (1999). DISCOVER: A promising alternative assess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minorities, Gifted Child Quarterly, 43, 244-251. https://doi.org/10.1177/001698629904300403
  30. Single, D., & Powel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 21-29. https://doi.org/10.1177/001698620404800103
  31.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Y: Macmillan.
  32. Tuttle, F. B., & Becker, L. A. (1975).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G/T students. Washington, D.C.: N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