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easures of Travel Time Variability by Analysis of Travel Time Distribution According to Weather Factor

기상요인에 따른 통행시간 분포 분석을 통한 통행시간 변동성 지표의 적정성 연구

  • 김준원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5.06.18
  • Accepted : 2015.12.2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ravellers consider extra travel time to be arriving their destination because of uncertainty of travel. So it is important to make predictable highway by providing information of travel time variability to traveller so as to enhance level of service at highway. In order to make predictable highway, it is necessary to develope measures of travel time variability that travellers can easily understand. Recently advanced country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ravel time variability index are actively studied. In earlier study, 95percentile of travel time is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calculation index of travel time variability. In this study, is has focused on the propriety analysis of 95percentile of travel time in domest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Result of analysis, All of measures(80percentile of travel time, 90percentile of travel time, 95percentile of travel time) show the tendency to increase when case of weather factor occur compare to normal condition under LOS A~D. Especially 95percentile of travel time increased sensitively.

도로 이용자들은 도로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통행계획 시 목적지에 일정한 시간 내에 도착하기 위해 추가 통행시간을 고려한다. 때문에 도로의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소통측면 뿐만 아니라 변동성 측면의 정보의 제공을 통해 예측 가능한 도로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로의 변동성을 계량적으로 나타내고 도로이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통행시간 변동성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교통 선진국에서 통행시간 변동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변동성을 계량화하기 위한 지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변동성 지표 산출시 95th통행시간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평상시와 기상요인시를 비교분석하여, 기존 통행시간 변동성 지표 산출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95th통행시간이 국내 교통 환경에서 통행시간 변동성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인지 검토였다. 교통수준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상요인 발생시 교통 수준이 낮은 LOS A~D 구간에서는 80th통행시간, 90th통행시간, 95th통행시간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중 95th통행시간이 가장 민감하게 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orea Transport Institute, "Study on A Methodology for the Reliability Benefit Measurement in feasibility Investigation of Railroad Project," 2008.
  2.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Selecting Travel Reliability Measure," 2003.
  3. SHRP2 Reliability Archive System, http://shrp2archive.org.
  4. SHRP2 L03, "Analytical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Impacts of Reliability Mitigation Strategies," 2013.
  5. SHRP2 L05, "Incorporating Reliability Performance Measures into the Transportation Planning and Programming Processes," 2013.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ighway Capacity Manual," 2013.
  7.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Open-OASIS, http://data.ex.co.kr.
  8. FWWA, "Traffic congestion and reliability : Trends and advanced strategies for congestion mitigation", 2005.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National Climate Data Service System, http://sts.kma.go.kr.
  10.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liability of Journeys on the Highways Agency's Motorway and A Road: The on Time Reliability Measure Methodolog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