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rimary Concepts of Division and Fraction upon Relational Understanding of Decimals

나눗셈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이 소수의 관계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Received : 2015.10.19
  • Accepted : 2015.12.24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explored how gifted 3r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d learned the primary concepts of division and fraction, when they studied contents about decimal, formed the transformed primary concept and transformed schema of decimal by the learning of accurate primary concepts and connecting the concepts. That i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attained relational understanding of decimal based on the primary concepts of division and fraction, and how they formed a transformed primary concept based on the primary concept of decimal and carried out vertical mathematizing.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ransformed primary concepts formed through the learning of accurate primary concepts, and schemas and transformed schemas built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concepts played as crucial factors for the children's relational understanding of decimal and their vertical mathematizing.

본 연구에서는 나눗셈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3명을 대상으로 소수를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과 개념의 연결로 소수에 대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구성하여 소수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연구대상자들이 나눗셈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을 바탕으로 어떻게 소수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소수의 1차적 개념을 바탕으로 어떠한 변형된 1차적 개념을 형성하여 수직적 수학화를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으로 형성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그들의 연결로 구성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가 소수에 대한 관계적 이해와 수직적 수학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일외 백과사전 편찬부 (2003). 파스칼 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동서문화사.
  2. 김화수 (2014). 수학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적 개념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분수의 덧셈과 곱셈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1), 17-43. https://doi.org/10.9722/JGTE.2014.24.1.17
  3. 김화수 (2014). 나눗셈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분수의 나눗셈에 대한 개념 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영재교육연구, 24(3), 339-358. https://doi.org/10.9722/JGTE.2014.24.3.339
  4. 라병소 (1999). 수학 학습에서의 관계적 이해를 위한 스키마 구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박달원 (2007). 무한소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2), 237-246.
  6. 박영배 (1996). 수학 교수.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방승진.이상원.황동주 (2002). 초등학교 수학 문제 해결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 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 14, 1-25.
  8.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이종휘.김부미 (2004). 증명학습에서 생성-수렴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6(1), 59-90.
  10. Hiebert, J., & Carpenter, T. (1992). Learning and teaching with understanding. In D.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research and teaching (pp.65-100). NY: MacMillan.
  11. Hiebert, J., Carpenter, T. P., Fennema, E., Fuson, K. C., Wearne, D., Murray, H., Olivier, A., & Human, P. (1997). Making sens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ith understanding. Portsmouth, NH: Heinemann.
  12. Koichu, B., & Berman, A. (2005). When do gifted high school students use geometry to solve geometry problem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Vol. 16. 168-179. https://doi.org/10.4219/jsge-2005-481
  13. NCTM (2000). Pri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4. Renzulli, J. S. (1986). The three 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son (Eds.), conception of giftedness (pp. 246-279).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Skemp, R. R. (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ew Jersey. 황우형 역(1998). 수학학습심리학. 서울: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