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Capacity to Select and Pose Cognitively Demanding Tasks

중등 수학교사의 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 : 인지적 노력 수준 중심으로

  • Received : 2015.11.11
  • Accepted : 2015.12.1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wofold: one is to underst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capacity to sort out given tasks based on Stein & Smith(1998)'s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Task Framework; the second is to examine how the teachers assess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indicated in students' reponses and how they modify the tasks to elicit the students' higher levels of cognitive activity. The analysis of 45 teachers' responses to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teachers, in general, could select appropriate tasks for the given goal of the lessons but some made the decision merely by their appearances. Even though the teachers chose a particular level with different reasons amongst each other, most teachers could correctly evaluate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he students' responses. Finally, teachers could pose cognitively demanding tasks using various methods, but a number of them felt challenged in creating word problems that were realistic and aligned with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교사가 수업 목표와 함께 제시된 교과서의 수학 과제를 해결하는 데 요구되는 인지적 노력수준 (Stein, Grover, & Henningsen, 1996)을 어떻게 이해하며, 과제에 대하여 실제 유발된 학생들의 인지적 노력 수준을 어떻게 선별하고, 그 학생에게 더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발할 수 있도록 어떻게 과제를 변형하여 제기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함수 영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현직 중고등학교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업 목표에 따라 낮은 수준의 과제와 높은 수준의 과제를 적절하게 선별할 수 있었지만, 높은 수준의 과제를 높은 수준의 과제라고 선택하는 기준이 학생들의 인지노력 수준보다는 과제의 외형적 요소였다. 둘째, 비록 주목하는 부분은 다르더라도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유발된 인지적 노력 수준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그 학생들에게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발할 수 있는 과제로 변형할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더 높은 인지적 노력 수준이 유발되는 과제로 변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문제 상황의 일반화, 조건 또는 맥락의 변화)을 이용하였는데, 실생활 관련 소재로 맥락화하는데 한계를 느끼는 교사들이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2. 권지현.김구연(2013).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기하영역의 수학과제 분석. 수학교육, 52(1), 111-128.
  3. 김대영.김구연(2014). 중등 수학교사의 교과서 수학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 학교수학, 16(3), 445-469.
  4. 김미희.김구연(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 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
  5. 김민혁(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6. 김성희.방정숙(2005).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초등학교 '비와 비율'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3), 251-272.
  7. 이미연.오영열(2007). 수학적 과제가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17(4), 395-418.
  8. 이혜림(2013).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구성능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혜림.김구연(2013).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변형 능력. 수학교육학연구, 23(3), 353-371.
  10. 홍창준(2011). 인지적 노력 수준에 따른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 과제 분석.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홍창준.김구연(2012). 중학교 함수 단원의 수학과제 분석. 학교수학, 14(2), 213-232.
  1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13. Lester, F. K., & Kehle, P. E. (2003). From problem solving to modeling: The evolution of thinking about research on complex mathematical activity. In R. Lesh & H. M. Doerr (Eds.), Beyond constructivism (pp. 501-518). Mahwah, NJ: Lawrence Erlbaum.
  14. Norton, A., & Kastberg, S. (2012). Learning to pose cognitively demanding tasks through letter writ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5(2), 109-130. https://doi.org/10.1007/s10857-011-9193-9
  15. Simon, M., & Tzur, R. (2004). Explicating the role of mathematical tasks in conceptual learning: An elaboration of the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6, 91-104. https://doi.org/10.1207/s15327833mtl0602_2
  16. Stein, M. K., & Lane, S. (1996). Instructional task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 capacity to think and reas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a reform mathematics project.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2(1), 50-80. https://doi.org/10.1080/1380361960020103
  17.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18. Stein, M. K., Smith, M. S., Hennignsen, M. A., & Silver, E. A. (2009).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 case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2nd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 Sztajn, P., Confrey, J., Wilson, P. H., & Edgington, C. (2012). Learning trajectory based instruction: toward a theory of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41(5), 147-156. https://doi.org/10.3102/0013189X12442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