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진성리더십이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blic Welfare Officials' Customer Orientation on Authentic Leadership

  • 진윤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 투고 : 2015.10.05
  • 심사 : 2015.10.15
  • 발행 : 2015.12.28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자사의 고객지향적 태도가 고객만족을 위해 중요하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진성리더십이 직무열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고객지향성이라는 직무수행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측면에서 구분해서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의 인지적 측면인 진성리더십 인식을 독립변수로, 태도의 감정적 측면인 직무열의를 매개변수로, 고객지향성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용인시 소재 장애인복지시설과 노인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2.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소진과 감정노동에 의한 탈진에 반대되는 직무열의라는 긍정적인 직무태도가 매개효과로서 긍정적 효과를 줌으로써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는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분석결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in public sector, social welfare and job enthusiasm and how authentic leadership impacts the job engag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To analyze and to verify the hypothe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with the genuine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job engagement as a parameter, customer orient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Sample data was collected from 230 employe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located in Yong-in city. Strong association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perception and costomer oreintation was identified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where job engagement plays significant intermediating role. In conclusion, positive perception toward leadership characteristic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through desirable attitude formulation. Job engagement as a mediating variable strengthens the influence of autheneic leadership on the improvement in customer orientation which overcame the opposition, the exhaustion due to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from those who are engaged in welfare fac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수정, "사회복지공무원의 재량행위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6권, 제2호, pp.57-79, 2014.
  2. 고언정, 이혁준, "사회복지사의 정서지능과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집, pp.259-279, 2010.
  3. 권용섭, 임재강,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지방행정연구, 제29권, 제2호, pp.327-352, 2015.
  4. 김동철, 김대건, "긍정조직행태 주요 요인 간 관계에 관한 연구:진성리더십, 심리적 자본, 심리적 주인의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4호, pp.27-51, 2012.
  5. 김명희, 남차현,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심리자본을 매개 효과로," 외식경영학회, 제16권, 제6호, pp.29-47, 2013.
  6. 김성종, "지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13-72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713
  7. 김영진, 임연우,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소진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징이 미치는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346-353, 2015.
  8. 박영준, 박경진,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8권, 제3호, pp.115-145, 2014.
  9. 박주상, "해양경찰의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경찰학회보, 제1권, 제1호, pp.3-25, 2011.
  10. 성도경, "행정서비스의 고객지향성 평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4권, 제4호, pp.97-122, 2004.
  11. 심종선, 정승언,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pp.69-89, 2013.
  12. 오창택,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수행전략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4호, pp.53-78, 2012겨울.
  13. 이정환, 박한규, "진성리더십 효과 요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11호, pp.2791-2814, 2013.
  14. 이환범, 이수창, "직무스트레스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대구.경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6권, 제4호, pp.289-305, 2012겨울.
  15. 임창희, 조직행동(제5판), B&M 북스, p.366, 2015.
  16. 장용운, 이경훈, "특급호텔 종사원의 교육훈련이 직무성과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서비스학회, 제10권, 제1호, 2010.
  17. 정해동,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태도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8. 조규인, 한옥상, "내부마케팅에서 코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91-117, 2013.
  19. 진윤희, 김성종,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5권, 제1호, pp451-46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51
  20. 최정숙,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소진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4호, pp.201-240, 2014.
  21. 최항석, 이지숙, "오센틱 리더십 척도의 한국기업 현장에의 타당화 연구," 평생교육.HRD연구, 제6권, 제3호, pp.89-114, 2010.
  22. 최훈태, "호텔종사원의 심리적자본이 LMX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7권, 제6호, pp.395-409, 2013.
  23. 홍성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오센틱 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심리자본,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4. B. J. Avolio, W. L. Gardner, and D. R. May,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5, pp.801-823, 2004. https://doi.org/10.1016/j.leaqua.2004.09.003
  25. B. J. Avolio and W. L. Gardner,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the root of positive forms of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6, pp.315-338, 2005. https://doi.org/10.1016/j.leaqua.2005.03.001
  26. D. T. Donovan, T. J. Brown, and J. C. Mowen, "Internal benefits of service-worker customer orientation: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Journal of Marketing, Vol.68, No.1, pp.128-146, 2004. https://doi.org/10.1509/jmkg.68.1.128.24034
  27.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nd Reading, Mas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75.
  28. W. George, Authentic leadership: Rediscovering the Secrets to Creating Lasting Value, San Francisco: Jossey-Bass, 2003.
  29. P. Kotler, Marketing Management, 11ed, N.J.:Prentice-Hall, Inc, 2003.
  30.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The manual for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Unpubished manuscript, 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2003.
  31. Van de Ven,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Vol.32, No.5, pp.590-607, 1986. https://doi.org/10.1287/mnsc.32.5.590
  32. F. Walumbwa, B. J. Avolio, W. L. Gardner, T. Wernsing, and S. Peterson,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and validat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Vol.3, No1, pp89-12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