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고영숙 (2015). 보육교사 인구통계학적 배경,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권영례 (2011).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 김나경 (2008). 만2세 영아보육과정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민정 (2008). 2세 영아의 과학적 탐구과정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선영, 이경옥 (2005).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개념과 측정구조에 대한 분석. 아동학회지, 25(3), 267-287.
- 김아경 (2015).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양은, 김연하 (2008). 교수 적극성 예측변인 분석: 교사 특성변인, 유아교육기관 근무환경,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8(6), 207-227.
- 김영실 (2009).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은진, 배진호, 임채성 (2004). 생물 야외 탐구 학습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물 교수 효능감의 변화, 과학교육연구, 29, 155-169.
- 김자현, 하경용 (2010).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49-178.
- 김정아, 고영미 (2011). 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 열린유아교육연구, 10(6), 49-67.
- 김지현, 김정민 (2013).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97-108.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097
- 김현지, 나동진 (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11-128.
- 김현진 (2007).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현진, 신은수 (2010).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육아지원연구, 5(2), 5-24.
- 김희진, 이분려 (1999). 유아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 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교사교육, 16(1), 161-181.
- 김헤라 (2013).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81-296.
- 김헤라 (2014).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43-5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43
- 남기원 (2013). 만3세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노은호 (2008). 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과학 교육의 운영 실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3), 67-83.
- 박라영 (2014). 표준보육과정 과학적 탐구하기를 기초로 한 영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운영 및 요구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성혜 (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 박혜순 (2003). 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보건복지부 (2013). 제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부.
- 배미양 (2000).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불안, 태도, 교수 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서소영 (1997).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관련 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심재호 (2004). 과학교사의 전문성 기준과 과학 교사 실험 연수의 방향성 제안. 과학교사의 전문성 기준, p. 90. 8월 20일. 진주: 경상대학교교양학관.
- 양정임 (2006). 유치원 교사의 과학관련 경험과 과학에 대한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유은영 (2013). 유아교사의 과학수업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내적 신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5-26.
-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2001). 탐색 및 놀이활동 중심의 1,2세 영아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2), 133-154.
- 이수진 (2007).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육목표와 교수방법의 인식 및 실제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은진 (2013).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135-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135
- 임옥희 (2006).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신념 및 효능감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 유구종, 강병재 (2005). 교육방법 및 공학. 서울: 창지사.
- 유경의, 최나야 (2013). 일대일 상호작용을 통한 그림책 읽기가 만 2세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읽기 반응과 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251-27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251
- 조부경 (2005).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능력향상: 무엇을 어떻게. 2005년 대한어린이교육협회교사 연수자료, 1-25.
- 조부경, 고영미, 남옥자 (2013).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 조부경, 서소영 (2000).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 조부경, 서소영 (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수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622-634.
- 조형숙 (1998).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유아교육연구, 18(2), 283-301.
- 조형숙 (2001).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5(1), 117-139.
- 지성애, 김치곤 (2011).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적 태도와 구성주의 교육신념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1), 277-300.
- 천현정 (2010).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Bartholomew, H., Osborne, J., & Ratcliffe, M. (2004). Teaching students "ideas-about-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5), 655-682. https://doi.org/10.1002/sce.10136
- Czerniak, C., & Chiarelott, L. (1990).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science instruction-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1), 49-58.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107
- Enochs, L. G., & Riggs, I. M.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9(1), 63-75. https://doi.org/10.1002/sce.3730790105
- Ginns, I. S., Watters, J. I., Tulips, D. F., & Lucas, K. B. (1995). Changes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5), 394-400.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0191.x
- Howe, E. (2002). Connecting girls and science: constructivism, feminism,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 Koballa, T. R. (1986). Teaching hands-on science activities: Variables that moderate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493-503. https://doi.org/10.1002/tea.3660230603
- Koch, J. (2002). Gender issues in the classroom. In W. R. Reynolds & G. E. Miller (Eds.), Educational psychology: Vol., 7 of the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logy. New York: Wiley.
- Koch, J. (2010). Science stories. Boston, NY: Houghton Mufflin Company.
- Martin,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include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ew York: Delmar Thompson Learning.
- Myeong, J. O. (2002).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2), 180-187.
- Nayfeld, I., Brenneman, K., & Gelman, R. (2011). Science in the classroom: Finding a balance between autonomous exploration and teacher-led instruction in preschool settings.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22(6), 970-988. https://doi.org/10.1080/10409289.2010.507496
-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The effect of infant child care on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Results of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8, 861-879.
- Ramey-Gassert, L., Shroyer, M. G., & Staver J. R. (1996). A qualitativ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self efficacy of elementary level teachers. Science Education, 80(3), 283-315.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606)80:3<283::AID-SCE2>3.0.CO;2-A
-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47 128.
- Wilcox-Herzog, A., & Ward, S. (2004). Measuring teachers' perceived interactions with children: A tool for assessing beliefs and inten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6(2), 47-56. Retrieved May 10, 2015, from http://ecrp.uiuc.edu/v6n2/herzog.html
피인용 문헌
- 보육교사의 소진, 과학교수불안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의 매개효과 vol.12,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6.189
-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및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vol.13, pp.1,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1.186
- The Effects of Technostress, Colleague Relationship, and Professionalism Awareness on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vol.37, pp.5,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5.011
- 신체움직임을 활용한 순환학습기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물체조작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vol.15, pp.6,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