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097

A Study on the Variables That Predic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care Center  

Kim, Min Jeong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Kim, Ji Hyun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1, no.6, 2015 , pp. 97-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predictors and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that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have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re all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re predicted by their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Specifically, for teachers of 0 to 2-year-olds,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is predicted by their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eachers of 3 to 5-year-olds, their science teaching is affected by their scientific attitudes and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eywords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er of childcare cent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영숙 (2015). 보육교사 인구통계학적 배경,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 차이.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영례 (2011).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3 김나경 (2008). 만2세 영아보육과정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민정 (2008). 2세 영아의 과학적 탐구과정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선영, 이경옥 (2005).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개념과 측정구조에 대한 분석. 아동학회지, 25(3), 267-287.
6 김아경 (2015).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언어적 상호작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양은, 김연하 (2008). 교수 적극성 예측변인 분석: 교사 특성변인, 유아교육기관 근무환경,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8(6), 207-227.
8 김영실 (2009).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은진, 배진호, 임채성 (2004). 생물 야외 탐구 학습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물 교수 효능감의 변화, 과학교육연구, 29, 155-169.
10 김자현, 하경용 (2010).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49-178.
11 김정아, 고영미 (2011). 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 열린유아교육연구, 10(6), 49-67.
12 김지현, 김정민 (2013).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97-108.   DOI
13 김현지, 나동진 (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11-128.
14 김현진 (2007).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현진, 신은수 (2010).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육아지원연구, 5(2), 5-24.
16 김희진, 이분려 (1999). 유아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 외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교사교육, 16(1), 161-181.
17 김헤라 (2013).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81-296.
18 김헤라 (2014).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43-58.   DOI
19 남기원 (2013). 만3세를 위한 신체표현 연계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노은호 (2008). 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과학 교육의 운영 실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3), 67-83.
21 박라영 (2014). 표준보육과정 과학적 탐구하기를 기초로 한 영아과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운영 및 요구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박성혜 (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23 배미양 (2000).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불안, 태도, 교수 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25 박혜순 (2003). 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보건복지부 (2013). 제 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부.
27 서소영 (1997).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관련 경험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심재호 (2004). 과학교사의 전문성 기준과 과학 교사 실험 연수의 방향성 제안. 과학교사의 전문성 기준, p. 90. 8월 20일. 진주: 경상대학교교양학관.
29 양정임 (2006). 유치원 교사의 과학관련 경험과 과학에 대한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유은영 (2013). 유아교사의 과학수업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내적 신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5-26.
31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2001). 탐색 및 놀이활동 중심의 1,2세 영아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2), 133-154.
32 이수진 (2007).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육목표와 교수방법의 인식 및 실제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은진 (2013).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135-158.   DOI
34 임옥희 (2006).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 신념 및 효능감 간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36 유구종, 강병재 (2005). 교육방법 및 공학. 서울: 창지사.
37 조부경, 서소영 (2000).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38 유경의, 최나야 (2013). 일대일 상호작용을 통한 그림책 읽기가 만 2세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읽기 반응과 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251-276.   DOI
39 조부경 (2005).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능력향상: 무엇을 어떻게. 2005년 대한어린이교육협회교사 연수자료, 1-25.
40 조부경, 고영미, 남옥자 (2013). 유아과학교육. 양서원.
41 조부경, 서소영 (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교수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622-634.
42 조형숙 (1998).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 유아교육연구, 18(2), 283-301.
43 조형숙 (2001). 유아교사의 과학지식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5(1), 117-139.
44 지성애, 김치곤 (2011).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적 태도와 구성주의 교육신념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1), 277-300.
45 천현정 (2010).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Bartholomew, H., Osborne, J., & Ratcliffe, M. (2004). Teaching students "ideas-about-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5), 655-682.   DOI
47 Czerniak, C., & Chiarelott, L. (1990).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science instruction-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1), 49-58.   DOI
48 Enochs, L. G., & Riggs, I. M.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9(1), 63-75.   DOI
49 Howe, E. (2002). Connecting girls and science: constructivism, feminism,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50 Ginns, I. S., Watters, J. I., Tulips, D. F., & Lucas, K. B. (1995). Changes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5), 394-400.   DOI
51 Koballa, T. R. (1986). Teaching hands-on science activities: Variables that moderate attitude-behavior consisten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493-503.   DOI
52 Koch, J. (2002). Gender issues in the classroom. In W. R. Reynolds & G. E. Miller (Eds.), Educational psychology: Vol., 7 of the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logy. New York: Wiley.
53 Koch, J. (2010). Science stories. Boston, NY: Houghton Mufflin Company.
54 Martin,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include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ew York: Delmar Thompson Learning.
55 Myeong, J. O. (2002).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2), 180-187.
56 Nayfeld, I., Brenneman, K., & Gelman, R. (2011). Science in the classroom: Finding a balance between autonomous exploration and teacher-led instruction in preschool settings.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22(6), 970-988.   DOI
57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The effect of infant child care on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Results of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8, 861-879.
58 Wilcox-Herzog, A., & Ward, S. (2004). Measuring teachers' perceived interactions with children: A tool for assessing beliefs and inten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6(2), 47-56. Retrieved May 10, 2015, from http://ecrp.uiuc.edu/v6n2/herzog.html
59 Ramey-Gassert, L., Shroyer, M. G., & Staver J. R. (1996). A qualitativ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self efficacy of elementary level teachers. Science Education, 80(3), 283-315.   DOI
60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47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