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government Frame and Discourse Effect of 'Healing' Phenomenon in Korea

초기 힐링담론의 자기통치프레임과 담론효과

  • Received : 2015.07.28
  • Accepted : 2015.11.22
  • Published : 2015.12.15

Abstract

Based on the Foucault's governmentality, this study has described the self-government strategy that healing discourse is implemented during 2011-2013. Healing discourse's priority is the existence value of individual and full concentration about self is needed more than anything. In this process, people who need to heal and comfort are limit to de-politicized individuals. Healing discourse emphasizes that the current enhancement in order to become reflection and growth of self. Demands of reflection and growth is substitute the critics of the era and society, but also act as a specific code of conduct to individuals. While emphasizes the reflection and personal growth, healing discourse has top priority of the current value. However, in this process, criticism of the era issues and social structural factors are fundamentally excluded. People accepted healing discourse actively, decided empowering self by reflection and remors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rack and specificity in the dominant reception discourse likewise some subjects criticized that there is no realistic consolation, exposed the antipathy to the older generation, denied the way of problematized objectification. But this is a partial denial about healing as concrete technology, not fundamental resistance about neoliberal orders.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 사회 각 영역들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던 힐링담론에 주목하여 초기 힐링담론이 자기통치의 측면에서 어떤 방식을 강조했으며, 그것은 수용 국면에서 어떤 담론효과를 보이는지 다루고자 하였다. 힐링담론은 위로와 치유가 필요한 대상을 탈정치화된 개인의 범주로 국한시키며 성찰적이고 성장하는 존재가 되기 위해 현재에 충실할 것을 강조한다. 개인의 성찰과 성장은 시대와 사회에 대한 비판을 대체하면서 치유가 필요한 개인들에게 구체적인 행동규범이자 윤리로 작용한다. 수용자들은 힐링담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성찰과 반성을 통해 스스로에게 당당한 자신이 될 것을 다짐하면서 자신을 권능화하고자 한다. 반면 지배적 수용담론 내부에는 실질적 위로의 부재를 비판하고, 기성세대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기도 하며, 자신들을 문제적으로 대상화하는 방식을 거부하는 등의 균열과 특이성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힐링이라는 구체적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분적 거부이지, 신자유주의라는 거대 질서에 대한 근본적 저항은 아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