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ocation of Buyeo Geumgangsaji (Temple Site) through GPR and GIS

GPR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한 부여 금강사지 입지 연구

  • Oh, Hyun-dok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ung-tae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Woo, Sang-eun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o, Yong-il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4.09.26
  • Accepted : 2014.10.29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ere is a necessity of re-research about Geumgangsaji temple site as reviewed recently confirmed typical temple arrangement of Baekj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determine that building remains and layout patterns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and identify that the location and terrain changes of Geumgangsaji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a numerical map by GIS. In the GPR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new building sites in the west and the north area which in Geumgangsaji is more wid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emple is located on stable river terrace with low soil loss. And this site has spontaneous drainage system for the optimum position.

최근의 백제사찰 재조사에서 기존 가람의 양식과는 다른 가람배치 양상이 확인되면서 금강사지의 가람에 대하여 다시금 조사의 필요성을 가지게 한다. 본 연구는 GPR탐사법을 이용하여 금강사지의 잔존 유구 및 사역전체의 건물배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GIS기술을 이용하여 항공사진을 분석하고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토양유실량(RUSLE)을 분석하여 금강사지의 입지와 지형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GPR탐사 결과, 사역의 북편과 서편에서 기 발굴조사에서 미처 확인되지 않았던 건물지가 추가로 확인되어 사역의 범위는 추정 가람보다 더 넓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금강사지는 하안 단구면에 위치하고 있고 토양유실량이 매우 적은 안정된 지형장에 위치하며 자연발생적인 배수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최적의 입지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